$\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P조사자료를 활용한 스포츠시설 이용 수단선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 Choice of Trips to Sport Facilities Using SP Survey Data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5 no.3, 2017년, pp.197 - 209  

김주영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이승재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김재영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 ,  박현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삶의 질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화되면서 여가활동에 투자하는 시간과 비용이 높아지면서 프로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규모 스포츠시설에는 짧은 시간에 대규모 통행량이 밀집되기 때문에 기존 교통체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본 연구는 대규모 스포츠시설을 목적지로 하는 통행의 수단선택 모형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실험계획법에 의한 SP조사를 프로스포츠 경기 관람자를 대상으로 수행하여 수단선택 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대규모 스포츠시설과 같이 정해진 시간에 대규모 이벤트가 개최되는 경우, 대중교통 수단이 선호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귀가의 용이성을 고려한 수단선택 행위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규모 스포츠시설 등 이용빈도가 높지 않는 여가시설의 통행행태를 분석하고 나아가 향후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mass transit) 공급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합리적인 교통수요 분석을 위한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advent of age that people spend more time and money on leisure activities,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professional sport games. The location of large scale sport facilities has substantial impacts on existing transportation pattern because the facility attracts and generates massive 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이용자들이 어떤 수단을 이용하여 시설물을 이용하는지, 시설물 입지에 따라 각 교통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도로 시설 혹은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mass transit) 공급을 추가적으로 할 것인지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수단선택 행태와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형스포츠시설 등 단기간 대형 교통유발시설의 입지에 따른 수단선택 특성을 분석하고, 연간 이용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시설에 대해 대규모 대중교통 수단(mass transit)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SP조사를 시행하고 그에 따른 수단선택 행위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실험계획법에 의거하여 대규모 스포츠시설 이용자들의 수단선택 행위를 분석하고 수단선택모형을 구축한다.
  • 본연구에서 구체적으로 적용한 SP조사 설계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SP조사의 목적으로는 야구장과과 철도 역사 인접에 따른 수단선택 행위를 분석하고, 신규 스포츠시설 입지에 따른 통행수단 행태를 모형화하고자 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샘플수의 수가 모집단의 수와 근접할수록 그 특성을 반영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비용과 시간의 제약으로 인해 통계적 유의성에 입각한 샘플수를 산정해야 한다.
  • 본 연구는 대규모 스포츠시설 중 야구장을 목적지로 하는 통행의 수단선택 모형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프로야구 10구단 창단 이후 수원을 포함한 경기남부와 수도권 지역의 통행행태에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여가통행 중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존재하는 야구장과 같은 대규모 스포츠시설의 통행행태를 예측하고 그에 따른 영향력을 분석한다.
  • 즉 여가통행시간가치는 일반적으로 국내 지침에서 산정한 한계임금율법에 의한 비업무통행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며, 본 조사결과 산출된 VOT인 11,983원/시는 비업무통행 시간가치보다 크게 산출되어 상식적인 면과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간가치를 계산한 것은 다른 연구의 결과와 비교하면서 상식적 판단의 값과 유사한지를 검토하면서 모형 정산과정상에 오류를 점검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시간가치 값이 기존 연구 및 상식적인 면에서 다른 값을 보이지 않아 모형의 정산결과 얻은 효용함수는 정책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가설 설정

  • 다만 비업무통행 시간가치의 경우 한계임금율법에 의해 산정되는 시간가치로 한계임금 만을 고려하는 업무통행 시간가치와 달리 업무통행에 대한 비업무통행의 시간가치 비율이 포함되기 때문에 명확한 비교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대규모 스포츠시설을 이용하는 것을 여가통행이라 가정한다면 여가통행 시간가치와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여가통행 시간가치와 관련된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Oh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로짓모형의 장점은? 다양한 수단선택모형 가운데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모형으로는 개별행태 모형 중 로짓모형이다. 로짓모형은 효용함수에 포함되는 독립변수의 측정단위의 제약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통행자의 속성, 교통수단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속성 및 통행 목적 등 통행 자체의 속성을 자유롭게 효용함수에 포함시킴으로써 통행자의 현실적 선택행태를 설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Kimet al., 2011).
가상 시나리오를 응답자에게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SP조사의 장점은? 첫째 SP조사는 연구자가 실험상황을 통제할 수 있다. RP자료를 이용하는 경우 연구자가 관심있는 변수와는 관계없이 응답자가 제시한 변수와 내용만이 분석되는 반면 SP 기법의 경우 연구자의 관심 변수로 구성되어진 가상적인 상황을 응답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현실에서는 목격 될 수 없는 다양한 상황설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관심 없는 변수의 삭제도 가능하다. 둘째, 분석자료 간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다. 개인의 교통수단 선택에 있어서 시간과 비용을 고려할 때 현실에서는 두 변수 간에 강한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통수단 선택에 있어서 개별적인 시간과 비용의 영향을 독립적으로 구하기 어렵다. 그러나 SP 기법에서는 실험계획법을 이용하여 이러한 상관관계가 Zero가 되고 두 변수간 교호작용이 없는 질문을 디자인하여 응답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셋째, 가상적인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기존 시장에서 존재하지 않는 재화나 수요, 가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P 기법 이란? SP 기법은 통계적인 실험계획법을 통해 가상의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이를 개개인에게 제공하여 개인의 선호를 조사하는 일련의 기법이다. 즉 개개인의 선호를 조사하는 기법으로써 본 연구에서 추구하는 대규모 스포츠센터 입지에 따른 수단선택 행태를 분석하는데 있어 적합한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hn H. J. (2016), The Effect of the Free Subway Fare Scheme for the Elderly on Modal Shift and Welfare Benefi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hung-Ang University, Master's Degree Thesis. 

  2. Antoniou C., Matsoukis E., Roussi P. (2007), Methodology for the Estimation of Value-of-Time Using State-of-the-Art Econometric Models, Journal of Public Transportation, 10(3), 1-19. 

  3. Ben-Akiva Moshe E., Steven R. Lerman (1985), Discrete Choice Analysis: Theory and Application to Travel Demand, 9, MIT press. 

  4. Davidson J. D. (1973), Forecasting traffic on STOL, Operational Research Quarterly, 24(4), 561-569. 

  5. Domencich T., McFadden D. (1975), Urban Travel Demand: A Behavioural Approach, North Holland Publishing, Amsterdam. 

  6. Ha T. J., Park J. J., Lee S. H. (2002), A Model for Mode Choice and Mode Transfer According to Introducing High-Speed Railway,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7(6), 129-135. 

  7. Hahn G.J., Shapiro S.S. (1966), A Catalogue and Computer Programme for Design and Analysis of Orthogonal Symmetric and Asymmetric Fractional Experiments, General Electric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re Report No 66-C-165, Schenectady, New York. 

  8. Ibrahim M. F. (2003), Car ownership and shopping purposes in Singapore, Transportation 30, 435-457. 

  9. Jara-Diaz S. R. (2004), The Activities Time Assignment Model System: The Value of Work and Leisure for Germans and Chileans, the 2004 European Transport Conference, Strasbourg. 

  10. Johnson W. R., Sieveking N. A., Clanton E. S. (1974), Effects of Alternative Positioning of Open-Ended Questions in Multiple-Choice Questionnair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9, 776-8. 

  11. Jung C. Y., Shon E. Y., Kim D. K. (2009), A Study on Forecasting Trip Distribution of Land Development Project Using Middle Zone Size And Gravity Model, J. Korean Soc. Transp., 29(6), 27(6),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9-28. 

  12. Kim J. Y., Lee S. J., Kim D. K., Jeon J. W. (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Mode Choice Models According to Zone Sizes, J. Korean Soc. Transp., 29(6),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97-106. 

  13. Kim K. S. (1998), A behavioural approach to Freight Transport Mode Choice, University of Leeds, Ph.d Thesis. 

  14. Kim S. H., Lee C. M., Ahn K. H. (2001), The Influence of Walking Distance to a Transit Stop on Modal Choice,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36(7), 297-307. 

  15. Kim T. G. (2006), Development of a Trip Distribution Model Introducing Interzonal Relative Attractiveness, Phd thesis, Hanyang University. 

  16. Kocur G., Adler T., Hyman W., Aunet B. (1982), Guide to Forecasting Travel Demand With Direct Utility Assessment, Report UMTA NH 11-0001-82, Urban Mass Transportation Administration,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Washington, DC. 

  17. Lee J. H. (2012), Estimating the Value of Travel Time for Intercity Leisure Trips, J. Korean Soc. Transp., 30(6),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59-70. 

  18. Lee K. S., Chung S. B., Eom J. K., Namkung B. K., Kim S. W. (2015), Development of Mode Choice Model for the Implementation of Next-generation High Speed Train(HEMU-430X), J. Korean Soc. Transp., 33(5),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461-469. 

  19. Luce R. D., Tukey J. (1964), Simultaneous conjoint measurement: A New Type of Fundamental Measurement, Journal of Mathematical Psychology, 1(1), 1-27. 

  20. Oh S. H, Ryu J. Y. (2006), A Study on Evaluation Process of Investment for Transportation Facilities Taking Leisure Travel Demand into Accoun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1. PIMAC (2008), A Study on General Guidelines for Pre-feasibility Study (5th Edition), KDI. 

  22. Sung H. G., Shin K. S., Rho J. H. (2008a), Impacts of the Accessibility of Parking and Public Transportation on Mode Choice by Trip Purpose in the city of Seoul, J. Korean Soc. Transp., 26(3),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97-108. 

  23. Sung H. G., Shin K. S., Rho J. H. (2008b), Impacts of the Type and Location of Shopping and Leisure Facilities on Travel Mode Choice,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43(5), 107-121. 

  24. U. 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1997), The Value of Travel Time: Departmental Guidance for Conducting Economic Evaluations. 

  25. Yoon D. S., Kim K. H., Kim K. S. (1996), Modelling the Choice Behavior of Shopping Destination and Travel Mode,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85, 253-267. 

  26. Yoon D. S., Park H. C. (2010), A Study on Change of Travel Patterns According to Public Transportation Reform (A Case Study of Gyeongsan City), J. Korean Soc. Transp., 28(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51-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