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계 서비스 가치의 제도화
Institutionalization of the Value of Ecosystem services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1 no.3, 2017년, pp.337 - 343  

황은주 (서강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  전재경 (서울대학교 글로벌환경경영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3차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이 규정한 생태계서비스 활성화를 지원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그동안 우리는 자연생태계가 인류에게 제공하는 편익, 즉 생태계서비스(자연혜택)를 무상으로 향유할 수 있는 재화로 간주하였으나 도시의 팽창과 개발의 가속화로 인한 자연환경용량이 침해되면서 서비스 기능이 저하되자 이를 인위적으로 복원 증진시키려는 노력들이 경주되었다.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연자본을 지속가능하게 유지하고 보전하기 위해서는 소유자가 자연자본을 유지 보전하기 위해 감수해야 하는 기회비용의 보전이 필요하다. 따라서 생태계서비스를 누리는 소비자(수요자)들이 이 서비스를 공급하는 토지소유자 관리자나 지역주민들과 자연자원으로부터 비롯하는 혜택을 공유하고 이러한 공유를 환경보전과 연동시키는 체계 즉, 생태계서비스 가치의 제도화가 필요하다. 그러나 문제는 현행 환경법제가 생태계서비스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의 공정한 거래와 수요자들 사이의 공평한 향유를 실현시키지 못한다는 것이다. 생태계서비스를 규율하는 현행 법제가 안고 있는 또 하나의 문제점은 개발계획에서 생태계서비스의 가치가 적정하게 반영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분석 결과, 현행 법제에서는 충분하지는 않지만, 정부 부문과 민간 부문에서 생태계서비스 가치의 제도화가 나름대로 가능하다. 특히 계약에 의한 서비스 거래는 개발계획과 관계없이 운용될 수도 있다. 생태계서비스 가치의 제도화에서 남은 과제는 개발계획과 관련하여 어떠한 절차에 따라 서비스 가치를 계량화할 것인가의 여부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자면, 환경영향평가 절차에서 개발로 인한 생태계서비스의 변화가 구체적으로 평가될 수 있어야 한다. 환경영향평가법이 아닌 시행령의 개정을 통하여서도 생태계서비스 평가와 환경영향평가의 통합이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going to contribute the activation of ecosystem services written in the 3rd National Basic Plan for Nature Conservation(2016~2025) in Korea. Meanwhile we considered the benefits that the nature has given to the humankind as free goods or services which we may consume traditionally wi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생태계서비스가 경제재로서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에 공정하게 거래되고 또 수요자들 사이에서 공평하게 향유될 수 있으려면 환경비용이 다른 경제주체에게 부당하게 전가되지 아니하여야 하고, 생태계서비스 양이 과학적으로 평가되어 개발계획에 적절히 반영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이 연구는 생태계서비스를 가치화시키는 선결조건으로서 외부효과의 내부화를 살피고 환경영향평가절차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 생태계서비스를 둘러싼 이익교환을 규율하는 수계법 상의 물이용부담금 또는 자연환경보전법 상의 생태보전협력금과 같은 강제력에 의한 정부모형의 생태계서비스지불제만으로는 생태계를 복원하고 생태계서비스를 증진시키려는 국가목표를 충분히 달성하기 어렵다는 전제 아래 이 연구는 민간부문이 기부나 계약과 같은 모형을 통하여 생물다양성 보전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법적 경로를 모색하였다.
  • 한편 환경법은 상호 연관성이 커서, 국제규범의 변화를 국내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서는 여러 가지 관련 제도들을 복합적으로 고찰하여야 한다. 이 연구는 관련 법률들의 정합성이라는 입법기술적 정비방안을 성찰하였다.
  • 이 연구는 법정책학 방법론에 따라 국제 환경규범이 국내환경규범에 미치는 영향과 경로를 파악한다. 한편 환경법은 상호 연관성이 커서, 국제규범의 변화를 국내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서는 여러 가지 관련 제도들을 복합적으로 고찰하여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계서비스에 해당하는 것은? 자연 생태계가 인류에게 제공하는 편익, 즉 자연혜택이 생태계서비스(ecosystem services)에 해당한다. 생태계서비스는 공급·조절·지원·문화 서비스로 구성된다.
기회비용의 보전이 되지 않으면 생태계서비스는 어떻게 되는가? 생태계서비스가 유출되는 자연자본을 지속 가능하게 유지하고 보전하기 위해서는 공급자가 자연자본의 상태를 온전히 유지·보전하기 위하여 지출하는 기회비용의 보전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자연자본을 훼손하는 방식으로 토지가 이용되어, 생태계서비스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어렵다. 생태계서비스를 누리는 소비자(수요자)들이 물이용부담금의 경우처럼, 이러한 서비스를 공급하는 토지소유자·관리자나 지역주민들과 생태계서비스를 공유하고 이를 환경보전과 연동시키는 생태계서비스의 가치화와 그 제도화가 요청된다.
UN환경계획의 새천년생태계평가보고서에서 촉구하는 것은? 생물다양성협약 나이로비회의(2000년)에서는 인류를 지구 생태계의 통합적 요소(integral component)의 하나로 인식하는 생태계접근법(ecosystem approach)에 따라 토지, 물 및 자연자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전략이 처음으로 등장하였다(Dolors Armenteras Pascual and Mónica Morales Rivas, 2010). UN환경계획의 새천년생태계평가보고서(2005)는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각국의 정책적 관심을 촉구한다. 생물다양성협약은 당사국들로 하여금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의 경제학(2010) 연구를 활성화시키고 국가별 이행체계 수립을 촉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Biodiversity Division(2014) The Biodiversity of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109pp.(in Korea) 

  2. BMZ and BMUB(2014) Committed to Biodiversity, Metzgerdruck GmbH, Obrigheim, 81pp. 

  3. Dolors Armenteras Pascual and Monica Morales Rivas, translated to English: Alan Hynds(2010) Training Manual on Integrated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Reporting Volume 2 : Application of the ecosystem approach in integrated Environmental Assessments, UNEP, Panama, 53pp. 

  4. Florence Landsberg, Jo Treweek, M. Mercedes Stickler, Norbert Henninger, and Orlando Venn(2013) Weaving Ecosystem Services Into Impact Assessment: A Step-by-Step Method (Version 1.0), World Resources Institute, UNEP, 56pp. 

  5. GIZ (2016) Integrating Ecosystem Services into Development Planning, translated by the National Nature Trust, 81pp.(in Korea) 

  6. Gregory Mankiw, N.(2005) Essentials of Economics(3rd.ed.), translated by Kyong-hwan Kim and Jong-suk Kim, Kyo-bo Books, Seoul, 649pp.(in Korea) 

  7. Joo. W.Y., Kwon. H.S., and Jang. I.Y., et. al.(2016) Korea National Ecosystem Assessment,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Choong-nam, 105pp.(in Korea) 

  8. Laszlo Pinter, Darren Swanson, Ibrahim Abdel-Jelil, Kakuko Nagatani-Yoshida, Atiq Rahman and Marcel Kok(2010), A Training Manual on Integrated Environmental Assessment: IEA Training Module 5 (Integrated analysis of environmental trends and policies),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EP, 68pp.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