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질오염총량을 이용한 생태계 수질조절 서비스 가치 평가
Valuation of Ecosystem Water Quality Regulation Service Using TMDL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9 no.2, 2017년, pp.240 - 245  

이창희 (중원대학교 신재생에너지자원학과) ,  박경옥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유역총량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서비스 중 수질조절 서비스 가치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생태계서비스 수질조절 서비스의 물리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과거에 비해 수질이 개선되고, 어류 등 수생생물의 종과 수가 늘었더라도, 그 요인은 생태계의 수질조절 서비스와 수질개선를 위한 환경기초시설의 확충, 수질환경규제 등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된다. 그 중 생태계 조절서비스 가치에 대해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생태계의 수질조절 서비스를 정량적 가치를 규명하기 위해 수질오염총량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이와 함께 생태계의 수질조절 서비스의 산정된 물리적 수질조절량에 처리단가를 곱함으로써 경제적 가치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평가기법을 이용하여 낙동강 수계에 BOD, T-P 항목에 대해서 생태계 수질가치를 평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ethod to assess quantitatively the amount and the economic value of water quality regulating service of ecosystem services. Numbers of species and aquatic organisms such as fish increased because of the improved water, but it was due to complex factors such as water q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3단계 낙동강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수립에서 기준년도로 이용된 2012년에 대해서 생태계서비스 지표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3단계 낙동강 수질오염 총량관리 기본계획 수립시 환경부에서 최종 검토 승인한 유역 배출부하량(Daegu City, 2015; Gangwon-Do, 2015; Gyeongsangbuk-Do, 2015; Gyeongsangnam-Do, 2015; Pusan City, 2015)을 이용하였고, 환경부에서 단위 유역별로 측정한 자료를 이용하였는데, 수질오염총량관리제에서 운영되는 대상물질이 BOD와 T-P이므로, BOD, T-P에 대해서 생태계 수질가치를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질오염총량을 이용하여 생태계서비스 중 수질조절 서비스 가치 평가를 수행한 연구로써 생태계 서비스 수질조절 서비스의 물리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이용하여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수질 개선은 생태계의 수질조절 능력과 수질처리를 위한 환경기초시설의 확충, 수질환경규제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므로 생태계조절서비스에 대해 정량적으로 산정하기 위해 오염부하량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질조절 서비스 가치 평가를 위한 분석범위를 낙동강 수계에 대해 수질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물환경관리 기본계획(대권역, 중권역,소권역) 및 수질오염총량관리제(단위유역) 등 수질 대책은 유역단위로 운영되고 있는데, 단위유역의 경우 환경부에서 2003년부터 유역출구마다 측정자료(단위유역별로 8일 간격 전후로 년 40회 정도 유량과 수질을 측정)를 축적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측정이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된다.
  • 본 연구에서는 수질조절 서비스 가치산정에 이용되는 단위부하당 처리비용을 산정하기 위해 3단계 낙동강 수질오염총량관리 보고서의 2016년부터 2020까지의 5년간 목표 삭감계획에 따른 총 사업비를 기준으로 연간 처리비용을 Table 1과 같이 추정하였다. Table 1의 처리비용을 이용하여 Table 2(c)에서 산정한 연간 일평균 수질 조절량(kg/Day)에 곱하여 경제적 수질조절 가치를 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질오염총량을 이용하여 생태계서비스 중 수질조절 서비스 가치 평가를 수행한 연구로써 생태계 서비스 수질조절 서비스의 물리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이용하여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수질 개선은 생태계의 수질조절 능력과 수질처리를 위한 환경기초시설의 확충, 수질환경규제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므로 생태계조절서비스에 대해 정량적으로 산정하기 위해 오염부하량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이와 함께 산정된 물리적 수질조절량에 처리단가를 이용하여 생태계의 수질조절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평가 방안 제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의 수질조절 서비스를 정량적으로 산출하고 이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규명하기 위해 오염부하량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유역에 배출된 배출부하량과 유역출구에서 측정한 부하량을 산정하여 수질조절 서비스를 정량화한 물리량을 도출하고, 정량화한 물리량인 수질 정화량을 처리하기 위한 환경기초시설의 처리단가를 고려함으로써 생태계의 수질조절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를 산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기적인 자료 구축의 지속성, 자료의 객관성 및 체계화, 자료의 접근성, 자료의 획득 가능성, 시공간적 범위에 대한 자료 비교의 용이성 등을 고려한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 정부에서 검토, 측정, 제공하는 DB를 토대로 생태계 서비스에 의한 수질조절량과 수질조절 서비스 가치에 대한 계량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계가 인류로부터 받는 피해는? 인류는 생태계를 통해 깨끗한 식수와 공기, 건강한 식량자원, 홍수 및 수질오염으로부터의 보호와 같은 다양한 혜택을 지속적으로 받아오고 있다. 하지만 인류에게 많은 혜택을 주고 있는 생태계는 대기 및 수질오염, 기상이변 및 재해발생, 각종 병해충의 창궐 및 일부 동식물의 멸종 등과 같은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 이에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새천년생태계평가(MA, 2005)를 수행하는 등 자연 생태계가 인류에 주는 혜택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TEEB, 2010a; UK NEA, 2011; OECD, 2010).
인류가 생태계로부터 받아오고있는 혜택은? 인류는 생태계를 통해 깨끗한 식수와 공기, 건강한 식량자원, 홍수 및 수질오염으로부터의 보호와 같은 다양한 혜택을 지속적으로 받아오고 있다. 하지만 인류에게 많은 혜택을 주고 있는 생태계는 대기 및 수질오염, 기상이변 및 재해발생, 각종 병해충의 창궐 및 일부 동식물의 멸종 등과 같은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
생태계서비스로 인한 수질조절량과 이에 대한 가치를 규명하기위한 방법을 추출하는것이 필요한 이유는? 산업화로 인해 악화되었던 수질은 최근 점차 개선되었는데, 이는 생태계의 수질조절 기능과 함께 환경기초시설의 확충, 각종 환경규제 등의 효과가 복합적으로 발휘되면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생태계서비스 중 수질조절 부분에 대한 가치평가 기법을 개발을 위해서 복합적인 요인 중 생태계서비스로 인한 수질조절량과 이에 대한 가치를 규명하기 위한 방법을 추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SE, Kim, JE, Noh, BH, and Kwon, YH (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grated Measurement System to Assess Freshwater Services in Korea(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2. Daegu City (2015). The 3rd Daegu TMDL Plan. [Korean Literature] 

  3. de Groot, RS, Alkemade, R, Braat, L, Hein, L, and Willemen, L (2010). Challenges in integrating the concept of ecosystem services and values in landscape planning, management and decision making, Ecological Complexity, 7(3), pp.260-272. 

  4. Gangwon-Do (2015). The 3rd Gangwon-Do TMDL Plan. [Korean Literature] 

  5. Gutierrez M, and Alonso, M (2013) Which are, what is their status and what can we expect from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Spanish rivers and riparian area, Biodivers Conserv, 22, pp.2469-2503. 

  6. Gyeongsangbuk-Do (2015). The 3rd Gyeongsangbuk-Do TMDL Plan. [Korean Literature] 

  7. Gyeongsangnam-Do (2015). The 3rd Gyeongsangnam-Do TMDL Plan. [Korean Literature] 

  8. Kandziora, M, Burkhard, B, and Muller, F (2013). Interactions of ecosystem properties, ecosystem integrity and ecosystem service indicators - A theoretical matrix exercise, Ecological Indicators, 28, pp. 54-78. 

  9.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2011). Ecosystem building technology for promoting Ecosystem services.[Korean Literature] 

  10. Layke, C, Mapendembe, A, Brown, C, Walpole, M, and Winn, J (2012). Indicators from the global and sub-global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s: An analysis and next steps, Ecological Indicators, 17, pp.77-87. 

  11. MA (2005).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synthesis. Island Press, Washington, D.C. 

  12.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Plan. [Korean Literature] 

  13. NIER (2014). TMDL Guide Line. [Korean Literature] 

  14. OECD (2010). Paying for Biodiversity: Enhancing the Cost-Effectiveness of Payments for Ecosystem Services. 

  15. Pusan City (2015). The 3rd Pusan TMDL Plan. [Korean Literature] 

  16. Ryu, DH and Lee, DK(2013). Evaluation Economic Value of the Greenbelt's Ecosystem Service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J.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8(3), pp.279-292.[Korean Literature] 

  17. TEEB (2009). The Economics of Ecosystems Biodiversity for National and International Policy Makers - Summary: Responding to the Value of Nature. 

  18. TEEB (2010a). The Economic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Ecological and Economic Foundations. 

  19. TEEB (2010b). The Economic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Mainstreaming the Economics of Nature: A synthesis of the approach,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of TEEB. 

  20. TEEB (2011). The Economic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TEEB Manual for Cities: Ecosystem Services in Urban Management. 

  21. UK NEA (2011), UK National Ecosystem Assessment technical repor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