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공간정보를 이용한 수도권의 수자원 공급과 기후완화 기능을 위한 도시림의 생태계서비스 평가
Ecosystem Service Assessment of Urban Forest for Water Supply and Climate Mitigation of Seoul Metropolitan Area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3 no.6 pt.2, 2017년, pp.1119 - 1137  

이수정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유소민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함보영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임철희 (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  송철호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김문일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김세진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이우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 도시숲의 수자원 공급 생태계서비스와 기후완화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하였다. 생태계서비스를 자연기능기반 서비스, 산림의 자연기능과 인구분포를 고려한 생태계서비스, 산림의 자연기능과 수혜자 분포를 고려한 생태계서비스의 세 가지 서비스로 구분하여 평가하고, 이후 기후변화가 생태계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토지피복과 토양 등 자연조건을 반영한 도시림의 수자원 공급서비스의 경우, 경기도가 서울보다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 인구분포를 추가적으로 반영한 서비스 평가에서는 인구가 많은 곳에서 서비스가 높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도시림의 수자원 수혜자 분포를 추가로 반영한 수자원 공급 생태계서비스 평가 결과는 인구분포를 반영한 서비스 평가 결과와 공간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같은 수원함양 기능을 가진 지역이라도 인구분포나 물 사용 수혜자의 분포가 많은 지역일수록 높은 서비스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기후변화가 수자원 공급 생태계에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공급 서비스는 평균적으로 26%정도 줄어들어 전반적인 수자원 공급 생태계서비스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기후완화부문의 경우, 산림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있을수록 높은 온도저감 효과가 나타나 산림주변지역에서 높은 기후완화서비스가 나타났으며, 기후 완화 서비스의 수혜자 인구를 고려한 생태계서비스 평가에서는 수혜인구의 밀도가 높은 서울 도심지역에서 높은 서비스가 나타났다.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 생장량 변화를 반영하여 산림의 기후완화 생태계서비스의 변화를 평가한 결과, 평균적으로 약 33%의 서비스 감소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림을 관리하기 위해서 산림청에서 제시하고 있는 공급기능기반의 6가지(자연환경보전, 산지재해방지, 목재생산, 산림휴양, 생활환경보전, 수원함양) 기능구분 외에 서비스를 수혜하는 수요자 기반의 기능 및 서비스가 평가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는 기존의 산림의 공급기능기반의 평가에서 간과할 수 있는, 자연기능은 낮지만 수혜를 받는 시민들이 많아 높은 서비스 가치를 갖는 산림을 재평가하고 올바른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ssessed the water provisioning and climate mitigation ecosystem services of the urban forest in Seoul and Gyeonggi-do. The ecosystem service assessment is conducted based on natural function, natural function and population, and natural function and the beneficiary of the ecosystem serv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의 6가지 기능은 무엇인가? 또한, 다른 산림과 달리 도시민의 삶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도시숲의 특수성을 감안한 산림의 기능 평가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산림청에서는 산림의 공급기능을 기반으로 산림의 6가지 기능(자연환경보전, 산지재해방지, 목재생산, 산림휴양, 생활환경보전, 수원함양)을 구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산림 관리를 수행해왔다(Seong et al., 2004).
생태계서비스 평가에는 자연의 생태계 기능을 기반으로, 공급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인간의 수요적인 측면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이유는? 생태계서비스는 자연이 인간에게 제공하는 편익이며, 이는 생태계의 구조 및 특성에 따른 생태계 기능에 기반한다(Costanza et al., 1997; de Groot et al.
도시숲이란? 도시숲은 공간적으로는 작은 마을에서부터 대도시에 이르기까지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공간에 가로수, 녹지, 공원 식생이 형성되어 수목 군락을 이루고 있는 지역을 의미하며, 기능적으로 시민들에게 휴양공간을 제공하며 생활환경 및 자연환경을 보전하는 기능을 하는 공간을 의미한다(Byun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eckett, K.P., P.H. Freer-Smith, and G. Taylor, 1998. Urban woodlands: their role in reducing the effects of particulate pollution, Environmental Pollution, 99(3): 347-360. 

  2. Byun, W.H., K.W. Kim, E. Kim, T. Kim, G. Park, M.H. Park, C.R. Park, Y. Son, C. Oh, Y. Youn, D. Lee, W.K. Lee, I.Y. Lee, J.K. Chun, J. Chon, K. Cho, and J. Choi, 2010. Theory and Practice of Urban Forest, Yiche Press,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in Korean). 

  3. Chander, G., B.L. Markham, and D.L. Helder, 2009. Summary of current radiometric calibration coefficients for Landsat MSS, TM, ETM+, and EO-1 ALI sensor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3: 893-903. 

  4. Cho, H.W., C.H. Song, S.W. Jeong, J.S. Kim, and W.K. Lee, 2016. Evaluat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water yield services based on precipitation and pop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9(3): 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i, H., S. Kim, S. Jung, J. Kim, and H. Lim, 2016. Development of Long-term monitoring and management technology for forest water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Republic of Korea (in Korean). 

  6. Costanza, R., R. d'Arge, R. de Groot, S. Farber, M. Grasso, B. Hannon, K. Limburg, S. Naeem, R.V. O'Neill, J. Paruelo, R.G. Raskin, P. Sutton, and M. van den Belt, 1997. The value of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 253-260. 

  7. De Groot, R.S., M.A. Wilson, and R.M. Boumans, 2002. A typology for the classification, description and valuation of ecosystem functions, goods and services, Ecological economics, 41(3): 393-408. 

  8. Dwyer, J.F., E.G. McPherson, H.W. Schroeder, and R.A. Rowntree, 1992. Assessing the benefits and costs of the urban forest, Journal of Arboriculture, 18: 227-227. 

  9. Jeon, S.W., J. Kim, and H. Jung, 2013. A study on the forest classification for ecosystem services valuation - focused on forest type map and landcover Map,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6(3): 31-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Jo, H.W., C.H. Song, S.W. Jeon, J.S. Kim, and W.K. Lee, 2016. Evaluat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Water Yield Service based on Precipitation and Pop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9(3): 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G.S., C.H. Lim, S.J. Kim, J. Lee, Y. Son, and W.K. Lee, 2017. Effect of National-Scale Afforestation on Forest Water Supply and Soil Loss in South Korea, 1971-2010, Sustainability, 9(6): 1-18. 

  12. Kim, M.I., W.K. Lee, Y. Son, S.M. Yoo, G.M. Choi, and D.J. Chung, 2017. Assessing the impact of topographic and climatic factors on radial growth of major forest forming tree species of South Kore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404: 269-279. 

  13. Korea Forest Service (KFS), 2016. National urban forest statistics,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Republic of Korea (in Korean). 

  14. MA, 2005.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Island Press, Washington D.C., USA.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Statistics of Waterworks,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Republic of Korea (in Korean). 

  16. Myeong, S.J., 2009. A study on strategies to mitigate urban heat island effects as par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urban area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jong, Republic of Korea. 

  17. Sharp, R., H.T. Tallis, T. Ricketts, A.D. Guerry, S.A.Wood, R. Chaplin-Kramer, E. Nelson, D.Ennaanay, S. Wolny, N. Olwero, K. Vigerstol,D. Pennington, G. Mendoza, J. Aukema, J.Foster, J. Forrest, D. Cameron, K. Arkema, E.Lonsdorf, C. Kennedy, G. Verutes, C.K. Kim,G. Guannel, M. Papenfus, J. Toft, M. Marsik, J.Bernhardt, R. Griffin, K. Glowinski, N. Chaumont,A. Perelman, M. Lacayo, L. Mandle, R. Griffin,P. Hamel, A.L. Vogl, L. Rogers, W. Bierbower,D. Denu, and J. Douglass, 2016. InVEST+VERSION+ User's Guide, The Natural CapitalProject, Stanford University, University ofMinnesota, The Nature Conservancy, and WorldWildlife Fund, Stanford, CA, USA. 

  18. Seong, G., Y. Park, J. Chung, J. Kim, S. Kwon, and H. Kim, 2004, Development of forest functions classification map,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Republic of Korea (in Korean). 

  19. Song, C.H., W.K. Lee, H.A. Choi, S.W. Jeon, J.U. Kim, J.S. Kim, and J.T. Kim, 2015. Application of InVEST Water Yield Model for Assessing Forest Water Provisioning Ecosystem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1): 120-1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Song, C.H., W.K. Lee, H.A. Choi, J. Kim, S.W. Jeon, and J.S. Kim, 2016. Spatial assessment of ecosystem functions and services for air purification of forests in South Korea, Environmental Science & Policy, 63:27-34. 

  21. W.D. Solecki, C. Rosenzweig, L. Parshall, G. Pope, M. Clark, J. Cox, and M. Wiencke, 2005. Mitigation of the heat island effect in urban New Jersey, Global Environmental Change Part B: Environmental Hazards, 6(1):39-49. 

  22. United Nations, 2015.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The 2014 Revision, Highlight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United Nations, New York, NY, USA. 

  23. Vigerstol, K.L. and J.E. Aukema, 2011. A comparison of tools for modeling freshwater ecosystem servic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2(10): 2403-2409. 

  24. Yoon, M., 2009. The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in quantifying the effect of green areas on urban temperature decrease: focusing on Seoul metropolitan area,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25. Yoon, T.H., 2003. Eco-environment hydraulics, Cheong Moon Gak, Seoul, Republic of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