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폰을 이용한 초등학생 비만관리 복합지원의 잠재적 이로움 : 프로그램 제공자 측면에 대한 질적 연구
Leveraging Multimodal Supports using Mobile Phones for Obesity Management in Elementary-School Children: Program Providers' Perspective from a Qualitative Stud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2 no.3, 2017년, pp.238 - 247  

박미영 (건국대학교 PAP 연구소) ,  심재은 (대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기랑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지윤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roviders' perspectives on current challenges in implementing a program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hildhood obesity and adoption of mobile phone as a potential solution of leveraging multimodal delivery and support in a school setting. Meth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 예방·관리에 있어 모바일 기기 사용의 장점은? 최근에 IoT기술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에너지 섭취량을 계산해주거나 동영상으로 운동을 따라하게 하고 게시판에 정보를 공유하기까지 진보하였다[3]. 비만 예방·관리에 있어 모바일 기기 사용의 장점은 시공간적 제약의 완화와 지속적인 행동수정과 지지를 위한 다양한 콘텐츠를 실시간·양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이 정서적·사회적 지지가 필요한 비만관리에서 개인화된 커뮤니케이션을 확대하고[4] 소속감 및 정체성을 형성하여 효과적일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그러나 어린이 비만의 경우 스마트폰 이용은 사이버 불링과 유해물에 대한 노출가능성 및 신체활동 감소 등 부정적인 측면도 있다[5].
학교에서 어린이 비만 관리가 어려운 이유는? 초등학생의 비만관리에 있어 학교현장은 이상적인 장소이지만 실제 요구되는 교사 간(담임교사, 체육교사, 보건교사, 영양교사 등) 상호공조가 쉽지 않으며 학사 일정 운영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진행해야하는 등 여러 제약이 있다[2]. 현재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비만관리 프로그램은 주로 방과 후 또는 방학 중 단기 프로그램의 형태이므로, 비만이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질병임을 감안할 때 관리의 지속성을 충족할 수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
어린이 비만의 치료와 예방이 필요한 이유는? 국내 초·중·고 학생의 비만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1] 어린이 비만은 주요한 건강문제로 대두되었다. 비만한 어린이는 비만한 어른이 될 가능성이 높고, 생애주기에 걸쳐 지속적인 사회·경제적 비용과 손실을 가져오므로, 어린이 비만이 야기할 잠재적인 문제를 고려할 때 조기 개입을 통한 적극적인 치료와 예방이 필요하다. 또한 어린이는 성장 발달의 과정 중에 있으며 생활의 대부분을 학교에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인 비만 중재와 차별되는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ong HY, Park KO. Health behaviors associated with obesit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J Korean Soc Sch Health Educ 2010; 11(2): 89-102. 

  2. Oh D. The roles of school health education in resolving the obesity of the Korean adolescence. Korea Sport Res 2005; 16(3): 935-944. 

  3. Choi EH, Seo JY. U-health for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Physical activity and therapeutic exercise. J Korean Med Assoc 2009; 52(12): 1154-1163. 

  4. Lee DH. Mobile phone, children's virtual umbilical cord. Creat Crit 2010; 8(1): 78-85. 

  5. Hwang SH, Kang JS. Grounded theoretical analysis on children's smartphone using experience: Focusing on smartphone using experience and overcome strategy. Educ Cult Res 2014; 20(2): 111-134. 

  6. Shin GR.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ranslated version). 1st ed. original written by Strauss A, Corbin JM. Seoul: Hyunmoonsa; 2001. p. 91-110. 

  7. Kim SH, Park MJ. Management of childhood obesity. J Korean Med Assoc 2017 March; 60(3):233-241. 

  8. Jung YH, Ko S, Lim HJ. The Socioeconomic cost of adolescent obesity.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0; 30(1): 195-219 

  9. Sebastian RS, Enns CW, Goldman JD. US adolescents and MyPyramid: Associations between fast-food consumption and lower likelihood of meeting recommendations. J Am Diet Assoc 2009; 109(2): 226-235. 

  10. Nickelson J, Roseman MG, Forthofer MS. Associations between parental limits, school vending machine purchases, and soft drink consumption among Kentucky middle school students. J Nutr Educ Behav 2010; 42(2): 115-122. 

  11. Collison KS, Zaidi MZ, Subhani SN, Al-Rubeaan K, Shoukri M, Al-Mohanna FA. Sugar-sweetened carbonated beverage consumption correlate with BMI, waist circumference, and poor dietary choices in school children. BMC Public Health 2010; 10(1): 234-247. 

  12. Kim OH, Park HA, Cho YG, Kim KW, Hur YI, Song JH et al.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s of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6): 717-726. 

  13. Rosenheck R. Fast food consumption and increased caloric intake: A systematic review of a trajectory towards weight gain and obesity risk. Obes Rev 2008; 9(6): 535-547. 

  14. Bowman SA, Gortmaker SL, Ebbeling CB, Pereira MA, Ludwig DS. Effects of fast-food consumption on energy intake and diet quality among children in a national household survey. Pediatrics 2004; 113(1): 112-118. 

  15. Smith KJ, Gall SL, McNaughton SA, Blizzard L, Dwyer T, Venn AJ. Skipping breakfast: Longitudinal associations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in the childhood determinants of adult health study. Am J Clin Nutr 2010; 92(6): 1316-1325. 

  16. Boulton TJ, Magarey AM, Cockington RA. Tracking of serum lipids and dietary energy, fat and calcium intake from 1 to 15 years. Acta Paediatr 1995; 84(9): 1050-1055. 

  17. Park HJ, Park SM, Lee JM. A survey on eating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for development snack. Korean J Food Cult 2003; 18(2): 151-159. 

  18. Park KH. School and community-based intervention for prevention of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J Korean Acad Fam Med 2004; 25(7): 519-526. 

  19. Song SJ, Kim BR, Choi JH, Kim HK. Mobile health service development trend. Inf Sci Soc 2012; 30(11): 46-52. 

  20. Lee SH, Kim DT. The effects of ubiquitous attributes of mobile contents on consumer acceptance. Korean Acad Assoc Bus Adm 2006; 19(20): 651-678. 

  21. Statistics Korea. Data of youth statistics. [http://kosis.kr/index/index.jsp] 2016. 9. 27 

  22. Tate EB, Spruijt-Metz D, O'Reilly G, Jordan-Marsh M, Gotsis M, Pentz MA et al. mHealth approaches to child obesity prevention: successes, unique challenges, and next directions. Transl Behav Med 2013; 3(4): 406-415. 

  23. Nollen NL, Mayo MS, Carlson SE, Rapoff MA, Goggin KJ, Ellerbeck EF. Mobile technology for obesity prevention: A randomized pilot study in racial-and ethnic-minority girls. Am J Prev Med 2014; 46(4): 404-408. 

  24. Kim YS, Shin JK, Hong IS, Kim SH, Chang UJ. Weight control program through the fortification of food consumption monitoring on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using smart-phone with real time communication application.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6): 697-705. 

  25. Lee EY, Choi BY, Shin YJ, Kim SH, Sohn AR, Ahn DH.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health promoting school program.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2009; 26(2): 87-101. 

  26. Shim E, Kim JS, Ji SM, Sohn TY, Hwang J, Chung EJ. The Effects of a Nutrition and Body Shape Education Program as Part of Health Promoting Projects in an Elementary School.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Korean J Nutr 2010; 43(4): 382-394. 

  27. Cho YG, Song HR, Kim KA, Kang JH, Kang JH, Song YH et al. Effect of a School-based Intervention for overweight children "fitness class" performed o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Korean J Obes 2009;18:146-157. 

  28. No YH, Lee SY, Kang JH. Short term effect of school-based obesity control programs performed on elementary students. J Korean Acad Fam Med 2002; 23(12): 1470-1479. 

  29. Hwang JY, Park MY, Kim KR, Lee SE, Shim JE. Design of service delivery for a child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 using technology convergence. J Nutr Health 2014; 47(5): 374-38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