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심리적 행동특성 및 스트레스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공분산구조분석에 의한 인과모델의 검증-
The Effect of Social Supports, Psychological Behaviors, and Stress on the Depression Symptoms of College Students -Validation of Casual Model using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6, 2017년, pp.209 - 218  

박의수 (대전보건대학교 의무행정정보과)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족의 사회적 지지, 친구의 사회적 지지), 심리적 행동특성(자기존중감, 대인의존행동특성, 통제신념) 및 스트레스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의 남녀 대학생 546명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2015년 10월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우울수준은 가족의 사회적 지지, 친구의 사회적 지지, 자기존중감 및 통제신념이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반면, 대인의존행동 특성과 스트레스가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우울수준은 가족의 사회적 지지, 친구의 사회적 지지, 자기존중감 및 통제신념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대인의존행동특성 및 스트레스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스트레스원의 인지는 사회적 지지의 인지나 심리적 행동특성보다 우울수준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스트레스원의 인지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의 인지나 심리적 행동특성이 낮을수록 우울수준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는 대학생들의 우울수준은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행동특성이 낮고, 스트레스가 높을 경우 증가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특히 다른 요인들보다 스트레스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우울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경험하는 주요 스트레스원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스트레스원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from family, social support from friends), psychologic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self-esteem, interpersonal dependency, locus of control), and stress on the depression levels of college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546 co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때문에 우울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 심리적 행동특성 및 스트레스와 같은 요인들 중에 어떠한 요인이 우울수준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 심리적 행동 특성 및 스트레스에 따른 우울수준을 파악하고,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며,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하여 사회적 지지, 심리적 행동특성 및 스트레스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족의 사회적 지지, 친구의 사회적 지지), 심리적 행동특성(자기존중감, 대인 의존행동특성, 통제신념) 및 스트레스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사회적지지, 자기존중감, 대인의존행동특성, 통제신념, 스트레스 및 우울수준(PWI-SF)의 측정도구는 그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도구이며, 본 연구에서의 설문지 내적 신뢰도를 의미하는 Cronbach's α 값이 모두 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족의 사회적 지지, 친구의 사회적 지지), 심리적 행동특성(자기존중감, 대인 의존행동특성, 통제신념) 및 스트레스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D 광역시의 남녀 대학생 54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2015년 10월에 자기기입식 설문 조사에 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지지는 어떠한 기능을 하는가? 또한, 우울수준은 사회적 지지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2],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우울증상을 적게 보이며,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3,4]. 이처럼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의 완충요인으로서의 기능을 하고, 스트레스의 고저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지지효과가 생긴다고 보고하고 있다[5]. 또한 사회적 지지는 자기존중감, 대인의존행동 특성 및 통제신념과 같은 자신의 심리적 행동특성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6].
대학생들은 어떠한 스트레스를 겪고있는가? 대학생들은 재학 중 취업, 학업, 경제, 이성관계, 대인 관계 등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또한, 대학생은 여러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동시에 부모, 친구, 교수와의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고 이들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받는 대인관계라는 맥락 속에서 생활하고 있다.
우울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트레스원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학생들의 우울수준은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행동특성이 낮고, 스트레스가 높을 경우 증가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대학생의 우울수준은 다른 요인들보다 스트레스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우울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경험하는 주요 스트레스원 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스트레스원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http://kosis.kr, 2016. 

  2. Ji EM, Cho YC., The association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with depressive symptom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5, pp. 2996-3006, 2014. DOI: http://doi.org/10.5762/KAIS.2014.15.5.2996 

  3. Li W.,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and anxiety in college students: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Chinese J of Clinical Psychology, vol. 11, no. 2, pp. 108-110, 2003. 

  4. Wright KB, Rosenberg J, Egbert N, Ploeger., Communication competence,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A model of face book and face-to-face support network influence. J of Health Communication, vol. 18, no. 1, pp. 41-57, 2013. DOI: https://doi.org/10.1080/10810730.2012.688250 

  5. LaRocco J.M., House JS, French JRP., Social support, occupational stress, and health. J Health Soc Behav, 21, pp. 202-218, 1980. DOI: https://doi.org/10.2307/2136616 

  6. Engel M., The stability of the self concept in adolescence. J Abnorm Social Psychol 58, pp. 211-215, 1959. DOI: https://doi.org/10.1037/h0043088 

  7. Park J. W.,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1985 

  8. Yun HJ, Perception of everyday stress and social network support in adolescenc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eoul University, 1993. 

  9.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DOI: https://doi.org/10.1515/9781400876136 

  10. Hirschfeld RMA. A measure of interpersonal dependency. J of Personality Assessment, 41, pp. 129-133, 1977. 

  11. McDonald-Scott. The interpersonal dependency inventory Japanese Short Form: development and evaluation. Kango Kenkyu, vol. 21, no. 5, pp. 451-60, 1988. DOI: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106_6 

  12. Levenson H., Multidimensional locus of control in psychiatric patients. J Cons Clin Psychol, 41, pp. 397-404, 1973. DOI: https://doi.org/10.1037/h0035357 

  13. Goldberg D., Manual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Nfer-Nelson, 1978 

  14. Chang S. J., Standardization of collection and measurement of health statistics data.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Seoul, pp. 92-143. 2000. 

  15. Zung WWK.,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 Gen Psychiatry, 12, pp. 63-70, 1965. DOI: https://doi.org/10.1001/archpsyc.1965.01720310065008 

  16. Kahn R. L., Organizational stress: studies in role conflict and ambiguity. New York: Wiley, 1964. 

  17. Jenkins S. R., Belange A, Connally ML, Boa. First-generation undergraduate students'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J of College Counseling, vol. 16, no. 2, pp. 129-142. 2013. DOI: https://doi.org/10.1002/j.2161-1882.2013.00032.x 

  18. Harris T. L., Cultural orientation, family cohesion, and family support in suicide ideation and depression among African American college students. Suicide and Life Threatening Behavior, vol. 30, no. 4, pp. 341-353. 2000. 

  19. Eom T. W., Relation factors of hopelessness among adolescents and their suicidal ideation: regarding social support effect, Korean Youth Research Association, vol. 15, no. 5, pp. 211-237, 2008. 

  20. Hong Y. S., The influence of their parent's abuse on depression of children: the effects of self-esteem, mental health & social work, 36, pp. 64-81, 2010. 

  21. Choi H. C.,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testing the vulnerability model, the scar model, and the reciprocal effects model, Korean Journal of Counselling, vol. 12, no. 6, pp. 2251-2271, 2011. DOI: https://doi.org/10.15703/kjc.12.6.201112.2251 

  22. Han G. B.,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in childhood and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adult attachment,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14, no. 5, pp. 3065-3087, 2013. DOI: https://doi.org/10.15703/kjc.14.5.201310.3065 

  23. Lee S. J., The effect of sense of social connectedness and autonomy on college adjust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testing a mediation effect of interpersonal problems,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vol. 6, no. 2, pp. 229-248, 2009. DOI: https://doi.org/10.16983/kjsp.2009.6.2.229 

  24. Han NR, Lee DG, Validation of he Korean version of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in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2, no. 1, pp. 137-156, 2010. 

  25. Koo HK, Kim JN, The relations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vol. 15, no. 2, pp. 609-636, 2014. 

  26. Han KS, Self 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ymptoms of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5, no. 3, pp. 585-592, 2005. DOI: https://doi.org/10.4040/jkan.2005.35.3.585 

  27. Lester D., College students stressor,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Psycho. Repo, vol. 114, no. 1, pp. 293-296, 2014. DOI: https://doi.org/10.2466/12.02.PR0.114k10w7 

  28. Talaei A, RezaeiArdani A., PW01-34- depression and its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mong iranian university students. European Psychiatry, 25, SUP1, pp. 1453, 2010. 

  29. Abdel-khalek AM., Obsession-Compulsion, Locus of Control, Depression, and Hopelessness: a Construct Validity of the Arabic Obsessive-Compulsive Scale in American and Kuwaiti Students. Psycho. Repo. 86(3/2, pp. 1187-1188, 2000. 

  30. Richardson A, Field T, Newton R, Bendell D. Locus of control and prenatal depression. Infant Behavior & Development, vol. 35, no. 4, pp. 662-668, 2012. DOI: https://doi.org/10.1016/j.infbeh.2012.07.006 

  31. McBride C, Bagby R. M., Rumination and Interpersonal Dependency: Explaining Women's Vulnerability to Depression. Canadian Psychology, 47, no. 3, pp. 184-194. 2006. DOI: https://doi.org/10.1037/cp2006008 

  32. Takagishi Y, Sakata M, Kitamura T., Effects of self-esteem on state and trait components of interpersonal dependency and depression in the workplace. J of clinical psychology, 67, no. 9, pp. 918-926. 2011. DOI: https://doi.org/10.1002/jclp.20815 

  33. Rusby JSM, Harris JM, Tasker F., Female interpersonal dependency: Genetic and Environmental Components and its Relationship to Depression a function of age. Aging and Mental Health, 17, no. 8, pp. 1044-1051, 2013. DOI: https://doi.org/10.1080/13607863.2013.807421 

  34. Sawatzky RG, Ratner PA, Richardson CG, Wa., Stress and Depression in Students: The Mediation Role of Stress Management Self-efficacy. Nursing Research, 61, no. 1, pp. 13-21, 2012. DOI: https://doi.org/10.1097/NNR.0b013e31823b1440 

  35. Hafen M, Ratcliffe GC, Rush BR., Veterinary Medical Student Well-being: Depression, Stress, and Personal Relationships. J of Veterinary Medical Education, 40, no. 3, pp. 296-302. 2013. DOI: https://doi.org/10.3138/jvme.1112-101R 

  36. Bae S. Y., Kim S. H., Analysis of convergent influence of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and job seeking stress on depression among college women of health affiliated educatio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 no. 3, pp. 269-278, 2016. DOI: https://doi.org/10.14400/JDC.2016.14.3.2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