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Career Stress in 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5, 2019년, pp.287 - 293  

김미정 (전주비전대학교 치위생과) ,  임차영 (전주비전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대학생이 진로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효과적인 진로지도로 사회적 지지를 이용한 상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 전주시 J 대학교 보건계열 재학생 총 30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기기입법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은 사회적 지지, 진로 스트레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성적 스트레스가 낮은 경우와 가구풍요도 점수가 높은 군에서 사회적 지지가 높게 나타났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성적 스트레스가 높은 경우 진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계열 학생의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요인 변수로 진로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학년이 낮을수록, 가구풍요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지지가 진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사회적 지지는 진로 스트레스를 받는 보건계열 대학생에게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감을 높여 스트레스 상황을 견딜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social support perceived by a health science student affects career stres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counseling using social support as an effective career guidance. This study subject to 307 students from J university in Jeonju. The survey was co...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보건계열 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감을 높여 스트레스 상황을 견딜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므로 보건계열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진로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효과적인 진로지도를 위한 상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조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대학생이 진로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효과적인 진로지도를 위한 상담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전주시 J대학교 보건계열 재학생 30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대학생이 진로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효과적인 진로지도를 위한 상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로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대학생들이 진로를 탐색하고 결정하는 과정과 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진로 스트레스라고 하며[1], Lee는 진학 및 취업과 관련된 문제로 인하여 학교생 활에서 신체적, 심리적 평형상태가 파괴되고 위기, 긴장감 또는 불안을 느끼는 상태를 진로 스트레스라고 정의하였다[2].
보건계열 학생이 진로 스트레스를 받는 원인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입시 위주의 수동적 중·고등학교 생활로 인해 다양한 직업체험의 기회를 갖지 못하고 성적위주의 학업에만 몰두하다보니 대학진학을 개인의 적성과 진로보다는 성적에 맞추어 진학을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보건계열 학생의 경우 취업이 어느 정도 보장된 다는 이유로 적성을 고려하지 않고 입학하는 경우가 있어 자신의 적성과 맞지 않음을 발견하고 학과부적응 등스트레스를 받는 부정적인 경우가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대학생활로 접어들면서 그동안 억압 되었던 행동의 표출은 흡연, 음주에 쉽게 노출되고 수면과 식사의 무절제로 인해 신체적 건강의 약화를 초래 하기도 한다.
대학생활의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한편 대학 입학 후 집을 떠나 기숙사, 하숙, 자취 등의 주거생활변화를 경험하는 학생들이 평균 40-50%에 이르고 있어 사회적 지지 체계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를 경험하는 학생들이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3]. 대학생들은 이러한 정신적, 사회적, 환경적 생활변화를 받아들이면서 겪게 되는 과정에 부적응의 문제를 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아울러 대학 졸업 후 취업을 해야 하는 부담과 걱정으로 인하여 진로결정, 취업준비 등 또 다른 스트레스를 가중 경험하게 된다[4]. 이러한 대학생활의 스트레스는 낮은 학업성취, 대인관계 문제, 우울, 불안 등의 정서적 심리적 부적응[5]을 유발하고 더 나아가 대학생활의 주관적, 심리적 안녕감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6-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W. J. Seo. (2007).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and optimism on level of career decision, career preparetion behavior, and career stress of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2. S. H. Lee.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parent-related career support, Journal of Asia Pacific counseling. 13(3), 1461-1479. 

  3. Y. J. Park 1st Author et al. (2002). Social support, stressful life events, and health behaviors of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6), 792-802. DOI: 10.4040/jkan.2002.32.6.792 

  4. H. J. Jo. (2013). A study on the stress involved in preparing for employment on college student's happiness :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Studies on Korean youth. 24(1), 157-184. 

  5. Joyce P. Yi, Ronald E. Smith, & Peter P. Vitaliano. (2005). Stress-resilience, illness, and coping: a person focused investigation of young women athlete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8, 257-265. DOI: 10.1007/s10865-005-4662-1 

  6. K. H. Koo. (2008).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life stress and self-elasticity on school life adaptation.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7. H. J. Ki. (2010).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on pstchological well-being: Focused on the moderator effect of the mindfulnes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8. O. H. Lee. (2012). The influence of life stress,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1), 29-57. 

  9. K. H. Cha. (2004).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1(3), 321-337. 

  10. J. O. Han. (2004).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career determination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self-determina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eir relation to career decision-making.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1. K. H. Kang. (2010).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self-esteem and employment stress.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12. K. U. Kim & Y. H. JO. (2011). Mediation and moderation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career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among freshme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4), 197-218. 

  13. K. H. Seo. (2011). Relationships between stresses, problem-focused coping, upward/downward comparison coping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8), 217-236. 

  14. J. E. Sim, H. Y. An & J. H. Kim.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role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32(1), 103-118. 

  15. J. W. Park. (1985).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6. S Cohen & G McKay. (1984). Social support, stress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A theoretical analysis. In A Baum, S. E. Taylor& J. E. Singer(Eds.). Handbook of psychology and health, NJ: Hillsdale. 

  17. K. Eil (1984). Social networks, social support and health status: a review, social service review.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8. M. S. Jo & K. S. Choi. (2007). A model testing on ego-identity,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late adolescence. Journal of Asia Pacific counseling. 8(3), 1085-1099. 

  19. E. H. Lee. (2004). Life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9(1), 25-48. 

  20. Y. S. Kim. (2003). A study on life stress and coping style of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21. J. Y. Park & S. M. Park. (2017). Influence of college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on career development level of college students who majors in health or social welfare.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49(2), 180-186. DOI: 10.15324/kjcls.2017.49.2.180 

  22. J. W. Park, M. J. Kwon. (2018). The Convergence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on SNS Addiction Tendency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Society. 9(4), 453-460, DOI: 10.15207/JKCS.2018.9.4.453 

  23. S. Y. Han & S. H. Yoon. (2017). Self-esteem, psychosocial distress,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index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healthcare-related college students. Korean J Health Commun. 12(2), 177-187. 

  24. H. L. Lee & J. Y. Song. (2004). The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 The Korean Jounal of Counseling. 5(2), 393-407. 

  25. J. H. Ryu & T. S. Kim. (1998). Effects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employment stress and stress response patterns. Hanyang University Student Life Counseling Institute, University Life Research. (16), 211-232. 

  26. H. L. Lee, S. M. Kim, M. S. Chun & S. K. Choi. (2008). A structural analysis of career stress, career barriers,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1(4), 59-80. 

  27. J. H. Kim. (2013). Mediation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Master'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Mokpo. 

  28. C. L. Jung. (2017).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ndecision and career stress of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29. K. M. Kim. (2006).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rearing attitudes,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30. M. K. Kim. (2011). Phenomenological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happiness experi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10), 1-34. 

  31. H. J. Seo & J. U. Kim. (2009). Self-esteem and happiness caused by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family strength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4(3), 141-178. 

  32. G. Y. Jo & H. S. Park. (2011). Predictors of subjective happiness for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1), 160-169. DOI: 10.5762/KAIS.2011.12.1.160 

  33. M. H. Nam & M. R. Lee. (2014).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happiness index of health behavior, self esteem and major satisfaction by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Society. 12(10), 363-374. DOI: 10.14400/JDC.2014.12.10.3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