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조성숙도평가 MRL8 평가 방법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Manufacturing Readiness Levels(MRLs) 8 of Manufacturing Readiness Assessment(MR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6, 2017년, pp.609 - 619  

이지혁 (국방기술품질원) ,  정영탁 (국방기술품질원) ,  임재성 (국방기술품질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조성숙도평가(Manufacturing Readiness Assessment, MRA)는 제조 준비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체계, 부체계의 개발 및 양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정지연, 비용 상승, 품질 저하 등을 방지하지 위해서 2012년에 제도화되었다. 제조성숙도 평가는 군수품의 양산단계의 제조상 위험성을 사전에 식별하여 관리한 결과, 군수품의 품질수준이 개선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실제 수행 시 피평가자가 평가항목에 대해 맞춤형으로 준비를 하면서 평가점수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등 준비상태 점검이라는 본래의 목적과는 달리 점수만 상승하는 평가점수 인플레 현상이 심화되는 문제점이 식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과거 업체의 MRA 평가항목 이력을 반영하기 위해 HOM8, 평가항목 난이도를 반영하기 위한 DOM8, 평가항목의 중요도 및 사업별 특성을 고려한 ICOM8과 M8RA를 각각 정의하여 네가지 지표 가중치를 적용한 MWV(Manufacturing Readiness Level 8 Weighted Value)을 정의한 정량적인 MRA 평가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을 통해 기존에 실시된 4개 사업에 대한 평가항목 간 MWV를 계산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안된 MRL 8 평가 방법론의 개선결과를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Manufacturing Readiness Assessment (MRA) was adapted to prevent the probable ascending expense, poor quality, and delay from the development to production phase and assess the level of manufacturing readiness in 2012. Consequently, there ar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quality to identify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RL 평가항목에 대한 과거 평가이력을 정량화하기하여 나타내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HOM8 값을 8등급으로 구분하여 계량화 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 제조성숙도평가 현황을 살펴보면 2014년에는 2개 미달성, 4개 조건부 달성, 2015년 0개 미달성, 6개 조건부 달성, 2개 달성 등 2012년 국내 시범적용 이후 MRA 평가결과 점수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점수 인플레이션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단순 평가항목에 대한 동일한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으로는 내실있는 MRA평가에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가항목 가중치를 구하기 위한 요소를 식별하고, 요소에 대한 측정 가능한 지표를 제안하여 MRL 8 평가항목 고도화에 관한 MRA 가중치 모델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가중치가 동일한 기존 평가방법 대신 평가 항목에 대한 중요도를 고려하기 위한 네 가지 지표를 선정하고, 정량적인 데이터에 근거한 정밀한 MRL8 평가 모델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지난 MRA 평가결과에는 평가항목에 대한 ‘달성’ 또는 ‘미달성’에 관한 자료만 존재하여, 해당 지표에 대한 정밀한 데이터를 얻지 못하여 평가모델의 신뢰성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MRL 8 평가항목의 과거 업체의 이력, 난이도, 중요도 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지표를 정의하고, 항목별 가중치를 정량적으로 계산한 MWV 방식의 MRL 8에 대한 평가모델을 제안하였다. 기존 MRL 8 평가방식은 항목 간 가중치를 동일하게 부여하여, 달성 또는 미달성으로 전체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방식을 따르고 있으나, 평가항목 별 중요도가 고려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평가점수가 상승하는 점수 인플레이션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전체 점수가 80점 이상이면 MRL 8 평가가 조건부 달성되는 점을 고려하여 피평가자 입장에서는 일부 미달성 항목에 대해서는 전략적 선택을 함으로써 전체 평가가 달성되도록 하는 문제점이 식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에 제도화된 MRA 평가체계에 대해 논하고, 기존 방식에서 탈피하여 과거 업체의 MRA 평가항목 이력을 반영하고, 평가항목 난이도, 평가항목의 중요도 및 사업별 특성 등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한 새로운 방식의 MWV(Manufacturing Readiness Level8 Weighted Value)을 이용한 MRA 평가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을 통해 기존에 실시된 4개 사업에 대한 평가항목 간 MWV를 계산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안된 MRL8 평가 방법론의 개선결과를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이러한 요소는 중요도에 동일한 비중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사업별 특성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요소별 가중치는 판단하기 위해서는 각 요소별 중요도를 판단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정량적 지표 개발이 필요한 부분으로 앞으로의 연구과제이며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가중치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여 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조성숙도평가란? 제조성숙도평가(MRA : Manufacturing Readiness Assessment)는 제조 준비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체계, 부체계, 구성품의 개발 및 양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정지연, 비용 상승, 품질 저하 등을 방지하지 위한 것으로 국내에서는 2010년도 K계열 사건으로 불리는 무기체계 품질 불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1년 방위사업청·국방기술품질원 주관의 전순기 품질관리 추진방안 과제 중의 하나로 제안되었다[1]. MRA는 2012년 1월 방위사업관리규정에 반영되는 등 제도화 되었고 처음 국내에 도입된 이후 지금까지 약 30회에 걸쳐 국방 무기체계 획득사업에 적용되었으며, 군수품의 양산단계의 제조상 위험성을 사전에 식별하여 관리한 결과, 군수품의 품질수준이 개선되고, 양산사업 전 준비의 필요성 공감이라는 긍정적인 효과가 발생되었다 [2].
제조성숙도 평가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제조성숙도평가(Manufacturing Readiness Assessment, MRA)는 제조 준비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체계, 부체계의 개발 및 양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정지연, 비용 상승, 품질 저하 등을 방지하지 위해서 2012년에 제도화되었다. 제조성숙도 평가는 군수품의 양산단계의 제조상 위험성을 사전에 식별하여 관리한 결과, 군수품의 품질수준이 개선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실제 수행 시 피평가자가 평가항목에 대해 맞춤형으로 준비를 하면서 평가점수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등 준비상태 점검이라는 본래의 목적과는 달리 점수만 상승하는 평가점수 인플레 현상이 심화되는 문제점이 식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과거 업체의 MRA 평가항목 이력을 반영하기 위해 HOM8, 평가항목 난이도를 반영하기 위한 DOM8, 평가항목의 중요도 및 사업별 특성을 고려한 ICOM8과 M8RA를 각각 정의하여 네가지 지표 가중치를 적용한 MWV(Manufacturing Readiness Level 8 Weighted Value)을 정의한 정량적인 MRA 평가모델을 제안한다.
MRA 제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것들이 필요한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평가항목 간 중요도 등을 고려한 가중치 개발을 통해 보다 정교한 평가 모델 연구가 필요하나, 현재 이루어진 연구는 평가항목간 중요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로서 기존 연구결과는 명백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6]-[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Y. Kim, S.-Y. Rhee, and J. W. Park, "Report on Review of Manufacturing Readiness Assessment Checklist",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2011. 

  2. D. Kim, Y. Kim, and B. Jang, "Manufacturing Readiness Assessment(MRA) : Customization to Korean Acquisition Systems",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2011. 

  3. H. W. Kim, S. Woo, and B. K. Jang, "A Study on Readiness Assessment for The Acquisition of High Quality Weapon System", J. Korean SoC. Qual. Mang., vol. 41, no. 3, pp. 395-404, Sep. 2013. DOI: http://doi.org/10.7469/JKSQM.2013.41.3.395 

  4. Y. Yang,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anufacturing Readiness Assessment for Product Development", The 8th Conference on National Defense Technology, pp. 350-357, July 2012. 

  5. D. Kim, C. Kim, and J. Lee, "A Study on Manufacturing Readiness Assessment for Development Phase", The 7th Conference on National Defense Technology, pp. 373-383, July 2011. 

  6. Joint Defense Manufacturing Technology Panel Manufacturing Readiness Level Working Group, Manufacturing Readiness Level Guide Feb. 2007. 

  7. OSD Manufacturing Technology Program In collaboration with The Joint Service/Industry MRL Working Group, MRL_Deskbook ver. 2, May 2011. 

  8. S. Y. Jeon and B. K. Jang, "A Conceptual Study for MRA Information System and Advanced Method for Operating Definition",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2015. 

  9. S. Woo, J. H. Lee, and J. S. Lim, "A Study on the System Readiness Assessment Procedure Development through a case study in Defecse R&D Programs", J. Korean SoC. Qual. Mang., vol. 42, no. 1, pp. 111-128, Mar. 2014. DOI: http://doi.org/10.7469/JKSQM.2014.42.1.111 

  10. DAPA Instruction no. 218, MRA Instruction, 2014. 5. 23. 

  11. Defense of Department, Risk Management Guide for Defense Acquisition Programs, 7th Edition, Dec.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