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산층 베이비부머의 연속보호체계형 은퇴주거단지에 대한 선호특성
Middle-Class Baby-Boomers'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8 no.3, 2017년, pp.75 - 83  

김미희 (전남대학교 생활복지학과,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문희정 (전남대학교 생활복지학과,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om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Post-retire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CCRCs) favored by those baby-boomer generations soon retiring. A web-based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middle-class baby-boomers liv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중산층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후 선호하는 거주특성을 파악해 봄으로써 이들의 은퇴주거단지에의 선호경향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은퇴주거단지의 구성형태선호, 지역사회와의 연계에 대한 관심도, 입주의사 등을 파악해 봄으로써 향후 은퇴주거단지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둘째, 이러한 선호특성이 베이비부머의 배경특성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규명한다.
  • 구체적으로는 은퇴주거단지의 구성형태선호, 지역사회와의 연계에 대한 관심도, 입주의사 등을 파악해 봄으로써 향후 은퇴주거단지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둘째, 이러한 선호특성이 베이비부머의 배경특성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규명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서울 및 수도권과 6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중산층 베이비부머들을 대상으로 은퇴 후 선호하는 거주지역과 살고 싶은 집, 자녀와의 동거의사 등에 관한 거주특성을 먼저 파악하였고, 연속보호체계형 은퇴주거단지(CCRCs)의 구성형태와 CCRCs 내 자립주거, 생활보조주거, 요양시설 각각에의 입주의사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배경특성 및 거주관련 특성과의 관련성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조사에서는 웹을 이용한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했기 때문에 이 메일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산층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이들이 선호하는 은퇴 후 거주관련 특성과 CCRCs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것이 배경 특성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베이비부머란? 우리나라는 급격한 인구구조의 변화와 함께 최근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에 대해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베이비부머란 출생률이 급증한 1955년부터 출산율이 둔화되는 1963년까지 태어난 세대로 현재 직장과 사회의 중산층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대부분 도시에서 젊은 세대를 보냈기 때문에 노후생활도 도시에서 살아가기를 희망한다.
베이비부머 세대가 도시에서 살고 싶은 이유? 베이비부머란 출생률이 급증한 1955년부터 출산율이 둔화되는 1963년까지 태어난 세대로 현재 직장과 사회의 중산층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대부분 도시에서 젊은 세대를 보냈기 때문에 노후생활도 도시에서 살아가기를 희망한다. 그리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고, 여가문화를 즐기기 위해서 지불의사를 가지고 있을 정도로 여가문화에 대한 욕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ark, 2016).
베이비부머세대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 현재 혹은 가까운 미래에 노인이 되는 베이비부머세대는 경제적 풍요를 바탕으로 활발한 사회활동을 하던 세대로 이들이 본격적으로 은퇴를 하고 난 이후에 안정된 노후를 보내기 위해 어떤 장소에서 살고 싶은지, 어느 지역에서 거주하고 싶은지, 누구와 함께 거주하고 싶은지 등에 따라 주택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며, 노인을 위한 주거시설 및 커뮤니티의 유형과 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질 것이다(Moon, 2016). 노후의 주거공간은 은퇴 이후 삶의 질을 좌우하는 만큼 최근에는 노인복지주택과 같은 은퇴 이후 노인을 위한 주거공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ek, S. G., Yoo, S. P., & Hwang, J. W. (2016). A study on the decision-making factors of living-in idea into elderly welfare housing of middle-aged classe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8(1), 151-170. 

  2. Choi, H. J., & Choi, B. S. (2011). The local city consumers' intention and attitude to move to group home for elderly based on community friendly concept.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6), 11-19. 

  3. Choi, S. H. (2009). A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elderly hous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4. Delfani, N., & Deken, J. D. (2015). Poor because of low pensions or expensive housing the combined impact of pension and housing systems on poverty among the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Housing Policy, 15(3), 260-284. 

  5. Gee, E. Y., Kim, H. S., Chae, H. W., & Eun, N. S. (2009). A study on development of type of Korean housing for elderly. Gyeonggi: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6. Groger, L., & Kinny, J.(2006). CCRC here we come! Reasons for moving to a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y. Journal of Housing for the Elderly, 20(4), 79-101. 

  7. Jang, B. H., & Hong, H. O. (2013). A study on the baby boomer's awareness and preferences about user-charged senior housing. Proceeding of the Korean Housing of Association, Vol. 25, No. 1 (pp. 315-320), Seoul, Korea. 

  8. Jo, N. Y., & M, S. Y. (2013). A study on the residency preference factors related with the welfare housing for the elderly. Social Welfare Policy, 40(3), 51-74. 

  9. Kim, H. S. (2012).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preference depending on retiree's financial prepar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eui University, Busan, Korea. 

  10. Kim, H. Y., Lee, Y. S., & Yoon, H. G. (2010). The study on housing characteristics preferred by baby boomer after retirement -Focusing on apartment's residents of Gangnam region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5), 83-92. 

  11. Kim, M. H. (2015). The exploratory study for development and planning of Korean style university -Based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6(1), 119-128. 

  12. Kim, M. H., & Km, S. K. (2013). Baby boomers' residential life image and supportive service needs at postretirement homes -With a focus on Korean-American immigran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2(5), 3-10. 

  13. Kim, M. H., & Oh, J. Y. (2014). The fundamental study for development and planning of Korean style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5(5), 93-102 

  14. Lee, K. Y. (2003) Introduction to living environment for the aged in the United States. Architectural & Urban Research Information Center, 124-135. 

  15. Lee, M. S. (2012)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moving into the elderly housing facilities of baby boomer gener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Gyeongbuk, Korea. 

  16. Lee, S. G. (201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etirement village for the baby boomer gene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7. Lim, G. H. (2015). Intention of Korea babyboomer's residential choice and mobility after retir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sung University, Seoul, Korea. 

  18. Moon, M. K. (201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etirement village for the baby boomer gene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The future direction forum for the first generation-Baby boomer.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16 years and '17 years median income.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1. Park, G. Y. (2016). Institutional improvement in the analysis of their preference for the elderly welfare housing of the baby boom gener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22. Seo, M. H. (2011). The effects of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program on successful ag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Gyeongbuk, Korea. 

  23. Shi, Z. X., Kang, S. J., & Kim, J. Y. (2013). A study on the preference about the elderly welfare housing of babyboomers-Focusing in Korea and China. Proceeding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ol. 25, No. 2, (pp. 385-390), Seoul, Korea. 

  24. Song, J. H. (2014). A study on the urban elderly housing for the community integration.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0(9), 35-44 

  25. Statistics Korea.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report. Seoul: Statistics Korea. 

  26. Statistics Korea. (2015).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report. Seoul: Statistics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