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방의료기관에서의 감기 진료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조사
A Survey in the General Population on the Perception of the Common Cold Treatment at the Korean Medical Clinic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8 no.3, 2017년, pp.336 - 352  

김도형 (대구자생한방병원) ,  조민경 (부산대학교 한방병원) ,  홍미나 (부산대학교 한방병원) ,  최준용 (부산대학교 한방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the common cold treatment at the Korean Medical Clinic,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common cold. Method: A qu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한방의료기관에서의 감기 진료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및 이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온라인 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인식 조사와 이용 실태 및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기존 설문 조사 방법을 참고하여 자체개발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 의료기관 방문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닌 인터넷 설문 조사를 통해 한방의료기관에서의 감기 진료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과 이용실태 및 만족도를 분석하고, 만족 요인 및 불만족요인에 대한 원인을 조사하여 앞으로 한의 감기 치료 진료지침 개발에 필요한 사항들과 실제 진료 현장에서 요구되는 부분들, 개선 방안 등,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검토하여 한방의료기관에서 감기 진료를 하는데 있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기란? 감기는 기침, 가래, 콧물, 코막힘, 재채기, 인통, 혹은 발열까지 동반하는 증후군으로써1, 일상생활에서 가장 흔하게 이환되어 개인적 고통과 경제적 손실 면에서 사회에 큰 부담이 되고 있는 질환이다2.
감기의 한방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감기는 가장 흔하게 접하는 질환이지만 근본 치료약이 없기 때문에 대증 치료를 위주로 시행하고 있지만 뚜렷한 효과가 없고 오히려 대증 치료에 이용하는 항히스타민제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졸음이나 위장관 출혈의 합병증의 부작용이 있고, 항생제 역시 내성률 증가를 초래하는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3,4.
감기를 대증치료하는 이유는? 감기는 가장 흔하게 접하는 질환이지만 근본 치료약이 없기 때문에 대증 치료를 위주로 시행하고 있지만 뚜렷한 효과가 없고 오히려 대증 치료에 이용하는 항히스타민제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졸음이나 위장관 출혈의 합병증의 부작용이 있고, 항생제 역시 내성률 증가를 초래하는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asper D.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volume 1. 19th edition. New York: McGraw-Hill Professional Publishing; 2015, p. 225-6. 

  2. Benson V, Marano MA. Current estimates from the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1995. Vital Health Stat 10 1998;199:1-428. 

  3. Yang SY, Byun JS, Hwang JH, An JJ, Hong KE, Kang WC, et al. Study of Instruments for Assessment and Clinical Research Trends in Common Cold. J Korean Oriental Med 2008;29(2):165-81. 

  4. Fashner J, Ericson K, Werner S. Treatment of the common cold in children and adults. Am Fam Physician 2012;86(2):153-9. 

  5. Eisenberg DM, Davis RB, Ettner SL, Appel S, Wikey S, Van Rompay M, et al. Trends in alternative medicine use in the United States, 1990-1997: results of a follow-up national survey. JAMA 1998;280(18):1569-75. 

  6. Byun JS, Yang SY, Jeong IC, Hong KE, Kang W, Yeo Y, et al. Effects of So-cheong-ryoung-tang and Yeon-gyo-pae-dok-san on the common cold: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trial. J Ethnopharmacol 2011;133(2):642-6. 

  7. Heo JS, Yang SY, Lim SA, Lee JM, Kang JY, Sun SH, et al. A manual acupuncture treatment attenuates common cold and its symptoms: a case series report from South Korea. J Tradit Chin Med 2016;36(6):724-9. 

  8.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6년 진료비통계지표.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5030000&cmsurl/cms/medi_info/07/03/03/1353263_27404.html&subject2016%EB%85%84%20%EC%A7%84%EB%A3%8C%EB %B9%84%ED%86%B5%EA%B3%84%EC%A7%80%ED%91%9C 

  9. Lee SR, Park EW, Cheong YS, Choi EY, Lim SJ, Sung HJ, et al. Patient's Perspective of Common Cold and Health Care Utilization.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09;30(6):440-8. 

  10. Hong YJ, Chai DW, Park HS, Keum KS, Lee SH. A Study on Common Cold Patients utilizated of Korean Medical Clinic.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Korean Medical Informatics 2013;19(1):1-34. 

  11. Lee JW, Kim GC.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Degree of Korean Medical Care.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12;16(2):47-58. 

  12. Kwon SW, Shin KH, Jung WS, Moon SK, Cho KH. Acupuncture therapy for fever induced by viral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URTI) in military medical service: a case series. Acupunct Med 2014;32(6):509-11. 

  13. Kawakita K, Shichidou T, Inoue E, Nabeta T, Kitakouji H, Aizawa S, et al. Preventive and curative effects of acupuncture on the common cold: a multicent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Japan. Complement Ther Med 2004;12(4):181-8. 

  14. Chung SH, Lee SM, Jeon JH, Kim JH, Kim YI. The Research about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n Korean Medicine. Collection of papers of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of Dae-Jeon University 2013;22(1):105-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