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의 미네랄 함량과 커피 관능 특성에 관한 상관 분석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Mineral Contents in Water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ffee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3 no.4 = no.87, 2017년, pp.105 - 115  

어희지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  김주신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ater is an essential ingredient to brew coffee. Mineral contents in the water can affect both water quality and taste quality of coffee. The effects of minerals in the water on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ffee were investigated in different water samples (A: Arisu, B: Claris, C: Spring water, D: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국내에서 시판되는 생수와 약수 및 정수의 주요 미네랄 함량을 분석하고, 여러 종류의 물로 추출된 커피의 관능 특성을 정량적 묘사 분석기법과 선호도를 통하여 검토하는 데 있다. 둘째, 특정 이온 함량에 따른 커피 맛과 시료 간 미네랄 함량의 관계를 정준 상관 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커피 맛에 영향을 미치는 관능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커피 추출수로써 물의 품질 및 유효성을 평가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물의 미네랄 함량이 커피 관능 특성에 영향을 끼치어 본연의 맛을 왜곡시킬 수 있다는 기존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진행되었다. A(서울시 아리수), B(클라리스 정수), C(국립현충원 약수), D(삼다수), E(에비앙) 그리고 대조군인 증류수를 대상으로 먹는물 수질시험공정에 근거하여 pH 및 경도와 주요 미네랄(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함량을 분석하였다.
  •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서 시판되는 생수와 약수 및 정수의 주요 미네랄 함량을 분석하고, 여러 종류의 물로 추출된 커피의 관능 특성을 정량적 묘사 분석기법과 선호도를 통하여 검토하는 데 있다. 둘째, 특정 이온 함량에 따른 커피 맛과 시료 간 미네랄 함량의 관계를 정준 상관 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커피 맛에 영향을 미치는 관능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커피 추출수로써 물의 품질 및 유효성을 평가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피 추출 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추출 과정은 커피의 미세한 입자와 물과의 상호 작용으로 인한 현상으로 복잡하고 역동적이다. 위와 관련된 변수는 추출 기구의 구조나 형태, 생두의 블렌드, 로스팅 정도, 분쇄 입도, 커피와 물의 비율 그리고 수질 상태로, 이는 결국 추출된 커피의 관능적인 특성, 농도 또는 추출된 수율과 커피 베드 안에서 유속의 저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고되었다(Fond, 1995).
커피 가공 공정의 마지막 단계인 추출 과정과 관련된 변수에는 무엇이 있는가? 추출 과정은 커피의 미세한 입자와 물과의 상호 작용으로 인한 현상으로 복잡하고 역동적이다. 위와 관련된 변수는 추출 기구의 구조나 형태, 생두의 블렌드, 로스팅 정도, 분쇄 입도, 커피와 물의 비율 그리고 수질 상태로, 이는 결국 추출된 커피의 관능적인 특성, 농도 또는 추출된 수율과 커피 베드 안에서 유속의 저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고되었다(Fond, 1995). 따라서 물은 커피 다음으로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며, 물 속에 함유된 미네랄 이온들이 적정 함량 이상일 경우 커피의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되었다(Pangborn, Trabue, & Little, 1971).
물에 용존된 미네랄이 커피 공정 과정 중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따라서 물은 커피 다음으로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며, 물 속에 함유된 미네랄 이온들이 적정 함량 이상일 경우 커피의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되었다(Pangborn, Trabue, & Little, 1971). Gardner(1958)와 Lingle (1996)의 연구에 따르면, 물에 용존된 미네랄은 커피 향미를 뽑아낼 뿐만 아니라, 커피 맛에 일조하기도 하며, 과도한 용존 유기물 등은 커피 입자를 통과하는 유속의 흐름을 제한시키거나, 수용성 물질이 추출되는 것을 가로막기 때문에, 추출 과정에 영향을 주게 되어 마지막 결과물인 커피 향미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하였다. 물은 그동안 머신이나 기계 관리를 위한 주요한 요소였으나, 정량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물은 점차적으로 커피 다음으로 중요한 본질적인 요인으로 보고된 바 있다(Beeman, Songer, & Lingle,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 O. A. 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Washington, D. C: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2. An, S. S., Kang, Y. J., Wi, H., Kim, J. M., Lee, Y. G., Park, O. H., & Paik, K. J. (2009). Distribution of mineral contents in portable ground water of Gwang Ju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12(3), 185-191. 

  3. Beeman, D., Songer, P., & Lingle, T. (2010). The Water Quality Handbook. California: Specialty Coffee Association of America. 

  4. Bruvold, W. H. (1970). Mineral taste and the potability of domestic water. Water Research, 4(5), 331-340. 

  5. Bruvold, W. H., & Gaffey, W. R. (1969). Rated acceptability of mineral taste in water II. combinatorial effects of ions on quality and action tendency rat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3(4), 317-321. 

  6. Bruvold, W. H., Ongerth, H. J., & Dillehay, R. C. (1967). Consumer attitudes toward mineral taste in domestic water. Journal of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59(5), 547-556. 

  7. Bruvold, W. H., & Pangborn, R. M. (1966). Rated acceptability of mineral taste in wat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0(1), 22-32. 

  8. Cidu, R., Frau, F., & Tore, P. (2011). Drinking water quality: comparing inorganic components in bottled water and Italian tap water. 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24(2), 184-193. 

  9. Cox, G. J., Nathans, J. W., & Vonau, N. (1955). Subthresholdto- taste thresholds of sodium,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ions in water.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8(3), 283-286. 

  10. Doo, Y. K., Kim, J. H., Kim, C. S., & Chang, D. (2000). Comparison of water quality of domestic natural mineral water. The Korean Journal of Sanitation, 15(1), 88-94. 

  11. Fond, O. (1995). Effect of water and coffee acidity on extraction. Dynamics of coffee bed compaction in espresso type extraction. Proc. 16th ASIC Coll., 413-421. 

  12. Franca, A. S. (2005). Composition of green and roasted coffees of different cup qualities.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8(7), 709-715. 

  13. Gardner, D. G. (1958). Effect of certain ion combinations commonly found in portable water on rate of filtration through roasted and ground coffee. Journal of Food Science, 23(1), 76-84. 

  14. George, S. E. (2008). A perception on health benefits of coffee. Critical Review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48(5), 464-486. 

  15. Hendler, S. S. (1990). The Doctor's Vitamin and Mineral Encyclopedia. New York: Simon & Schuster; Reprint edition. 

  16. Hendon, C. H., Colonna-Dashwood, L., & Colonna-Dashwood, M. (2014). The role of dissolved cations in coffee extractio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62, 4947-4950. 

  17. Hendon, C. H., & Colonna-Dashwood, M. (2015). Water for Coffee. Bath, UK: Ripe Digital Print. 

  18. Illy, A., & Viani, R. (2005). Espresso Coffee: The Science of Quality. California: Elsevier Academic Press. 

  19. Joo, H. L., & Kye, S. J. (2011). Accessible Food Science. Seoul, Korea: Hyoil Publishing. 

  20. Jung, E. A., Choi, S. K., & Namkung, Y. (2011).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low salt fermented king mushroom (Jjangachi) added with different amounts of soy sauce.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7(5), 231-240. 

  21. Kim, J. H., & Choi, J. B. (2014). Comparison of mineral conten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bottled water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0(4), 49-58. 

  22. Kim, K. J., & Park, S. K. (2006). Changes in major chemical constituents of green coffee beans during the roasting. The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8(2), 153-158. 

  23. Kwon, D. M., Kim, S. Y., Choi, Y. J., Choi, S. H., & Lee, K. S. (2009). Study on mineral characteristics of spring water in Busan. The Annual Report of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19(1), 133-141. 

  24. Lee, C. S. (2016). Brand Reputation of Mineral Waters. Seoul, Korea: The Korea Financial Times Publishing. 

  25. Lee, N. R., Kim, Y. M., & Choi, B. S. (1997).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nstituents to affect the health and taste in bottled drinking waters.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10(6), 459-467. 

  26. Lee, S. Y., Hwang, I. K., Park, M. H., & Seo, H. S. (2007). Sensory characteristics of diluted espresso in relation to dilution rate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23(6), 839-847. 

  27. Lingle, T. R. (1996). The Coffee Brewing Handbook. California: Specialty Coffee Association of America. 

  28. Lockhart, E. E., Tucker, C. L., & Merritt, M. C. (1955). The effect of water impurities on the flavor of brewed coffee. Journal of Food Science, 20(6), 598-605. 

  29.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Korean Drinking Water Standard Method. Seoul,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30. Navarini, L., & Rivetti, D. (2010). Water quality for espresso coffee. Food Chemistry, 122(2), 424-428. 

  31. Pangborn, R. M. (1982). Influence of water composition, extraction procedures, and holding time and temperature on quality of coffee beverage.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5(3), 161-168. 

  32. Pangborn, R. M., Trabue, I. M., & Little, A. C. (1971). Analysis of coffee, tea and artificially flavored drinks prepared from mineralized waters. Journal of Food Science, 36(2), 355-362. 

  33. Park, E. A. (2014).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donopsis lanceolate leave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0(4), 183-192. 

  34. R Development Core Team. (2011).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the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ISBN: 3-900051-07-0. Available online at http://www.R-project.org. 

  35. SCAA. (2009). SCAA Protocols; Cupping Specialty. California: Specialty Coffee Association of America. 

  36. Shin, W. R., Choi, Y. M., & Yoon, H. H. (2011).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espresso coffee according to grinding grades of coffee bean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27(1), 85-99. 

  37. Shin, H. S. (1996). Analysis of natural mineral water and water quality.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9(1), 122-143. 

  38. Teillet, E., Urbano, C., Cordelle, S., & Schlich, P. (2010). Consumer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bottled and tap water. Journal of Sensory Studies, 25(3), 463-480. 

  39. Whelton, A. J., Dietrich, A. M., Burlingame, G. A., Schechs, M., & Duncan, S. E. (2007). Minerals in drinking water: impacts on taste and importance to consumer health. Water Science & Technology, 55(5), 283-291. 

  40. Song, E. S., Kim, E. K., & Woo, N. R. Y. (2006). Survey on the local residential utilization and the mineral content of mineral water in Chung Nam area.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19(4), 515-525. 

  41. Yang, T. W., Kim, K. J., Bang, E. O., Seo, C. H., Song, H. S., Hwang, H. K., & Seo, W. S. (2007). Distribution of the mineral contents of drinking-water in Chung Nam area. Journal of Chung Nam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17, 81-93. 

  42. Yoon, S. J., & Lee, Y. S. (2016). Characteristics of quality for sulgidduk with Momordica charantia L. powder.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2(8), 135-1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