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화수학 교과서 과제의 인지적 노력수준에 대한 학생 인식 분석
Analysis of Students' Cognition for Enrichment Mathematics Textbook Tasks' Levels of Cognitive Demand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7 no.4, 2017년, pp.615 - 637  

정혜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이경화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심화수학 교과서 과제의 인지적 노력수준에 대한 학생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학생에게 주어진 학습기회의 실제 발현 여부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이론적 틀에 기반 한 분석을 통해 심화수학 교과서 과제의 분포에 나타난 특징과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둘째, 실제 심화수학 교과서를 사용하는 학생들이 교과서 과제의 인지적 노력수준 분포와 관련하여 인식하고 있는 특징과 한계점을 살펴보고, 교과서에 제공된 학습기회가 실제로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셋째, 심화수학 교과서가 과학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교재라는 측면에서, 영재교육을 위한 학습기회가 제공되고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심화수학 교과서에는 PNC 과제가 주로 제시되어 있었으며, 학생들 역시 PNC 과제의 해결경험이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영재교육을 위한 과제가 제공되지 않았으며, 학생들 역시 이에 대한 경험이 부족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realization of the opportunity to learn given to students by examining students' cognition for enrichment mathematics textbook tasks' levels of cognitive demand. First, we analyz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방형 과제란? 191). 또한 개방형 과제란, 주어진 하나의 문제에 대해 유일한 정답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접근 방식에 따라 다양한 해결 전략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답을 산출할 수 있는 문제를 의미한다(김은혜, 박만구, 2011). 이들은 모두 문제해결 시 공식과 같은 정형화된 접근보다, 새롭고 다양한 접근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창의성 유발 과제,비알고리즘적 과제의 성격을 지닌다.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과 관련하여 이론적 측면과 실제적 측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한계점은? 본 연구의 분석 결과, 과제의 인지적 노력수준과 관련하여 이론적 측면과 실제적 측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한계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과제의 인지적 노력수준의 분포에 있어서 다양성과 단계성 부족, 영재학생을 위한 DM 과제의 부재가 발견되었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향후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교과서 제작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으로 결론에 갈음하고자 한다.
심화수학 교과서 분석은 왜 필요한가? 한편, 국내의 여러 연구들(권지현, 김구연,2013; 김동중 외, 2015; 김미희, 김구연, 2013; 정혜윤, 이경화, 2016; 홍창준, 김구연, 2012)은 주로 일반 초, 중, 고등학교에서 사용되는 교과서에 제시된 과제에 대한 분석을 하였으며, 과학고등학교에서 별도로 사용(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2016)되는 수학 교과서인 심화수학 교과서(김훈, 김병옥, 서창환, 차성훈, 전영철, 박윤주,2011, 2012) 과제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상황이다. 하지만 심화수학 교과서 분석은 과학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양태연, 한기순, 이정훈, 박인호, 김일, 2013)해주며, 나아가 수학ㆍ과학 우수학생에게 심화된교육기회의 제공이라는 과학고등학교의 설립취지(Choi, 2014)에 맞는 교수ㆍ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김홍원, 2003)는 측면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갖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화수학 교과서 과제의 인지적 노력수준에 대한 분석을 그 특징과 한계점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2. 김동중, 배성철, 김원, 이다희, 최상호(2015). 중학교 2학년 수학 교과서의 수학 과제 분석: 스토리텔링 유형을 고려하여. 수학교육논문집, 29(3), 281-300. 

  3. 권지현, 김구연(2013).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기하영역의 수학 과제 분석. 수학교육, 52(1), 111-128. 

  4. 김미희, 김구연(2013). 고등학교 교과서의 수학과제 분석. 학교수학, 15(1), 37-59. 

  5. 김병섭(2010). 편견과 오류 줄이기. 서울: 법문사. 

  6. 김성희, 방정숙(2005). 수학 교수 학습 과정에서 과제의 인지적 수준 분석: 초등학교 '비와 비율' 단원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5(3), 251-272. 

  7. 김양권, 송상헌(2010). 초등 수학 영재를 위한 도형수 과제의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 개발 절차와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745-768. 

  8. 김은혜, 박만구(2011). 수학 영재교육 대상 학생과 일반 학생의 개방형 문제해결 전략 및 행동특성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1), 19-38. 

  9. 김하림, 이경화(2016). 중등 수학 예비교사의 미분계수 과제 변형. 학교수학, 18(3), 711-731. 

  10. 김홍원(2003). 영재 교수-학습 방법의 성격과 영재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수학교육논문집, 17, 1-16. 

  11. 김훈, 김병옥, 서창환, 차성훈, 전영철, 박윤주(2011). 고등학교 심화수학 1. 서울 : 한국과학창의재단. 

  12. 김훈, 김병옥, 서창환, 차성훈, 전영철, 박윤주(2012). 고등학교 심화수학 2. 서울 : 한국과학창의재단. 

  13. 도종훈(2016). 활용도 높은 수학교과서의 모형 및 예시 단원 개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3), 239-260. 

  14. 박진용, 신성균, 함승연, 이영아, 남창우, 손예희, 신명경, 김민정(2011). 수요자 중심의 교과서 체제 개발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PRO 2011-4. 

  15. 신명경, 김민정(2011). 수요자 중심의 교과서 체제 개발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PRO 2011-4. 

  16. 박화영, 김수환(2006). 개방형 과제를 활용한 수학 영재아 수업 사례 분석. 수학교육 논문집, 20(1), 117-145. 

  17. 송상헌(2002). 수학 영재를 위한 교수 원리 및 방법의 적용에 대한 소고.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논총, 14, 312-329. 

  18. 양태연, 한기순, 이정훈, 박인호, 김일(2013). 영재교육 교재 적합도 및 교육내용 분석. 과학영재교육, 5(1), 1-14. 

  19. 정혜윤, 이경화(2016). 우리나라와 미국 수학 교과서의 과제 비교: 평행사변형 조건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8(4), 749-771. 

  20. 한인기(2001). 중등학교 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분석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1(3), 175-202. 

  21. 홍창준, 김구연(2012). 중학교 함수 단원의 수학 과제 분석. 학교수학, 14(2), 213-232. 

  22. 황혜정, 나귀수, 최승현, 박경미, 임재훈, 서동엽(2013). 수학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23. Brown, M. W. (2011). The Teacher-tool Relationship : Theorizing the Design and Use of Curriculum Materials. In Remillard, J. T., Herbel-Eisenmann, B. A., & Lloyd, G. M. (Eds.), Mathematics Teachers at Work: Comparing Curriculum Materials and Classroom Instruction. pp. 21-36. New York: Routledge. 

  24. Choi, K. M. (2014). Opportunities to Explore for Gifted STEM Students in Korea : From Admissions Criteria to Curriculum. Theory Into Practice, 53, 25-32. 

  25. Henningsen, M., & Stein, M. K. (1997). Mathematical Tasks and Student Cognition: Classroom-Based Factors That Support and Inhibit High-Level Mathematical Thinking and Reason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al Education, 28(5), 524-549. 

  26. Hiebert, J., & Wearne, D. (1993). Instructional Tasks, Classroom Discourse, and Students' Learning in Second-Grade Arithmetic.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0(2). 

  27.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2016). 2016년 과학고등학교 현황. 

  28. Mati?, L. J., & Gracin, D. G. (2016). The Use of the Textbook as an Artefact in the Classroom: A Case Study in the Light of a Sociodidactical Tetrahedron. Journal fur Mathematik-Didaktik, 37(2), 349-374. 

  29. McAllister, B. A., & Plourde, L. A. (2008). Enrichment Curriculum : Essential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Education, 129(1), 40-49. 

  30. Otten, S., & Soria, V. M. (2014).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Learning and Their Participation During Enactment of Middle School Algebra Tasks. ZDM, 46, 815-827. 

  31. Pepin, B., Gueudet, G., & Trouche, L. (2013). Investigating Textbooks as Crucial Interfaces Between Culture, Policy and Teacher Curricular Practice: Two Contrasted Case Studies in France and Norway. ZDM, 45(5), 685-698. 

  32. Remillard, J. T., Harris, B., & Agodini, R. (2014). The Influence of Curriculum Material Design on Opportunities for Student Learning. ZDM, 46(5), 735-749. 

  33. Remillard, J. T., & Heck, D. J. (2014). Conceptualizing the Curriculum Enactment Process in Mathematics Education. ZDM, 46, 705-718. 

  34. Rezat, S. G. (2006). The Structure of German Mathematics Textbooks. ZDM, 38(6), 482-487. 

  35. Rezat, S. G. (2013). The Textbook-in-use: Students' Utilization Schemes of Mathematocs Textbooks Related to Self-Regulated Practicing. ZDM, 45(5), 659-670. 

  36. Rezat, S., & StraBer, R. (2012). From the Didactical Triangle to the Socio-didactical Tetrahedron: Artifacts as Fundamental Constituents of the Didactical Situation. ZDM, 44(5), 641-651. 

  37. Son, J. W. (2012).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Reform Curricula in Korea and the US in terms of Cognitive Complexity: The Case of Fraction Addition and Subtraction. ZDM, 44, 161-174. 

  38. Son, J. W. & Senk, S. L.(2010). How Reform Curricula in the USA and Korea Present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74(2), 117-142. 

  39. Sowell, E. J. (1993). Programs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Gifted Child Quarterly, 37(3), 124-131. 

  40. Stein, M. K., Grover, B. W., & Henningsen, M.(1996). Building Student Capacity for Mathematical Thinking and Reasoning: An Analysis of Mathematical Tasks Used in Reform Classroom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3(2), 455-488. 

  41. Stein, M. K., Remillard, J., & Smith, M. S.(2007). How Curriculum Influences Student Learning. In Lester, F. K.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ccount. pp. 319-369.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42. Stein, M. K. & Smith, M. S.(1998). Mathematical Tasks as a Framework for Reflection: From Research to Practice.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3(4), 268-275. 

  43. Thompson, D. R., Senk, S. L., & Jonhson, G. J. (2012). Opportunities to Learn Reasoning and Proof in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3(3), 253-295. 

  44. Valverde, G. A., Bianchi, L. J., Wolfe, R. G., Schmidt, W. H., & Houang, R. T. (2002). According to the Book: Using TIMSS to Investigate the Translation of Policy into Practice Through the World of Textbooks. Dordrecht: Kluwer. 

  45. Wikins, M. M., Wikins, J. L. M., & Oliver, T. (2006). Differentiating the Curriculum for Elementary Gifted Mathematics Students.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13(1), 6-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