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7 no.4, 2017년, pp.701 - 725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스스로 대화에 참여하여 자신과 상대방 간의 생각을 나누는 과정, 즉 반성, 변화 및 설득해 가는 과정에서 논증 활동을 경험하는 기회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수학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이뤄지는 논증 활동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논증 활동 요소 중 하나인 '반박'에 중점을 두어 학생들이 수학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반박의 유형이 무엇인지, 또 논증 활동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반박이 논증 요소 중 무엇을 목표로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때 Verheij(2005)가 제안한 다섯 가지 반박 유형에 기초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3학년 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두 개의 기하 과제 중심의 토론 수업을 약 50분씩 두 차례 진행하고, 한 차례 반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의 논증 활동에서 반박 유형에 초점을 두고 논증 활동을 세밀하게 탐색해 봄으로써 논증 활동에 대한 보다 견고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Students need to have opportunities to share their ideas with peers by taking part in the conversation voluntarily that is, by persuading others and reflecting the consequence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is point,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students' argumentation occurring in the process ...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반박이란? | 한 마디로, 반박의 의미는 어떤 의견, 주장, 논설 따위에 반대하여 말하는 것(국립국어원 표준 국어대사전)으로, 타인의 의견이나 주장이 성립될 수 없는 조건으로 정의되며(한혜진 외, 2012), 결국 반박은 어떠한 예외적인 상황에서 얻을 수 있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자료 즉 견고한 상대방의 의견을 허용하여,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거나 무효화 되도록 하는 것이다(Verheij, 2005). | |
논증을 고려한 교실수업을 위해 교사는 무엇을 교수하여야 하는가? | 따라서 교실 수업에서 논증을 고려할 때 교사는 학생들에게 논증 요소인 자료, 주장, 보장, 반박 등의 요소를 가르치고, 토론 활동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주장을 펼칠 때 이들 요소를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교수하여야 한다(이선경, 2006). 또한 학생들의 토론 활동에서 하나의 주장에 의한 단순 논증에서 벗어나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는 논증으로의 탐색이 이루어지도록 교사의 적절한 중재와 도움이 필요할 것이다. | |
반박을 포함한 논증이 높은 수준의 논증 활동에 중요한 이유는? | Erduran(2008)은 반박을 포함한 논증은 질적으로 향상된 논증의 필수 요소이며, 이러한 향상된 논증을 통해 보다 높은 수준의 논증 활동을 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반박이 있는 대화를 통해 학습자 자신의 주장을 검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방과 함께 논증을 반박할 수 있는 대화에 참여하는 것이라면 이러한 반박의 존재는 논증 활동에서 지속적으로 다뤄져야 할 지표라 보았다. |
강순민(2004). 과학적 맥락의 논의 과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논의과정 요소의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강현영, 송은영, 조진우, 이경화(2011). 통계적 논증 활동을 강조한 통계수업의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1(4), 399-422.
국립국어원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김동원(2007). 틀의 차이를 극복하기 -수학교실에서의 논증분석 연구-. 수학교육, 46(2), 173-192.
문아영(2016). 초등학생들의 소집단 논증 활동에서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반박' 양상의 사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양일호, 김기영, 임성만, 김은애, 김성운(2015). 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SSI) 상황에서 반박 자료와 감정이입상황에 따른 초등학생의 의사결정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8(1), 66-75.
이윤경(2016). 고등학교 확률통계 담화분석: Mehan의 이론, Toulmin의 논증패턴, Peirce의 가추법을 중심으로.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경산.
Dunham, W.(2004). 수학의 천재들. (조정수 역), 서울: 경문사. (1995).
Erduran, S.(2007). Methodological foundations in the study of argumentation in science classrooms. In Erduran, S., & Jimenez-Aleizandre, M. P. (Eds.)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pp. 47-69). Dordrecht, the Netherlands: Springer.
Erduran, S.(2008).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An Overview. In Erduran, S., & Jimenez-Aleizandre, M. P. (Eds.)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pp. 12-16). Dordrecht, the Netherlands: Springer.
Inglis, M., Mejia-Ramos, J. P., & Simpson, A. (2007). Modelling mathematical argumentation: The importance of qualifica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6(1), 3-21.
Krummheuer, G.(1995). The ethnography of argumentation. In P. Cobb & H. Bauersfeld (Eds.), The emergence of mathematical meaning: Interaction in classroom cultures (pp. 229-269). Hillsdale, NJ: Erlbaum.
Magalhas, M., & Martinho, M. H.(2012). The role of graphical calculator in developing mathematial argumentation. Retrived from http://www.icme12.org/upload/UpFile2/TSG/1308.pdf.
McCrone, S. S.(2005).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discussion: An investigation in a fifth grade classroom.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7(2), 111-133.
Pedemonte, B.(2007). How can the relationship between argumentation and proof be analysed?.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6(1), 23-41.
Sampson, V., & Clark, D. B.(2008). Assessment of the ways students generate arguments in science education: Current perspective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directions. Science Education, 92(3), 447-472.
Simon, S., Erduran, S., & Osborne, J.(2006). Learning to teach argumen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science classroo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3), 235-260.
Toulmin, S. E.(2003). The uses of argument.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Verheij, B.(2005). Evaluating arguments based on Toulmin's scheme. Argumentation, 19, 347-371.
Vincent, J., Chick, H., & McCrae, B.(2005). Argumentation profile charts as tools for analysing students' argumentations. In H. Chick & J. Vincent (Eds.), Proceedings of the 29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Vol. 4 (pp. 281-288). Melbourne, Australia: IGPME.
Whitenack, J. W. & Knipping, N.(2002). Argumentation, instructional design theory and students's mathematical learning: a case for coordinating interpretive lenses.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21, pp. 441-457.
Yackel, E., & Cobb, P.(1996). Sociomathematical norms, argumentation, and autonomy in mathematic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7, pp. 458-477.
Yackel, E.(2002). What we can learn from analyzing the teacher's role in collective argumentation.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21, pp. 423-440.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