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와 모의 양육태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또래 유능성의 조절 효과
Moderating Effects of Peer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s and Depression by Gender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아동학회지, v.38 no.3, 2017년, pp.65 - 73  

서유진 (침례신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김사라형선 (침례신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peer competence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s and depression among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The differences are examined based by gender. Methods: 'The Children's Perception of the Par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한 부와 모의 양육태도, 우울,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를 성별에 따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성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와 모의 양육태도, 우울, 또래 유능성 간에 차이가 있는지, 둘째, 아동이 지각한부와 모의 양육태도, 우울, 또래 유능성 간에 상관관계를 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와 모의 양육태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또래유능성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2개의 초등학교 5학년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담임선생님들에게 연구의 목적과 설문지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부모의 동의를 얻어 아동들에게 배부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는 총 200부가 회수되었으며 이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응답이 누락된 설문지가 없어서 200부를 모두 분석에 사용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와 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우울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또래 유능성이 부와 모의 양육태도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일 수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래 유능성이 부모 양육태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난다면 아동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 또래 유능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안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구체적으로는 첫째, 성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와 모의 양육태도, 우울, 또래 유능성 간에 차이가 있는지, 둘째, 아동이 지각한부와 모의 양육태도, 우울, 또래 유능성 간에 상관관계를 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와 모의 양육태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또래유능성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와 모의 양육태도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또래 유능성의 조절효과를 보고자한다. 성별에 따라 보는 것은 여아가 남아보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더 많이 지각한다는 연구(Rhee, 1997)와 부모의 양육태도와 성별은 무관하다는 연구(D.
  •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한 부와 모의 양육태도, 우울,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를 성별에 따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성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와 모의 양육태도, 우울, 또래 유능성 간에 차이가 있는지, 둘째, 아동이 지각한부와 모의 양육태도, 우울, 또래 유능성 간에 상관관계를 보고자 하였다.
  • 아동은 주변의 상황을 보다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특성이 있어 아동에게 인식된 부모 양육태도를 측정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Ha, 2006).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를 통해 아동의 우울과 또래 유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기의 특징은 무엇인가? 아동기는 인지적,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급격한 성장을 하고 있는 시기이므로 이 시기의 우울은 발달 영역 전반에 거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아동기 우울증의 증상으로는 슬픔, 무기력 같은 정서적 우울감과 더불어 짜증, 과다활동, 공격적 행동, 친구관계 악화, 무단결석, 성적 저하, 신체 증상과 자살 사고가 나타날 수 있다(K.
아동기 우울함에 대한 관심이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아동기 우울은 사춘기를 전후해서 급격히 증가하는데 잠재되어있는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일상 상황에서 쉽게 발견하기 어렵다(Lee, 2015). 또한 청소년기의 정서장애와 다양한 사회기술과 행동장애 저하로 나타나기도 하며, 성인기가 되어 범죄 · 비행행동, 알코올 중독 등 우울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아동기 우울함에 대한 관심이 요구 된다(Kwon, 2013).
우울에 대한 연구가 주로 청소년이나 성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에는 정신건강 분야에서 우울에 대한 연구가 주로 청소년이나 성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했다. 이것은 아동의 우울증이 성인우울증과 증상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고 그 증상이 우울증이라고 명확하게 명명할 수 없으며 다른 신체적인 반응으로 대체해서 나타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아동기 우울은 사춘기를 전후해서 급격히 증가하는데 잠재되어있는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일상 상황에서 쉽게 발견하기 어렵다(Lee,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sher, S. R., & Hymel, S. (1981).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 peer relations: Sociometric and behavioral assessment. In J. Wine & H. Syme (Eds.), Social competence (pp. 125-157). New York: Guilford Press. 

  2. Baumrind, D. (1967). Effects of authoritative parental on child behavior. Child Development, 37(4), 887-907. doi:10.2307/1126611 

  3. Baumrind, D. (1973). The development lf instrumental competence through socialization. In A. D. Pick (Ed.),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pp. 3-46).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 Bowlby, J. (1973). Attachment and loss: Vol 2. Separation, anxiety, and anger. New York: Basic Books. 

  5. Bullock, J. R. (1989).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management of peer interaction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Family &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17(3), 263-269. doi:10.1177/1077727X8901700306 

  6.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The Guilford Press. 

  7. Kail, R. V. (2003). Children and their development. NJ: Prentice-Hall. 

  8. Kovacs, M. (1983).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s for school-aged youngsters (Unpublished manuscript). Pittsburgh, PA: University of Pittsburgh. 

  9. Ladd, G. W., Profilet, S. M., & Hart, C. H. (1992). Parents' management of children's peer relations: Facilitating and supervising children's activities in the peer culture. In R. D. Parke & G. W. Ladd (Eds.), Family-peer relationships: Modes of linkage (pp. 215-253).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0. McGuire, K. D., & Weisz, J. R. (1982). Social cognition and behavior correlates of preadolescent chumship. Child Development, 53(6), 1478-1484. doi:10.2307/1130074 

  11. Rapee, R. M. (1997). The potential role of child rearing practices in the development of anxiety and depress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17(1), 47-67. doi:10.1016/S0272- 7358(96)00040-2 

  12. Schaefer, E. S. (1965). Children’s reports of parental behavior: An inventory. Child Development, 36(2), 413-424. doi:10.2307/1126465 

  13. Cho, G. S. (2016).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on regulatory focus among college students: Mediating the effects of ego-resiliency.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7(5), 19-31. doi:10.5723/kjcs.2016.37.5.19 

  14. Choi, Y.-K., & Lee, J.-Y. (2011).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and children’s depression: Tes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stress-coping behavior and self-control.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0(2), 235-251. 

  15. Ha, M.-S. (2006). Children-perceived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elf elasticity and their influence on school life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0809297 

  16. Jang, A. N., Noh, A. Y., & Lim, S. J. (2008). The relations among early object relationship perceived by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 and depression.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9(2), 727-737. 

  17. Jung, S. Y. (2001).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child's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7914941 

  18. Kang, M. H., Chang, Y. J., & Jeong, J. O. (1998). Child mental health. Seoul: Jeong Min-Sa. 

  19. Kang, S. Y., & Kang, M. H. (2006). Relationships among mother’s perfectionism, child-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Journal of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19, 53-73. 

  20. Kim, M. K., Oh, Y. H., & Oh, K. S. (2005).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on social anxiety symptom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4(3), 599-614. 

  21. Kim M. S.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friendship qualit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ability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242578 

  22. Kim, S. H. S. (2015). Effects of an integrative group counseling program on decreasing depression, increas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of children. Asian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13(4), 21-39. 

  23. Kwon, S. M. (2013). Modern psychology. Seoul: Hakjisa. 

  24. Lee, Y. K. (2015). The influences of children's anger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Moderating effects of anger coping style and selfesteem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640867 

  25. Lim, E.-C. (2005). The relationships between anxiety/depression and friendship characteristic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 link?idT9715351 

  26. Oh, S. S., & Lee, J. S. (1982). The relationship of child's perception to parenting styl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RN 82-11- 01). Seoul: Korea Institute for Research in the Behavioral Science. 

  27. Park, D. M.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730085 

  28. Park, J., & Rhee, U. (2001). Development of a peer competence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1), 221-232. 

  29. Park, K. B., & Shin, M. S. (1991). Perceived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1), 298-314. 

  30. Park, Y.-S., & Byun, S-H. (2016).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type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3), 317-331. doi:10.5762/KAIS.2016.17.3.317 

  31. Rhee, U. (1997). Maternal support networks, perceptions of parenting difficulty, and children’s development. Journal of Korea Home Economics Association, 35(3), 31-45. 

  32. Yoon, S. Y., & Chung, K.-M.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erceived parental over protectiveness and college students’ morality.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20(4), 307-3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