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학회지에 게재된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고찰: 1984-2016년
A Review of Published Instruments for Children and their Families in th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아동학회지, v.38 no.3, 2017년, pp.91 - 111  

김경은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박주희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임지영 (경북대학교 아동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review scales and tests developed for or validated with children and their families that were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from 1984 to 2016.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format of the selected ins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난 30여 년간 아동학회지에 게재된 검사도구 개발 연구 혹은 국외 검사도구의 타당화 연구들을 중심으로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과 해당 측정도구들의 심리측정적 특성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대상은 아동학회지에 처음으로 측정도구 개발 논문이 나온 1984년부터 2016년까지 아동학회지에 게재되었던 논문들 중에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거나 국외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화 작업을 한 측정도구 관련 연구 76편에 국한한다.
  • 이를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포함하는 측정의 양호도를 중심으로 연구들을 평가하고 관련 정보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작업에 있어 과거 관련 연구에서 고려되었던 심리측정적 특성의 기준 뿐만 아니라 최근 연구에서 적용하고 있는 심리측정적 특성 기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향후 측정도구 개발 혹은 타당화 연구 수행시 고려해야 할 심리측정적 특성의 기준에 대한 정보도 제시하고자 한다. 본 고찰을 통해 양질의 측정도구의 중요성과 체계적인 타당화 과정 등에 대한 아동학 연구자들의 관심을 고취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또한 본 연구는 기존에 개발되었거나 타당화된 측정도구들의 심리측정적 특성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포함하는 측정의 양호도를 중심으로 연구들을 평가하고 관련 정보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지난 30여년 간 아동학회지에 게재되었던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에 대한 연구 76편을 요약하고 그 경향을 측정내용과 형식, 그리고 측정의 양호도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개발된 측정도구나 검사 도구는 관련 분야의 후속 연구를 파생시키고 해당 분야의 연구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 본 연구의 목적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아동학회지에 게재된 연구에서 개발 혹은 타당화된 것으로 언급된 측정도구들에 대한 전반적인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국내 아동학 연구자들이 주로 관심을 기울여 개발해왔던 혹은 타당화 작업을 하였던 검사도구의 연구 분야, 연구대상 연령, 그리고 형식(평가자, 평가방식, 반응양식)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가 현재까지 어느 분야의 발달 영역을 평가하기 위해, 어느 연령의 집단을 대상으로, 그리고 어떠한 평정 방법이나 반응 양식을 주로 활용하였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알 수 있을 것이다.
  • 또한 본 연구는 기존에 개발되었거나 타당화된 측정도구들의 심리측정적 특성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포함하는 측정의 양호도를 중심으로 연구들을 평가하고 관련 정보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작업에 있어 과거 관련 연구에서 고려되었던 심리측정적 특성의 기준 뿐만 아니라 최근 연구에서 적용하고 있는 심리측정적 특성 기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향후 측정도구 개발 혹은 타당화 연구 수행시 고려해야 할 심리측정적 특성의 기준에 대한 정보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 검토된 측정도구 관련 연구는 아동의 발달적 특성을 평가하는 측정도구를 비롯하여 아동의 주요 환경인 가족이나 교육·보육기관에 관련된 특징을 부모나 교사의 태도나 평가 등을 통해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를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보육기관에 관련된 척도개발의 척도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한편, 가족관련 평가 도구의 경우 주로 양육행동, 언어통제, 양육참여, 양육효능감 등 부모역할 수행과 관계가 있는 행동이나 태도 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들이었고, 그 외에 부부간 갈등, 가정환경자극,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자 만족도 척도가 개발되었다. 교육/보육기관에 관련된 척도개발은 아동의 발달과 직접 관련이 있는 교사요인(예: 문제행동지도전략, 효능감,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 등)에 대한 것이 가장 많았고, 교육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나 환경특성 평가 도구의 개발은 적은 편이었다. 기타 영역에 포함된 측정도구로는 정신건강 위험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아동 개인, 가족, 환경적 특성을 포괄적으로 평가하도록 개발되어 위에 제시한 어느 한 범주에 포함시킬 수 없는 통합적 측정도구와 부모-아동 간 수학적 상호작용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 등이 있었다.
심리 측정도구가 부적절하게 연구에 사용되는 경우의 예는? 그러나 이러한 자료 분석방법의 급진적 진전에 비해 양질의 자료 수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측정도구의 양호도나 측정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으며, 그 결과로 심리측정 영역에서 강조되어온 주요 이슈들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측정도구가 부적절하게 연구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 왔다. 검사문항이나 검사도구의 하위구조에 대한 이론적·논리적 적합성의 부족, 불충분한 내용 타당도 검토, 내적 일관성 확인이나 검사–재검사 신뢰도 등을 통한 신뢰도에 대한 증거 누락, 구성 타당도나 준거관련 타당도 등의 타당도 검토 자료 부족 등의 문제가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비단 국내뿐 아니라 국외의 측정도구 고찰에 관한 연구(Ahern, Kiehl, Lou Sole, & Byers, 2006; Chan, Shum, Toulopoulou, & Chen, 2008; Mathisen & Einarsen, 2004; Vignes, Coley, Grandjean, Godeau, & Arnaud, 2008)에서도 공통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내용이다.
가족관련 평가 도구의 측정을 위한 척도는? 연령대의 구분을 고려하지 않고 측정 내용을 발달영역 별로 구분해보면, 사회정서영역이 기질, 애착, 친사회적 행동, 학교적응, 성발달, 문제행동, 또래놀이행동 등 비교적 다양한 측정 변인을 포함하고 있어 인지나 신체 영역에 비해 많은 수의 척도가 개발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가족관련 평가 도구의 경우 주로 양육행동, 언어통제, 양육참여, 양육효능감 등 부모역할 수행과 관계가 있는 행동이나 태도 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들이었고, 그 외에 부부간 갈등, 가정환경자극,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자 만족도 척도가 개발되었다. 교육/보육기관에 관련된 척도개발은 아동의 발달과 직접 관련이 있는 교사요인(예: 문제행동지도전략, 효능감,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 등)에 대한 것이 가장 많았고, 교육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나 환경특성 평가 도구의 개발은 적은 편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ERA, APA, & NCME. (1985). Standards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esting.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 AERA, APA, & NCME. (1999). Standards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esting.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 Ahern, N. R., Kiehl, E. M., Lou Sole, M., & Byers, J. (2006). A review of instruments measuring resilience.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29(2), 103-125. doi:10.1080/01460860600677643 

  4. Chan, R. C., Shum, D., Toulopoulou, T., & Chen, E. Y. (2008). Assessment of executive functions: Review of instruments and identification of critical issues.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23(2), 201-216. doi:10.1016/ j.acn.2007.08.010 

  5. Kerlinger, F. N. (1973). Foundation of behavioural research. New York: Holt. 

  6. Levin, I. P. (1999) Relating statistics and experimental design.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7. Mathisen, G. E., & Einarsen, S. (2004). A review of instruments assessing creative and innovative environments within organization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6(1), 119-140. doi:10.1207/s15326934crj1601_12 

  8. Nagle, R. J. (2007). Issues in preschool assessment. In B. Bracken & R. J. Nagle (Eds.), The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of preschool children (4th ed., pp. 29-48). NJ: Routledge. 

  9.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 National Associa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ists in State Departments of Education. (2003). Early childhood curriculum, assessment, and program evaluation: Building an effective, accountable system in programs for children birth through age 8. Retrieved from http://www.naeyc.org/files/naeyc/file/positions/pscape.pdf 

  10. Notari-Syverson, A., & Losardo, A. (2004). What assessment means to early childhood educators. Exchange, 72-75. 

  11. Putnam, S. P., Gartstein, M. A., & Rothbart, M. K. (2006). Measurement of fine-grained aspects of toddler temperament: The early childhood behavior questionnaire. Inf 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9(3), 386-401. doi:10.1016/ j.infbeh.2006.01.004 

  12. Sukigara, M., Nakagawa, A., & Mizuno, R. (2015). Development of a Japanese version of the Early Childhood Behavior Questionnaire (ECBQ) using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data. SAGE Open, 5(2), 1-12. doi:10.1177/2158244015590443 

  13. Tsang, K. L. V., Wong, P. Y. H., & Lo, S. K. (2011). Assessing psychosocial well­being of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of measuring instruments.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8(5), 629-646. doi:10.1111/j.1365-2214. 2011.01355.x 

  14. Vignes, C., Coley, N., Grandjean, H., Godeau, E., & Arnaud, C. (2008). Measuring children's attitudes towards peers with disabilities: A review of instruments.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50(3), 182-189. doi:10.1111/j.1469- 8749.2008.02032.x 

  15. Cha, M.-J., Kim, C.-M., Kwon, H.-J., Cho, H.-D., Lee, J.-Y., Jeong, S.-J., . . . Park, I. (2010). A development of Learner Participation Scale in Instructi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2(1), 195-219. 

  16. Cho, B. H., & Park, S. O. (1992). Development of the Maternal Separation Anxiety Scal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3(1), 16-37. 

  17. Cho, E. L., & Hwang, H.-I. (2010). A preliminary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Cognitive Function Scale (ACFS) in Korean setting.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1(3), 235-254. 

  18. Cho, S. Y. (1985). The validation of a test of creativity: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TCT).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6(1), 41-59. 

  19. Chun, H. Y. (1999). Validation of the Revised Class Play scale for the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2), 3-19. 

  20. Chung, O. B. (2012). Child psychological testing. Seoul: Hakjisa. 

  21.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5). Glossary of education terms. Seoul: Haudongseol. 

  22. Han, M. H., & Yoo, A. J. (1995). The validat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6(2), 5-21. 

  23. Jae, K. S. (1984). A study for the scaling of the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for Korean infant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5, 53-64. 

  24. Jang, Y. S., & Gu, J. O. (2002). Development of a test for the identification of verbally gifted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3(6), 139-152. 

  25. Ju, S., & Lee, Y. (200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for Children in grade 4 trough 6 (RSC).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8(2), 91-113. 

  26. Kang, C. Y. (1992). A preliminary study for a Korean version of the Luria-Nebraska Nneuropsychological Battery-Children’s Revis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3(2), 203-216. 

  27. Kang, H.-M., & Hwang, H.-I. (2011). A preliminary study into the Infant Observation Scale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childcare cent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2(5), 167-183. 

  28. Kim, H. H. (2005). Development a Korean Scale of Paternal Involvement in the Early Adolescence of their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1), 107-121. 

  29. Kim, J., & Kim, Y. (2007).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 on Korean fathers with young children published in journals between 1980 and 2006.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5(5), 25-38 

  30. Kim, J. H. (2015).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the Mathematical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s Parent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6(5), 95-113. doi:10.5723/KJCS.2015.36.5.95 

  31. Kim, S. Y., & Seo, S.-J. (2010). The construction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efficacy scal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1(4), 91-110. 

  32. Kim, Y.-O.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4(5), 105-118. 

  33. Lee, J. H., & Lee, S. H. (2006).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for the mental health screening of toddl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7(2), 195-213. 

  34. Lee, S. H., Ahn, S. H., Lee, E. J., & Bang, H. J. (2014). A preliminary study for standardizing the fine motor scale of the Korean-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third edit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5(5), 37-61. 

  35. Lee, Y. J., Lee, J. S., Shin, E. S., Kwak, H. L., & Lee, J. W. (2001).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A rating scale for teach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2(2), 255-275. 

  36. Lim, J.-Y., & Bae, Y.-J. (2015). Validation study of Korean version of the Rothbart’s 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4(4), 477-497. doi:10.5934/ kjhe.2015.24.4.477 

  37. Oh, J. H. (2013).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a scale for measuring mother’s reaction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4(6), 97-122. 

  38. Rhee, U. H., & Lee, K. S. (1994).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sca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in Korea.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5(1), 5-21. 

  39. Seong, T. J. (2002). Validity and reliability. Seoul: Hakjisa. 

  40. Shin, H.-K., & Suh, Y.-S.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cale measuring life satisfaction of After-School Child Car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1(1), 101-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