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고유어 수학 용어의 변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native korean terminology in elementary mathematics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1 no.2, 2017년, pp.291 - 308  

박교식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초등학교 고유어 수학 용어는 1946년에 군정청 문교부에서 각계의 의견을 들어 처음으로 만들어졌다. 당시에 만들어진 고유어 수학 용어의 대부분은 대개 한자의 뜻에 해당하는 고유어를 사용하거나, 그렇게 만든 것을 축약하여 만든 것이다. 그러나 20년도 지나지 않아 고유어 수학 용어의 반 정도가 다시 한자어 수학 용어로 환원되었고, 대부분 현재까지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수학 교수 학습에서 한자어 수학 용어의 불편함이 지적되고 있고, 고유어 수학 용어의 사용이 도움이 될 것으로 주장되고 있지만, 고유어 수학 용어의 사용을 서두르는 것은 능사가 아니다. 한자어 수학 용어를 고유어 수학 용어로 바꾸는 시도는 신중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입장에서 성공적인 고유어 수학 용어의 사용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제언을 결론으로 제시한다. 첫째, 고유어 수학 용어를 만들려는 시도와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현재 잘 존속하고 있는 고유어 수학 용어가 가진 생존력의 정체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재 존속되지 않는 고유어 수학 용어의 실패 요인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1946, many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are coined newly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USAMGIK(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through referring to the opinions of various circles. In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created at the time, many of them are coined, either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유어 용어의 사용이 필요한 이유는? 수학 교수・학습에서 한자어 용어의 불편함이 지적되고 있고, 고유어 용어의 사용이 도움이 될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허민, 2013, 2016a, 2016b).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고유어 사용을 서두르는 것은 능사가 아니다.
현재 널리 사용하고 있는 고유어 수학 용어는? 당시에 그들이 불편하다고 예시한 고유어 수학 용어에는 고른수(←平均), 덧셈(←加法), 반올림(←四捨五入), 뺄셈(←減法), 세모꼴(←三角形), 지름(←直徑) 등이 있었다. 현재 널리 사용하고 있는 수학 용어인 덧셈, 반올림, 뺄셈, 지름이 그 당시에는 비판의 대상이었다.
1964 편수자료를 만든 이유는? ≪1964 편수자료≫의 서문에 따르면, 그 당시에 사용하고 있던 용어 중에서 불합리하고 미비한 것을 고치자는 여론이 있어서 ≪1964 편수자료≫를 만들게 된 것이다. 여기서는 <표 1>의 고유어 용어가 ≪1964 편수자료≫에서 나타나고 있는 양상을 <표 2>와 같이 정리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경향신문 (1970. 3. 24). 외솔의 造語. 

  2. 교육부 (1994). 산수 6-2.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 교육부 (1997). 수학 6-2.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4. 교육부 (1999). 수학 6-1.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5. 교육부 (2015a).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 도서 개발을 위한 편수자료: 기초과학, 정보 편. 

  6. 교육부 (2015b).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7. 교육인적자원부 (2004). 편수자료 III 기초과학 편. 

  8. 교육인적자원부 (2007). 편수자료 III 기초과학 편 (제2판). 

  9. 군정청 문교부 (1946a). 초등셈본 4-1.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10. 군정청 문교부 (1946b). 초등셈본 6-1.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11. 군정청 문교부 (1947). 초등셈본 5-2.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12. 김연식, 박교식 (1994). 우리나라의 학교 수학 용어의 재검토. 대한수학교육학회논문집, 4(2), 1-10. 

  13. 김철수 (1947). 초등셈본 지도해설서 (문교부 발행 국정교과서 의거) (6年 前期). 서울: 금용도서문구주식회사. 

  14. 도종훈, 박지현 (2013a). 교수요목기부터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까지 학교 수학 용어의 표현 변화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3(4), 491-503. 

  15. 도종훈, 박지현 (2013b).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 중, 고등학교 수학 용어 변화표. 초등교육연구, 28. 부산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49-80. 

  16. 문교부 (1948). 초등셈본(산수공부) 4-1.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17. 문교부 (1949a). 초등셈본 2-1.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18. 문교부 (1949b). 초등셈본(산수공부) 5-2.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19. 문교부 (1949c). 초등셈본 6-2.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20. 문교부 (1949d). 초등셈본(산수공부) 4-2.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21. 문교부 (1950). 셈본 5-2.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22. 문교부 (1952a). 셈본 1-2. 자유인쇄공사. 

  23. 문교부 (1952b). 셈본 3-2. 연학사. 

  24. 문교부 (1953a). 셈본 3-2.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25. 문교부 (1953b). 셈본 5-1.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26. 문교부 (1953c). 셈본 6-1.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27. 문교부 (1954a). 셈본 4-1.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28. 문교부 (1954b). 셈본 4-2.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29. 문교부 (1954c). 셈본 6-1.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30. 문교부 (1964). 편수자료 제5집. 

  31. 문교부 (1967). 산수 6-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2. 문교부 (1973). 산수 6-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3. 문교부 (1982). 산수 6-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4. 문교부 (1983). 산수 6-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5. 문교부 (1988). 문교40년사. 

  36. 문교부 (1990). 산수 6-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7. 박교식 (2005). 북한의 학교수학 용어의 현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7(1). 1-15. 

  38. 박지현, 도종훈 (2011). 해방 이후 현재까지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제시된 수학용어의 비교 분석. 제16회 國際數學英才敎育세미나(2011. 8. 43-55 August 2011) 프로시딩. 43-55. 

  39. 박한식 (2007). 수학용어에 대하여. 한국수학교육학회 뉴스레터, 23(6). 통권112호. 

  40. 서울신문 (1946. 3. 25). 군정청 학무국, 학술용어제정위원회 설치. 

  41. 이종국 (2000). 미군정기 및 교수 요목기의 교육과정과 교과용 도서 편찬: 광복.교수 요목기의 교과용 도서 편찬.발행을 중심으로(55-151). 

  42. 허강, 곽상만, 김용만, 정태범, 함수곤, 한명희, 이경환, 이종국, 박소희, 유장상. 한국편수사 연구(I). 서울: 한국교과서연구재단. 

  43. 허강, 곽상만, 김용만, 정태범, 함수곤, 윤종영, 김영일, 이종국, 박소희, 유장상 (2001). 한국편수사 연구(II). 서울: 한국교과서연구재단. 

  44. 정재환 (2012). 해방 후 우리말 도로 찾기 운동의 내용과 성과. 한글, 296, 151-196. 

  45. 조선일보 (1946. 11. 20). 문교부, 학술용어제정위원회 조직. 

  46. 조선일보 (1947. 3. 23). 알기 어려운 신제 국문 용어. 문교부 편찬 교과서에 관한 비판. 

  47. 조선일보 (1947. 3. 23). 통일용어제정은 각계 권위를 망O해서 된 것. 

  48. 한국과학창의재단 (2013). 교과서 편수 자료: 기초 과학 편. 

  49. 허민 (2013). 수학 용어의 개선 방향에 대한 소고. 수학교육논문집, 27(4). 391-46. 

  50. 허민 (2016a). 수학에 쓰이는 한자말에 대한 소고. 수학교육논문집, 30(2). 121-138. 

  51. 허민 (2016b). 한자말 수학 용어의 문제점과 극복 방안. 570돌 한글날 맞이 한글문화토론회(한자어의 이해 과정과 어원 지식의 역할, 2016. 9. 23) 자료집. 47-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