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중익기탕 투여 후 화학항암제로 인한 전신쇠약감 및 탈모호전 증례보고
A Case Report of Chemotherapy-induced Alopecia Treated with Bojungikki-tang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8 no.2, 2017년, pp.235 - 239  

이상헌 (단국대학교 대학원 생명융합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case study describes the effect of Bojungikki-tang on chemotherapy-induced alopecia. Alopecia is a well-documented cause of distress to patients undergoing cancer treatment, but no approved pharmacological treatment exists for chemotherapy-induced hair loss. A 70-year-old female diagnosed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증례에서는 화학항암요법으로 인해 발생한 탈모증상이 지속적인 화학항암치료 과정에도 불구하고 한방치료를 통하여 유의한 개선 효과를 관찰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항암제 유발 탈모는 화학항암치료를 받는 환자들이 겪는 대표적인 부작용 중에 하나이다. 항암제로 유발된 탈모는 비가역적 손상을 유발시키지 않으므로 항암제를 중단하게 되면 회복된다. 항암제 부작용의 대표적 증상 가운데 오심, 구토, 설사와 같은 소화기부작용이나 골수억제 등에 비하여 탈모는 미용상의 문제로 국한되어 의학적 관심이 적은 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암제 유발 탈모란? 항암제 유발 탈모는 화학항암치료를 받는 환자들이 겪는 대표적인 부작용 중에 하나이다. 항암제로 유발된 탈모는 비가역적 손상을 유발시키지 않으므로 항암제를 중단하게 되면 회복된다.
항암제 유발 탈모의 이유는 무엇인가? 항암제 유발 탈모의 이유는 화학항암제가 암세포의 감수분열 과정을 손상시켜 항암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모근과 같이 빠른 감수분열 과정을 가지는 정상세포들 역시 손상을 받기 때문이다. 화학 항암제를 시행한 날짜로부터 2주에서 4주 사이에 탈모가 일어나고 2달 정도 후에는 완전탈모가 된다.
항암제 유발 탈모의 회복은 어떻게 하는가? 항암제 유발 탈모는 화학항암치료를 받는 환자들이 겪는 대표적인 부작용 중에 하나이다. 항암제로 유발된 탈모는 비가역적 손상을 유발시키지 않으므로 항암제를 중단하게 되면 회복된다. 항암제 부작용의 대표적 증상 가운데 오심, 구토, 설사와 같은 소화기부작용이나 골수억제 등에 비하여 탈모는 미용상의 문제로 국한되어 의학적 관심이 적은 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Trueb RM. Chemotherapy-induced alopecia. Current opinion in supportive and palliative care 2010; 4(4):281-4. 

  2. Munstedt K, Manthey N, Sachsse S, Vahrson H. Changes in self-concept and body image during alopecia induced cancer chemotherapy. Supportive care in cancer : official journal of the Multinational Association of Supportive Care in Cancer 1997; 5(2):139-43. 

  3. Tierney AJ, Taylor J, Closs SJ. Knowledge, expectations and experiences of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for breast cancer.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1992;6(2):75-80. 

  4. Batchelor D, Hair and cancer chemotherapy: consequences and nursing care-a literature study. European journal of cancer care 2001;10(3):147-63. 

  5. Duvic M, Lemak NA, Valero V, Hymes SR, Farmer KL, Hortobagyi GN, et al. A randomized trial of minoxidil in chemotherapy-induced alopecia.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1996;35(1):74-8. 

  6. Grevelman EG, Breed WP. Prevention of chemotherapyinduced hair loss by scalp cooling. Ann Oncol 2005;16(3):352-8. 

  7. Yeager CE, Olsen EA. Treatment of chemotherapyinduced alopecia. Dermatologic therapy 2011;24(4) :432-42. 

  8. Seo MJ, Lee KB, Park JH, Hong SH. The Current Trend of Research about Bojungikki-tang.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2010;16(2) :83-90. 

  9. Kim JH, Lee JK, Shin HK. Analysis of studies on Bojungikgi-tang(Buzhongyiqi-tang) to establish the fundament for Evidence Based Medicine (EBM).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2011;17(2):135-67. 

  10. 池田了, 金子正裕, 熊?義雄, 西村千昭. 漢方方劑"補中益氣湯"の骨髓障害防御作用と感染防御?果. 藥學雜誌1990;110(9):682-7. 

  11. Lee YW. The Effect of Sagunja-tang, Samul-tang, Sipjeondaebo-tang, and Bojungikgi-tang on Weight Loss and Blood Changes caused by Cisplatin. Herbal formula science 1992;3(1):81-125. 

  12. Kim SH, Oh H, Kim SR, Jo SK, Byun MW, Shin DH. The radioprotective effects of Bu- Zhong-Yi-Qi-Tang and its major ingredients in irradiated mice. Korean J Vet Res 2000;40(2) :221-8. 

  13. Arrieta O, Ortega RMM, Villanueva-Rodriguez G, Serna-Thome MG, Flores-Estrada D, Diaz-Romero C, et al. Association of nutritional status and serum albumin levels with development of toxicity in patients with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treated with paclitaxel-cisplatin chemotherapy: a prospective study. BMC cancer 2010;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