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하거약침요법을 병행한 복합 한방치료의 현훈 치험례
A Case Report of Vertigo by Korean Medical Treatment with Hominis Placenta Pharmacopunture 원문보기

論文集 : 大田大學校 韓醫學硏究所. 韓醫學編, v.25 no.1, 2016년, pp.45 - 52  

장승훈 (Dept. of Meridian & Acupoint,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허홍 (Seoul Kyunghee intergrated medical centre) ,  권자옥 (Seoul Kyunghee intergrated medical centre) ,  임윤경 (Dept. of Meridian & Acupoint,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linical effects of Hominis Placenta Pharmacopunture(HPP) on Vertigo. Methods : A 82-year-old female patient whose chief complaint was Vertigo was treated with Placenta Pharmacopunture at CV6 and GB21, twelves times for a month. Acupuncture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매 치료 시 환자가 느끼는 어지러움에 대하여 질문하고 그 답변을 기록하였다. 환자의 어지러움에 대한 답변은 Table 4와 같다.
  • 등이 있었으나 현훈에 관한 보고는 찾아보지 못하였다. 이에 저자는 혈액검사와 맥진, 임상 증상상 血虛로 인한 眩暈 환자에게 자하거 약침 요법과 복합 한방치료를 이용하여 현훈 개선에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眩暈란? 眩暈은 目眩 眼花 즉 눈앞이 캄캄하거나 사물이 흐리게 보이며 때론 눈앞에 불이 번쩍이는 것을 의미하고, 暈은 頭暈 頭旋 즉 자신이나 주위 사물이 도는 것 같아 서 있을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1)
暈이란? 眩暈은 目眩 眼花 즉 눈앞이 캄캄하거나 사물이 흐리게 보이며 때론 눈앞에 불이 번쩍이는 것을 의미하고, 暈은 頭暈 頭旋 즉 자신이나 주위 사물이 도는 것 같아 서 있을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1)
자하거약침의 사용되는 병증은? 그리고 자하거약침의 함유성분에는 각종 간세포나 상피세포, 신경세포 등을 생성하는 세포증식인자, 독감이나 암 등의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다종의 인터페론, 그리고 인터루킨 코로니 형성자극인자를 함유하고 있으며 각종 호르몬 및 그 전구체 즉 성선 자극 호르몬,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각종 효소, 세포내 DNA, RNA 등의 핵산 형성에 관여하는 핵산 관련 물질, 각종 아미노산, 비타민 등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므로 조직 재생의 목적이나 항체 형성으로 감염을 억제하고 저항력을 키울 목적 도는 호르몬 효과 등이 필요한 병증에 사용한다.2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ommitee of Korean Heart-systemic Internal Medicine Society. Circulation of neurological medicine. Seoul. Koonja publisher. 2011 : p388. 

  2. Lee Kwang-woo, Kang Gyu-sik, Kang Dong-hwa, Kang Sa-yoon, Kang Ji-hoon. Text of Neurology. Seoul: Bobmunsa; 2005, p.91-3. 

  3.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ment Service. Causeless Dizziness, Suspicion from ear [internet].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ment Service;[2010.10.1].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cms/rc/rce_news/1201259_8269.html. 

  4. Lee WS. The East-West medical consideration on giddiness. East-West Med. 1990 ; 15(3) : 5-14. 

  5. Song HJ. The East-West medical consideration of etiology and pathology on giddiness. J K.O.M.S.1988 ; 7(1) : 68-78. 

  6. Liver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of all-Korea oriental colleges. Liver Internal Medicine. Seoul: Oriental medical research center. 2001 : p63-71. 130-2. 

  7. Heo J. Instead translated Donguibogam. Hadong: Donguibogam Publisher; 2005, p. 449, 457. 

  8. Lee BK. Korean Medical Diagnostics. Seoul: Seongbosa; 1992, p.212-5. 

  9. Choi SW, Park MH, Lim ST. The Clinical study on a Case of Transverse Myelitis With Bee Venom and Hominis Placenta Herbal Acupuncture.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05 ; 8(2) : 17-22. 

  10. Yun JH, Yook TH, Song BY. The Effect of Hominis Placenta Herbal Acupuncture on Bell's palsy.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00 ; 3(1) : 89-99. 

  11. Kim MJ, Song JY, Sung WS, Kim PK, Ryu HK, Park YC, Seo BK, Woo HS, Baek YH and Park DS. Clinical Study on Peripheral Facial Nerve Injury. Journal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 2012;29(6):23-34. 

  12. Choi JY, Oh DS, Jung HJ, Choi SM, Jung SK. Homo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a Promising Asthma Therapy. Journal of Meridian&Acupoint. 2008 ; 25(2) : 87-94. 

  13. Woo-Seok Jang. A case of foot drop treated with placenta pharmacopuncture.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09 ; 12(1) : 99-102. 

  14. Kim Sung-phil, Kim Jae-hong, Ryu Hye-seon, Chun Hea-sun and Shin Jeong-cheol. The Clinical Report on 1 Case of Failed Back Surgery Syndrome Who were Diagnosed as the Cauda Equina Syndrome using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Journal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 2011;28(5): 135-142. 

  15. Cho Tae-hwan, Park Kyeong-mee. Effect of Placental Extract on Immobilization of Shoulder Joint in a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Patient. Journal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2012;29(4): 93-97. 

  16. Cho Tae-hwan, Park Sun-seob, Park Kyeong-mee. Efficacy of Human Placental Extract Pharmacopuncture into Kwanwon on Fatigue in student. J Korean Oriental Med 2013;34(1):29-34. 

  17. Ah-Ram Lee, Won-Il Kim. The Retrospective Comparative Study of General Acupuncture Therapy and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Therapy on Severe Dyspepsia.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30, No.4, pp.319-328, 2013. 

  18. Na-Young Jo, Jeong-Hyun Kim, Jeong-Du Roh. Clinical Review of the Effects of Hominis Placental Pharmacopuncture in the Treatment of Facial Spasm Patients. Journal of P h a r m a c o p u n c t u r e 2013;16[3]:052-057. 

  19. Si-Nae Park, Jung-Hae Cho, Kyung-Ho Park, Se-Yong Chae, In-Chul Nam, Jun-Wook Park, Myung-Won Kim, Sang-Won Yeo. Understanding of Subjective Dizziness Using Dizziness Handicap Inventory in the Patients with Benign Paroxismal Positional Vertigo. Clinical Ear, Nose & Throat. 2005 ; 16(1) :111-8. 

  20. Cha Sang-il. Diagnosis and Treatment of Vertigo(I). Seoul: Choisin Medicine; 1983, p. 55-9. 

  21. Adolpo Bronstein, Thomas Rambert. Dizziness A princopal Approach to Dizziness and Management . Seoul: Pooreunsol; 2008, p. 169-96. 

  22. Lee Seung-han. Recurrent Positional Vertigo. The Korea Balance Society. 2008;7(2):244-52. 

  23. Kim Ji-soo. Central Positional Vertigo. The Korea Balance Society. 2005;4(2):325-32. 

  24. Chenwuze. The prescriptions on three factors. Taipei: Dailianguofeng publisher. 1978 : 6-7. 

  25. Commitee of Kore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 Jipmoondang. 2008 : 70-116, 176-8. 

  26. Oh Chi-suk, Lee Hyun. The Study about Hominis Placenta in Dong-Eui-Bo-Gam. Research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2007;16(1):31-40. 

  27. Korean Pharmacopunture Institute. Pharmacopunture Therapy General Studies. orean Pharmacopunture Institute.. 1999. p.323, 318. 

  28. Committee on Compilation of Textbook for Meridian & Acupoint of th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Details of Meridians & Acupoints(Volum I, II); A Guidebook for College Students. Wonju : Euibang Publishing Company. 2010 : 119, 257, 343, 972-973, 1003, 1061, 1152. 

  29. Lim Jun-kyu. Korean Medical Physiotherapy. Seoul:Komunsa. 1986:97-109. 

  30. Zhang Jingyue. Kyungakjeonsuh. Seoul: Daesung Publish.1992;428, 438. 

  31. Kim Jung Bum. Keumkyuerakbyunsuk. Jecheon: Korea medical Culture Publisher. 2001;548, 603. 

  32. Yun yong gab. Korea medicine & Prescription Commentary. Seoul: Euiseodang. 1998;506-507. 

  33. Choi CW. Diagnosis and treatment of anemia, which performed in ambulatory care. J Korean Acad Fam Med. 2003;24:303-3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