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족관절 염좌에 자하거 약침을 병행한 한방 치료로 호전된 2례 보고
The Case Report of Chronic Ankle Sprain Improved with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Treatmen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 JKMR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26 no.3, 2016년, pp.171 - 181  

이동은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박원형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차윤엽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report the effectiveness of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treatment for chronic ankle sprain. Methods 2 patients are treated at Dept. of Korean Medicine, the Armed Forces Busan Hospital, diagnosed as thinning of anterior talofibular lig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자하거 약침의 근골격계 질환의 치료는 슬관절 질환15), 방아쇠 수지 환자16) 등에 응용된 연구보고가 있으나, 족관절에 관한 국내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본 연구는 만성적 외측 족관절 통증 및 불안정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자하거 약침(라이넥주)을 병행한 침 치료로 유효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족관절 염좌란 무엇인가? 족관절 염좌는 가장 흔한 외상성 질환 중 하나로, 대부분 과도한 내번에 의한 전거비 인대(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및 종비인대(calcaneofibular ligament)의 손상으로, 대부분의 경우 보존적 치료에 의하여 좋은 경과를 얻을 수 있다1-4). 하지만 약 15% 정도는 만성적인 발목의 불안정을 경험하며, 일부는 거골 내측의 골연골 병변을 진단받게 된다1,4-6).
인대 손상의 치료와 관련한 국내외의 연구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관절의 외상 중 인대 손상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해외에서는 프롤로테라피 요법에 대한 연구가7,8), 국내에서는 한의학적 치료연구가 진행되어 다양한 치료방법을 통한 긍정적 결과들을 발표하고 있다9-13).
군인들에게 있어 족관절 염좌가 만성적인 발목 불안정 및 간헐적 통증으로 이어지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군복무 훈련 중 족관절 염좌는 전체 외상의 23%에 해당하며, 군인은 훈련, 축구, 구보 등 체련 단련을 하게 되고, 야간 산악훈련, 유격훈련, 특수 전투 군인의 경우 고공 강하 등을 시행하여 족관절에 치명적인 손상을 당할 위험성이 높다14). 또한 치료 도중 훈련기간에 들어가게 되면 적절한 치료 및 안정을 보장받기 어렵기 때문에, 이로 인해 만성적인 발목 불안정 및 간헐적 통증을 호소하 는 군인이 많다. 자하거 약침의 근골격계 질환의 치료는 슬관절 질환15), 방아쇠 수지 환자16) 등에 응용된 연구보고가 있으나, 족관절에 관한 국내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ennett, WF. Lateral ankle sprains. Part II: Acute and chronic treatment. Orthopaedic review. 1994;23(6):504-10. 

  2. Freeman, MAR. Treatment of ruptures of the lateral ligament of the ankle. Journal of Bone & Joint Surgery. 1965;47(4):661-8. 

  3. Rubin A, Sallis R. Evaluation and diagnosis of ankle injuries. American family physician. 1996;54(5):1609-18. 

  4. Wolfe Michael W. Management of ankle sprains. American family physician. 2001;63(1):93. 

  5. Canale ST, Belding. RH.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J Bone Joint Surg Am. 1980;62(1):97-102. 

  6. Berndt AL, Harty M. Transchondral fractures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he talus. The Journal of Bone & Joint Surgery. 1959;41(7):1363. 

  7. Ahmet Mustafa, Ferdi Yavuz. Treatment of a Medial Collateral Ligament Sprain Using Prolotherapy: A Case Study. Alternative therapies in health and medicine. 2015;21(4):68. 

  8. Jensen, KT, Rabago DP, Best TM, Patterson JJ, Vanderby R. Response of knee ligaments to prolotherapy in a rat injury model.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08;36(7):1347-57. 

  9. Jahng SJ, Jang HK, Heo DS. The Clinical Effects of Heating-conduction Acupuncture Therapy with General Acupuncture Therapy for Lateral Ligament Injury Induced by Ankle Sprain Grade II.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2011;21(4):191-203. 

  10. Lee HJ, Kook KH, Lee EJ, An SS, Heo DS. Two Clinical Cases of Heating-conduction Acupuncture Therapy and Needle-embedding Therapy Combined with Oriental Medical Treatments for Ankle Ligament Injury.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2012;22(4):185-98. 

  11. Cho NH, Kim MR, Jeong H, Kim DS, Kim ES, Park JY, Park HM, Lee JH, Ha IH. The Effect of Combined Acupuncture Treatment on Acute Ankle Sprain: Case Ser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2014;24(1):119-23. 

  12. Lee SM, Keum DH. Effects of Bee Venom Treatment on the Injured Ligament.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2007;17(1):75-98. 

  13. Park MK, Kang IA, Shin MG, Kim HS, Sim YH, Lee JH, Lee JM. The Effect of Burning Acupuncture Therapy on the External Epicondylitis: Report of Six Cases.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2012;29(4):113-21. 

  14. Kim, JS, Lee YS.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activities and musculoskeletal injuri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2008;11(6):142-7. 

  15. Song, KH, Lee JS, Jo JH, Park KB. Study on Clinical Effects of Homnis Placenta Herbal Acupuncture on Osteoarthritis of Knee Joint.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06;23(4):163-73. 

  16. Kim JW, Kim CY, Choi SP, Han SW, Lee JC, Kim DH. The Case Report of Trigger Finger Improved with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Treatment.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10;13(4):139-47. 

  17. Kitaoka, HB, Alexander IJ, Adelaar RS, Nunley JA, Myerson MS, Sanders M. Clinical rating systems for the ankle-hindfoot, midfoot, hallux, and lesser toes. Foot & Ankle International. 1994;15(7):349-53. 

  18. Hiller CE, Refshauge KM, Bundy AC, Herbert RD, Kilbreath SL. The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a report of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ing.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6;87(9):1235-41. 

  19. Ferrari M, Zia S, Valbonesi M, Henriquet F, Venere G, Spagnolo S, Panzani I. A new technique for hemodilution, preparation of autologous platelet-rich plasma and intraoperative blood salvage in cardiac surger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rtificial organs. 1987;10(1):47-50. 

  20. Thanasas C, Papadimitriou G, Charalambidis C, Paraskevopoulos I, Papanikolaou A. Platelet-rich plasma versus autologous whole blood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lateral elbow epicondylitis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11;39(10):2130-4. 

  21. Kon E, Filardo G, Delcogliano M, Presti ML, Russo A, Bondi A, Martino AD, Cenacchi A, Fornasari PM, Marcacci M. Platelet-rich plasma: new clinical application: a pilot study for treatment of jumper's knee. Injury. 2009;40(6):598-603. 

  22. Jung JH, Hong SY, Kim YK, Lim HH, Cho HC. The case report about chronic ischial bursitis treated with Bee Venom Acupuncture Therapy. Journal of Korea CHUNA manual medicine. 2003;4(1):29-38. 

  23. Kim SJ, Kim BK, Kang SS, Jung HJ, Jung SK, Lee BJ. Chronic Non-Bacterial Prostatitis Treated with Additional Immune Pharmacopuncture: A Case Report.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15;36(3):4366-45. 

  24. Sin MK. Clinical Traditional Herbalogy. Seoul : Younglimsa. 2002:191-2. 

  25. Korean pharmacopuncture institute. Outline of herbal acupuncture therapy. Seoul : Korean Pharmacopuncture institute. 1999:318, 323. 

  26. Kim KT, An BJ, Kang MS, Song HS. A Clinical Study of Bee Venom Acupuncture Therapy on Chronic Arthritis of Ankle.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06;23(4):21-6. 

  27. Heo DS, Keum DH. Effect of Intra-articular Bee Venom Injection on Acute Traumatic Arthritis of Elbow Joint: Two Cases Report.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2015;15(1):171-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