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spinal stenosis treated by Hominis Placenta Megadose pharmacopuncture combined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 We used Hominis Placenta Megadose pharmacopuncture treatment on patients who received treatment at Bucheon Jaseng Korean medic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혈 부위에 자입하는 기존의 약침치료와 달리 본 연구에서 시행한 자하거 대용량 약침 치료는 약침 자입 부위를 MRI상의 척추관 협착증세가 심한 분절의 좌, 우 후관절을 목표로 하였다. 한 부위에 2cc씩 총 4cc의 자하거 약침을 자입하였다.
  • 시술 종료 후에는 멸균 거즈 및 포비돈으로 소독하고 슈퍼포아를 부착하였다. 그리고 환자에게 그 날 당일은 시술부위가 물에 닿으면 안 된다고 고지하고 감염관리에 관련한 교육을 하였다.
  • 본 연구는 MRI상 척추관 협착증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자하거 대용량 약침치료를 병행한 한의학적 치료를 시행한 결과 호전을 보인 사례가 있어 보고하는 바이다.
  • . 본 연구에서는 10가지 항목 중에서 성관계와 관련된 항목은 제외하고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치료에 대한 환자의 증상 호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입원 당일과, 입원 2주 후, 퇴원 당일 평가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입원 당일, 대용량 약침시술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술을 받고 모든 치료가 끝난 당일 18시, 입원 후 2주일, 퇴원 당일 평가하였다.
  • 또한 자하거 대용량 약침치료 이외에도 침치료, 약침치료, 부항치료, 약찜치료, 물리치료, 추나치료 등 다른 부가적인 치료가 함께 시행되었다. 이로 인하여 본 연구에서는 자하거 대용량 약침치료의 유효성을 제시하는데 부족함이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대조군이 설정되지 않은 연구로 자하거 대용량 약침 치료를 제외한 한의학적 치료를 받은 환자군과의 비교를 통해 자하거 대용량 약침 치료의 효과를 확인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척추관 협착증이란 무엇인가? 척추관 협착증은 척추 중앙의 척추관, 외측 함요부, 추간공이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관경이 좁아져서 마미 혹은 신경근에 허혈상태를 일으켜 신경근의 대사를 방해하고 신경근을 압박해서 요부나 상하지에 여러 가지 복합된 신경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대부분 운동량이 많은 C5/6, L3/4, L4/5, L5/S1 간에서 일어나며 특히 L4/5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임상증상은 간헐적 파행, 요통, 하지 방사통, 하지 이상감각, 근력약화의 순으로 빈도를 보이며 간헐적 파행이 가장 특징적인 증상이다1).
척추관 협착증의 치료 중 보존적인 치료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고, 권고사항은 무엇인가? 척추관 협착증의 치료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는데, 수술적 치료는 충분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후 그것이 실패하였을 때만 고려해야 한다. 보존적 치료에는 운동요법, 지지요법, 약물치료, 수기요법 등이 있으며, 보존적 치료는 동통이 심해지지 않는 한 지속적으로 시행해야 한다2).
척추관 협착증은 주로 어느 부위에서 발생하는가? 척추관 협착증은 척추 중앙의 척추관, 외측 함요부, 추간공이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관경이 좁아져서 마미 혹은 신경근에 허혈상태를 일으켜 신경근의 대사를 방해하고 신경근을 압박해서 요부나 상하지에 여러 가지 복합된 신경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대부분 운동량이 많은 C5/6, L3/4, L4/5, L5/S1 간에서 일어나며 특히 L4/5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임상증상은 간헐적 파행, 요통, 하지 방사통, 하지 이상감각, 근력약화의 순으로 빈도를 보이며 간헐적 파행이 가장 특징적인 증상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4rd ed. Seoul:Koonja publisher. 2015. 68 p. 

  2. Cox JM. Low Back Pain. Seoul:PRUNS OL. 1997. p. 264-317. 

  3. Lee HY, Lee TH, Park JH, Cho HS, Le e JJ, Bae DJ, Kong KH, Baik TH. Oriental Medical Treatment of Lumbar Spinal Stenosis.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03;6(3):75-80. 

  4. Seo BI, Kim SC. Bonchojibseong. Seoul:Tree & Earth. 2000:803-4. 

  5. Yeom MJ, Kang JE, Hahm DH, Park HJ, Lee EJ, Shim IS, Lee HJ. Therapeutic effects of Hominis placenta herb-acupuncture in adjuvant-induced arthritis rat.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02;5(1):91-103. 

  6. Kim JW, Kim CY, Choi SP, Han SW, Lee JC, Kim DH. The Case Report of Trigger Finger Improved with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Treatment.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10;13(4):139-147. 

  7. Lee DE, Park WH, Cha YY. The Case Report of Chronic Ankle Sprain Improved with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Treatment.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16;26(3):171-8. 

  8. Yoo SB , Kim MH, Moon BH, Yoon TK, Ju YG, Kwon OJ, Choo WJ, Kim JW. Fourty One Cases on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Change of Hivd of L-Spine Patient Who Have Been Improvement on Megadose Pharmacoacupuncture and Korean Medical Treatments.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16;26(4):117-26. 

  9. Dose dependent effects of Jungsongouhyul Pharmacopuncture on Low Back Pain. Journal of Pharmacupuncture 2016;14(2):45-52. 

  10. Pharmacopuncturology 2nd. Elsevier Korea Science & Technology. 2011:3-5, 45. 

  11. Shim SY, Park HJ, Lee JM, Lee HS. An Overview of Pain Measurements. The Korean Journal of Meridian & Acupoint. 2007;24(2):77-97. 

  12. Lee SH, Park JH. Oswestry Disability Index(ODI) The Study of Factors Affectiong Functional Disability of the Low Back Pain Patients Using Oswestry Disability Index(ODI) Assessment Tool. Korean Journal of orthopedic manual therapy 2007;13(1):18-25. 

  13. Seok SI. Textbook of Spinal Surgery. Seoul:Choisin Medical. 1997:221-45. 

  14. Walter R, Frontera, Julie K. Silver. Essential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Seoul:Koonja. 2003:300-6. 

  15. Chen Guiting. Practical Integrative Diagnosis Therapy. First Edition. Beijing:Chinese Medicin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Co. 1991. 1603 p. 

  16. Sin MK. Clinical Traditional Herbalogy. Seoul:Younglimsa. 2002:191-2. 

  17. Korean pharmacopuncture instiutue. Outline of herbal acupuncture therapy. Seoul:Korean Pharmacopuncture institute. 1999. 318 p. 323 p. 

  18. Park KB, Song KH, Lee JS, Jo JH. Study on Clinical Effects of Hominis Placenta Herbal Acupuncture on Osteroarthritis of Knee Joint.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06;23(4):163-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