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로림만의 갯벌 지표온도와 식생지수에 의한 공간분석
Spatial Analysis of Garorim bay by using Tidal Flat Surface Temperature and NDVI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47 no.1, 2017년, pp.27 - 35  

정종철 (남서울대학교 GIS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농경지, 공업지역 개발, 주거지 확장과 같은 인간의 활동은 갯벌생태계에 중요한 위협이 되어 왔고, 연안갯벌 감소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었다. 가로림만은 가장 중요한 습지 서식처 중에 하나이며, 해양수산부는 가로림만을 2016년 7월 해양생태계보호구역으로 지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Landsat 5 (TM), Landsat 7 (ETM+), Landsat 8 (OLI & TIRS)의 위성영상을 통해 가로림만의 공간적인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다. 가로림만의 표층온도와 NDVI는 공간분석기법에 의해 처리하였고, 시계열분석이 25년 동안의 Landsat 영상을 통해 적용되었다. 시계열 온도/식생 분포지도는 위성영상에 의해 몇 개의 갯벌 습지 서식처로 비교되었다. Landsat영상은 1988년부터 2014년까지 습지식생의 변화를 보여주었고, 가로림만 남부지역은 갯벌이 분포된 지역에 연안 습지에서 식생공간분포 변화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uman activity such as agriculture, industrial development and urban sprawl has been the major threat to wetlands ecosystem, which have caused the greatest losses of coastal wetlands. The Garorim bay provides one of the most important wetland habitate and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design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로림 갯벌은 가로림만에 인접한 다양한 종류의 연안생태계에 주는 영향이 크며, 본 연구 결과의 갯벌 공간적 분포는 표층온도가 높은 공간 영역 부분에서 생태계 영향평가를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중급해상도 Landsat 위성영상의 시계 열적인 관측자료를 처리하여 표층온도, NDVI 등을 통하여 가로림만의 장기적인 시-공간적 갯벌 공간 분포 패턴과 지표특성을 분석하고, 가로림 갯벌의 효율적인 환경평가관리를 위한 위성관측 자료의 공간적용기법을 탐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규화식생지수의 특징은 무엇인가? 정규화식생지수(NDVI)는 단위가 없는 복사값으로서 녹색식물의 상대적 분포량과 활동성, 엽면적 지수, 엽록소 함량, 엽량 및 광합성 흡수복사량 등과 관련된 지표로 사용된다. 식생지수를 구하는 방법은 식(1)과 같으며, 갯벌 표층에서 나타나는 갯벌식생의 공간적 분포와 갯벌공간의 공간적 범위를 파악하였다.
가로림만은 어디에 위치하는가?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가로림만으로 충청남도 태안반도 북부에 있으며, Figure 1과 같이 동쪽은 충남 서산시, 서쪽은 태안군에 속한 길이 25Km, 너비 2~3Km 반폐쇄성 내만이다.
NDVI는 +1 값에 가까울수록 어떤 특성을 가지는가? NDVI 지수는 -1에서 +1까지의 분포로 -1의 값이 나올수록 물의 성향을 띠고 있었다. 또한 +1값에 가까울수록 높은 갯벌식생의 활력도가 측정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강승수. 2007. Landsat TM과 ETM+ 영상자료를 이용한 도시지역의 토지피복에 따른 열 분포 해석. 석사학위논문. 금오공과대학교 산업대학원.(Kang SS. 2007. Analysis of Thermal Distribution According to Landcovers in an Urban Area Using Landsat TM and ETM+ Data[Thesis].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2. 강석구, 이광수, 박진순, 염기대, 정경태, 장찬주. 2007.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가동에 따른 조석체계 변화 예측. 신재생에너지. 3(2) :3-10.(Kang, SK. Lee, KS. Park, JS. Yum, KD. Jung, KT, Jang CJ. 2007. Prediction of Tidal Regime According To Garolim Tidal Power Plant operation. New energy. 3(2):3-10.) 

  3. 김형섭. 2004. 위성영상과 GIS를 이용한 연안간석지 환경정보 관리시스템 개발.석사학위논문. 경일대학교 대학원.(Kim, HS. 2004. Developing Coast Tidal Flat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using Satellite Image and GIS[Thesis]. Kyungil University.) 

  4. 우한준, 유주형, 조진형. 2007. 가로림만 해수 교환 특성 파악을 위한 Hydro-hypsographic 분석. 한국습지학회지. 11(2):39-46.(Woo, HJ. Ryu, JH. Cho, JH. 2007. Hydro-hypsographic Analysis for Understanding of Flushing Characteristics in Garolim Bay.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1(2):39-46.) 

  5. 장동호, 김찬수, 박지훈. 2010. 선분류 후비교법을 이용한 간석지의 토지피복 변화 및 패턴 분석,-태안반도 지역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45(2):275-292.(Jang, DH. Kim, CS. Park, JH. 2010. The Land-cover Changes and Pattern Analysis in the Tidal Flats Using Postclassification Comparison Method: The Case of Taean Peninsula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5(2):275-292.) 

  6. 조명희. 2005. 위성영상과 GIS를 이용한 북한 서한만 지역의 간석지 분광특성 및 변화 탐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2):44-54.(Jo, MH. 2005. Analyzing the spectral characteristic and detecting the change of tidal flat area in Seo han Bay, North Korea using satellite images and GIS. journal of KAGIS. 8(2):44-54.) 

  7. Chandler G, Markham BL, Helder SL. 2009. Summary of current radiometric calibration coefficients for Landsat MSS, TM, ETM+ and EO-1 ALI sensor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3:893-903. 

  8. Mallick J, Kant Y, Bharat BD. 2008. Estimation of land surface temperature over Delhi using Landsat-7 ETM+. J Ind Geophys Un. 12:131-140. 

  9. NASA. 2015. Landsat 7 Science Data Users[Internet]. [http://landsathandbook.gsfc.nasa.govpdfs/Landsat7_Handbook.pdf]. Last accessed Dec 2015. 

  10. W Yue, J Xu, W Tan.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surface temperature and NDVI with remote sensing: application to Shanghai Landsat 7 ETM+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8(15):3205-32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