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7~9세 학생들의 관계 파악 및 표현 능력
Ability of Recognizing and Representing the Relations between Two Quantities by Seven to Nine Years Old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1 no.1, 2017년, pp.49 - 72  

방정숙 (한국교원대학교) ,  이유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초등학교에서 함수적 사고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대두되었지만, 국내에서는 초등학생들의 함수적 사고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으며 특히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7~9세 학생들의 함수적 사고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학생 수준과 외국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상황을 기반으로한 과제를 제시하고, 학생들이 두 양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파악하고 표현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12명의 학생들을 선정하여 면담하였고, 3가지 함수 유형에 따른 과제를 제시하여 학생들의 관계 파악 능력과 표현 능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관계를 파악하였는데, 함수 유형이나 과제 특성과 같은 변인에 영향을 받았다. 또한, 두 양 사이의 관계를 몸짓, 그림, 말, 변수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표현할 수 있었으며 표현 방식 중 말을 통한 관계 표현이 가장 두드러진 반면에 변수를 통한 관계 표현에는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7~9세 학생들의 함수적 사고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functional thinking in a primary school there has been lack of research in this area, specifically regarding young children. Given this, this study analyzed how students aged from 7 to 9 would figure out and represent the co-variational relationships in contex...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함수적 사고는 어떠한 것들을 포함하는가? 함수적 사고란 공변 사이의 관계를 일반화하는 것, 단어, 기호, 표, 또는 그래프로 이러한 관계를 표현하는 것, 함수를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표현으로 추론하는 것을 포함한다(Blanton, Levi, Crites, Dougherty, & Zbiek, 2011). 함수에 대한 이해는 기존 교육과정 내의 지식을 심화하거나 통합시키며 수학적 일반화 능력을 증진시키고 추후에 보다 형식적인 대수와 함수의 도입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함수적 사고는 대수로 들어가는 중요한 진입점이 된다(Carraher & Schliemann, 2007).
미국, 호주, 캐나다 등 여러 국가에서 초등학교 수학 교육과정에서 함수적 사고를 체계적으로 가르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어떤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것인가? 이처럼 함수적 사고는 대수적 사고 능력 발달에 매우 중요하며, 초등학교에서도 이미 함수 개념의 기초가 되는 규칙성을 한 영역으로 지도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학교 현장에서 초등에서의 함수에 관한 내용은 중등의 형식적인 함수 내용과 일관성 있게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김성준, 2003; 변희현, 주미경, 2012). 또한 함수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함수가 형식적이고 추상적인 사고를 요구한다는 인식 때문에 역사적으로 함수에 대한 연구는 중등에 국한되어 왔다(Blanton et al., 2015).
함수적 사고가 대수로 들어가는 중요한 진입점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함수적 사고란 공변 사이의 관계를 일반화하는 것, 단어, 기호, 표, 또는 그래프로 이러한 관계를 표현하는 것, 함수를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표현으로 추론하는 것을 포함한다(Blanton, Levi, Crites, Dougherty, & Zbiek, 2011). 함수에 대한 이해는 기존 교육과정 내의 지식을 심화하거나 통합시키며 수학적 일반화 능력을 증진시키고 추후에 보다 형식적인 대수와 함수의 도입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함수적 사고는 대수로 들어가는 중요한 진입점이 된다(Carraher & Schliemann, 2007). 또한 함수적 사고가 공변량 사이의 관계를 일반화하고 이러한 관계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며 함수적 특징을 이해하고 추론한다는 점에서 대수적 사고 능력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Blanton, Brizuela, Gardiner, Sawrey, & Newman-Owens,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교육과학기술부 (2012). 유치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6호. 

  2.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3. 권보영 (2012). 초기 대수적 관점에 따른 초등학교 4학년 함수적 사고 지도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경혜 (2015). 4학년 '규칙과 대응' 단원의 함수적 사고 향상 지도 방안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성준 (2003). 패턴과 일반화를 강조한 대수 접근법 고찰. 학교수학, 5(3), 343-360. 

  6. 김정원 (2014). 초등학교 학생들의 함수적 사고의 특징 및 지도 방향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정원, 방정숙 (2008).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함수적 사고 분석. 초등수학교육, 11(2), 105-119. 

  8. 방정숙, 선우진 (2016).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패턴 지도방안에 대한 분석. 초등수학교육, 19(1), 1-18. 

  9. 방정숙, 최인영 (2016).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대수적 사고에 대한 실태 분석. 초등수학교육, 19(3), 223-247. 

  10. 변희현, 주미경 (2012). 우리나라 중학생의 함수 개념화 특성. 수학교육학연구, 22(3), 353-370. 

  11. 최지영, 방정숙 (2012). 초등학교 2, 4, 6 학년 학생들의 함수적 관계 이해 실태 조사. 학교수학, 14(3), 275-296. 

  12. Blanton, M., Brizuela, B., Gardiner, A. M., Sawrey, K., & Newman-Owens, A. (2015). A learning trajectory in six-year-olds' thinking about generalizing algebraic relationships in function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6(5), 511-558. 

  13. Blanton, M. L., & Kaput, J. J. (2011). Functional thinking as a route into algebra in the elementary grades. In J. Cai & E. Knuth (Eds.), Early algebraization; A global dialogue from multiple perspectives (pp.5-23). Heidelberg: Springer. 

  14. Blanton, M., Levi, L., Crites, T., & Dougherty, B. (2011). Develop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algebraic thinking for teaching mathematics in grades 3-5. In B. J. Dougherty & R. M. Zbiek (Eds.), Essential understandings serie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5. Brizuela, B. M., Blanton, M., Sawrey, K., Newman-Owens, A., & Gardiner, A. M. (2015) Children's use of variables and variable notation to represent their algebraic idea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17, 34-63 

  16. Brizuela, B. M., & Earnest, D. (2008). Multiple notational systems and algebraic understandings: The case of the "Best Deal" problem. In J. J. Kaput, D. W. Carraher & M. L. Blanton (Eds.), Algebra in the early grades (pp. 273-301). New York: Lawrence Erlbaum. 

  17. Canadas, M. C., Brizuela, B. M., & Blanton, M. (2016). Second graders articulating ideas about linear functional relationships. Th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41, 87-103. 

  18. Carraher, D. W., & Schliemann, A. D. (2007). Early algebra and algebraic reasoning. In F. K. Leste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669-705).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 Carraher, D. W., Schliemann, A. D., & Schwartz, J. (2008). Early algebra is not the same as algebra early. In J. J. Kaput, D. W. Carraher & M. L. Blanton (Eds.), Algebra in the early grades (pp. 273-301). New York: Lawrence Erlbaum. 

  20. Kaput, J. J. (2008). What is algebra? What is algebraic reasoning? In J. J. Kaput, D. W. Carraher, & M. L. Blanton (Eds.), Algebra in the early grades. (pp. 5-17). New York: Lawrence Erlbaum. 

  21. Kilpatrick, J. swafford, J. & Findell, B. (Eds.). (2001). Adding it up: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2. Moss, J., & McNab, S. L. (2011). An approach to geometric and numeric patterning that fosters second grade students' reasoning and generalizing about functions and co-variation. In J. Cai & E. Knuth (Eds.), Early algebraization: A global dialogue from multiple perspectives (pp. 277-301). New York: Springer. 

  23. Radford, L. (2011). Grade 2 students' non-symbolic algebraic thinking. In J. Cai & E. Knuth (Eds.), Early algebraization; A global dialogue from multiple perspectives (pp. 303-322). Heidelberg: Springer. 

  24. Tanisli, D. (2011). Functional thinking ways in relation to linear function tab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30(3), 206-2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