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PS 궤도오차의 기저선 거리에 따른 시선각 벡터 투영오차 분석
Analysis on Line-Of-Sight (LOS) Vector Projection Errors according to the Baseline Distance of GPS Orbit Errors 원문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45 no.4, 2017년, pp.310 - 317  

장진혁 (Konkuk University) ,  안종선 (Konkuk University) ,  부성춘 (LIG Nex1) ,  이철수 (LIG Nex1) ,  성상경 (Konkuk University) ,  이영재 (Konkuk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 다양한 나라에서 위성항법시스템을 운용, 개발하고 있다. 또한 GNSS의 성능향상을 위해 정지궤도위성을 이용하는 SBAS가 운용 중에 있다.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SBAS는 미국에서 개발한 GPS의 WAAS이다. SBAS에서는 사용자에게 정확성, 가용성, 연속성,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알고리즘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위성에 대한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있다. 이 알고리즘은 위성오차를 추정하고 보정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위성궤도오차3차원으로 추정하게 된다. 이렇게 위성궤도오차를 3차원으로 추정하기 위해서는 기준국 배치가 중요하게 된다. 기준국의 배치가 넓을수록 시선각 벡터가 넓게 분포되어 추정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대표적 SBAS 운영국인 미국과 한국의 지역적 특성으로 인한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한국은 미국에 비해 매우 협소한 지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3차원 위성궤도오차 추정 기법을 그대로 사용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협역지역에서 위성궤도오차를 3차원으로 추정하는 것이 아닌 스칼라로 값으로 사용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기준국(Reference)과 위성간의 시선각 (LOS, Line-Of-Sight) 벡터에 궤도오차를 투영한 스칼라 값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방식을 이용하여 정상상태, 고장상태의 한국과 미국지역에서 기저선 거리에 따른 오차 변화를 확인하도록 한다. 이 오차변화 차이를 비교하여 제안하는 기법의 사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many nations are operating and developing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Also,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which uses the geostationary orbit, is operated presently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GNSS. The most widely-used SBAS is Wide Area Augment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진행하고자 하는 기법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 후 결과로 나타내고 하는 값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방법에 대하여 제시하도록 한다. 이후 제시하고자 하는 방법에 대하여 한국과 미국지역의 동일한 시점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과를 보이고 정리하도록 한다.
  • 이때 벡터의 유사성을 파악하기 위해 내적을 이용하였다. 다음은 기저선 거리에 따라 시선각 벡터에 투영된 스칼라 오차의 차이를 확인해 보았다. 또한 이 시선각 벡터에 투영된 오차가 실제 사용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오차 크기를 확인하기 위해 수평 위치오차, 수직위치 오차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 이를 이후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한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분석해 보았다. 또한 이 시선각 벡터 투영오차의 크기에 따라 수평위치오차, 수직위치오차의 차이를 분석하여 사용자 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수준을 확인해 보겠다.
  •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위성궤도 오차를 표현하는 수치이다. 먼저 위성궤도오차를 정의한다.
  • 따라서 WAAS의 위성궤도오차를 추정하기 위한 기법의 한국지역 적용에 대하여 추가적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외지역인 미국과 국내지역인 한반도에서 기저선 크기에 따른 위성궤도오차의 영향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때 정상상태와 위성고장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 모두 분석을 수행하였다.
  • 이 결과로 한국지역과 미국지역에서 정상상태, 고장상태의 각 요소별 크기를 대략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본 절에서는 각 지역에서 기준 위치와 먼 위치를 정하고 이 위치들에서의 결과를 정량적으로 나타낸다. 이를 이용해 기저선 거리에 따른 각 요소의 크기차이를 비교해본다.
  • 수평위치오차보다는 작은 차이를 보인다. 실제 GPS를 이용할 경우 수직오차의 크기가 더 큰 결과를 가지겠지만 본 논문에 서는 기저선 거리에 따른 오차의 차이를 비교하 고 있는 것이다. 또한 다른 오차요인은 배제하고 위성궤도오차만을 고려하고 있다.
  • 이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과 같은 협역지역에서는 기저선 거리에 따른 거리오차 (이후 시선각 벡터 투영오차로 표기)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분석결과로 협역지역인 한국에서 위성궤도오차를 시선각 벡터 (LOS, Line of Sight)에 투영한 스칼라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도록 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한 위성에서 두 기준국까지의 벡터의 방향은 달라진다. 기준국의 기저선이 길어질수록 두 시선각 벡터가 달라질 것이다. 내적을 통해 두 시선각 벡터의 유사성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 위성 실제 위치와 방송궤도력으로 구한 위성좌표의 차이를 위성궤도오차로 가정하도록 한다. 이 오차를 시선각 벡터에 투영한 오차가 수식 (2)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이 미국에 비해 3차원 위성궤도오차 추정 기법을 사용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여기서 대표적 SBAS 운영국인 미국과 한국의 지역적 특성으로 인한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한국은 미국에 비해 매우 협소한 지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3차원 위성궤도오차 추정 기법을 그대로 사용하기 어렵다.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SBAS는 무엇인가? 또한 GNSS의 성능향상을 위해 정지궤도위성을 이용하는 SBAS가 운용 중에 있다.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SBAS는 미국에서 개발한 GPS의 WAAS이다. SBAS에서는 사용자에게 정확성, 가용성, 연속성,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알고리즘이 사용되고 있다.
위성에 대한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어떠한 기능을 하는가? 이 중 위성에 대한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있다. 이 알고리즘은 위성오차를 추정하고 보정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위성궤도오차를 3차원으로 추정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M. S. Jeong, Process and Analysis of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Data, Ph. D. Dissertation, Korea Aerospace University, 2009. 

  2. www.egnos-portal.eu 

  3. www.kari.re.kr 

  4. D. Y. Kim, A study on correction generation algorithms for wide area differential GNSS,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5. RTCA, Inc., Minimum Operational Performance Standards for Global Positioning System/Wide Area Augmentation System Airborne Equipment, RTCA DO-229C, Nov. 2001. 

  6. J. G. Park, Analysis of UDRE Monitoring Algorithm for Integrity Test of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for Korean Region, Master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2014. 

  7. DoD, GPS NAVSTAR, GLOBAL POSITIONING SYSTEM STANDARD POSITIONING SERVICE PERFORMANCE STANDARD, 4th Edition,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