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무중심 교육프로그램이 신규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비판적 사고와 이직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practical work-oriented education program on the ability of newly recruited nurses in execution of clinical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and turnover rat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7, 2017년, pp.191 - 199  

박정희 (건양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이미향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취업 전 간호대학생에게 적용된 실무중심 교육프로그램이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비판적 사고와 이직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무중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해당 병원에 취업한 간호사 와 실무중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고 해당 병원에 취업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단일군 전후설계 및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 연구이다. 연구결과 취업 전 실무중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과 비판적 사고는 높게 나타났으며, 실무중심 교육프로그램에 간호사의 입사 후 1개월 이내 이직율은 감소하였다. 병원 취업 전 간호대학생때부터 실무중심의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며 신규 간호사의 인적자원관리를 위해서 새롭게 시도한 실무중심 교육프로그램은 학교에서 학생의 임상실습 교과과정 개발과 병원에서 간호사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practical work-oriented educational program applied to the nursing students prior to the commencement of their employment on the ability of the newly recruited nurses in execution of clinical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and turnover rates. It is a s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실무중심 교육프로그램이 신규간호사의 비판적사고, 임상수행능력, 이직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그 결과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실무중심 임상실습프로그램은 간호사의 비판적사고,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규간호사 이직율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실무중심 교육프로그램이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비판적 사고와 이직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신규간호사의 병원 취업 후 병원조직의 사회화에 적응 할 수 있도록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 내용과 방법 개발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임상실습 간호대학생에게 실무중심 교육프로그램이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비판적 사고와 이직율 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설계 및 비 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실습 간호대학생에게 적용된 실무중심교육프로그램이 취업 후 신규간호사의 임상실무능력, 비판적 사고와 이직율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의의는 실무중심 교육프로그램을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하여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과 비판적 사고를 높여 신규간호사의 사회화를 향상시켜 간호사의이직율을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점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 전 실무중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한 후 취업 후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비판적 사고능력과 입사 후 1개월 이내 이직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규간호사의 잦은 이직이 끼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2%이었다[3]. 신규간호사의 잦은 이직은 의료기관 내부적으로 모집, 선발, 교육과 훈련에 소요되는 경제적, 인력적 손실뿐만 아니라 신규간호사 개인에게도 손실이 된다[4]. 신규간호사는 병원현장에서 다양한 원인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며[5,6] 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병원은 프리셉터 교육, 오리엔테이션 강화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임상수행능력이란 무엇인가? 신규 간호사는 간호학생 때부터 전문직 간호사로 성장하기 위해서 이론적 지식뿐만 아니라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익히고[7,8], 임상실습을 통해 임상현장에서 사용할 지식과 실무능력을 습득하게 된다[9]. 임상수행능력은 간호현장에서 적절한 지식, 판단, 기술을 통해 능숙하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10].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을 통하여 간호사가 상황에 따라 어떻게 반응하고, 느끼고, 생각하는지 간호의 중요성을 느끼고 환자 및 보호자, 그리고 다른 의료진들과의 의사소통방법을 관찰하면서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사회화의 길을 배우는 기회를 갖게 된다[11].
신규간호사의 임상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간호대학생 임상실무능력을 향상시키는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사실상 간호대학생들이 졸업 전까지 1,000시간가량의 임상실습을 받고 있지만 졸업 후 1년 동안 임상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수개월의 오리엔테이션과 재교육 등이 필요하다. 이는 현행의 임상실습교육내용이 관찰위주의 교육, 활력징후 측정, 시트 교환 등 반복적인 단순업무, 환자 이송 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호대학생이 전체적인 간호사의 실무를 확인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11]. 또한 간호인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간호학과 신설 및 증설이 되어 단기간 내 양적팽창이 이루어지면서[12] 임상실습에 투입되는 간호대학생수가 급증하였고, 간호대학생 대비 실습병원이 부족함에 따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의 내용과 질에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13,14]. 따라서 신규간호사의 임상적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대학생 임상실습부터 임상실무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H. H. Park & K. O. Lee, S. O. Kim.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clinical nurses in job trai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8, pp. 319-329, 2016. DOI://http://dx.doi.org/10.14400/JDC.2016.14.8.319. 

  2. H. I. Park & K. H. Lee. "The effects of social intelligence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4, pp. 325-336. 2016. DOI://http:dx.doi.org/10.14400/JDC.2016.14.4.325 

  3. Korean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Survey on actual condition of nurse's activities. 2014. 

  4. S. S. Han, I. S. Sohn & N. E. Kim. "New nurse turnover intention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Vol. 39, No. 6, pp. 78-887, 2009. DOI: http://dx.doi.org/10.4040/jkan.2009.39.6.878 

  5. J. H. Kim & S. A. Park.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strategies and a nursing organizational effective in staf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8, No. 1, pp. 97-105, 2007. 

  6. Y. M. Kim & S. N. Kim. "The convergence study of experience of turnover in new graduate nurses within one yea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4, pp. 97-106, 2016. 

  7. H. S. Park & J. Y. Han.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26, No. 3, pp. 695-706, 2015. 

  8. Y. O. Ha & J. Y. An.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core nursing skills improvement program on nursing skills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No. 5, pp. 223-231, 2017. 

  9. H. S. Kim,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16, pp. 64-76. 2002. 

  10. C. Barrett &F. Myrick,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e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27, No. 2, pp. 364-371, 1998. 

  11. H. Y. Lee, H. S. Lim & M. Y. Kim, "The clinical practice of newly graduated nurses who are resigned."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Vol.12, No. 1, pp36-48, 2011. 

  12. S. H. Bae & J. S. Park. "The recognition of achievement and importance of nursing program outcome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9, No. 1, pp. 203-214, 2013. DOI: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2.2-3 

  13. Y. S. Kim, J. W. Park, H. S. Kim, M.. S. Yoo, K. S. Bang & J. H. Park. "Perception of professors and nurses on clinical practice teaching and organizational integration of colleges and clinical nursing departm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7, No. 2, pp. 292-300, 2007. 

  14. H. H. Han. "A study of convergence on frequency of performance, self-confidence, performance assessment scores of core nurs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8, pp.355-362. 2016. 

  15. Y. R. Lee & H. L. Kang. "Effects of mentoring seni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education on clinical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11, pp. 441-448. 2016. DOI:http://dx.doi.org/10.14400/JDC.2016.14.11.441 

  16. J. A. Park, B. J. Kim, "Critical thinking disposit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es. Vol. 39, No. 6. pp. 840-850. 2009. 

  17. H. S. Cho,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1. No. 2 pp. 222-231, 2005. 

  18. K. A. Shin & B. H. Cho. "Professional self-concept,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9, No. 1, pp. 46-56, 2012. DOI: http://dx.doi.org/10.7739/jkafn.2012.19.1046 

  19. Y. W. Shin, H. J. Lee & Y. J. Lim, "Predictors of clinical competence in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6, No. 1, pp. 37-47, 2010. 

  20. E. K. Lee & J. A. Park. "Ego-resiliance and the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27 No. 2, pp. 293-303, 2013. DOI: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2.293 

  21. J. Y. Lee & S. Y. Park.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es in local general hospitals." Journal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0, No. 2, pp. 145-153, 2014.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2.145 

  22. F. Myrick. "Preceptorship and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41, No. 4, pp. 154-164. 2002. DOI: http://dx.doi.org/10.3928/0148-4834-20020401-05 

  23. K. J. Ko.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on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Master thesis. Kwandong Uinvertisy. 2003. 

  24. H. Y. Choi.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competency and stress." Master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991. 

  25. Y. S. Kang, H. Cho & Y. S. Roh. "The effects of cooperative clinical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the competency and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2, No. 1, pp. 13-20, 2006. 

  26. J. D. Lee. "The Study of preceptor-guided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clinical competency and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 Master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6. 

  27. E. Y. Choi & J. Y. Kim. "The Relationship of core competencies(problem 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critical think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4, No. 4, pp. 412-419,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