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간호사의 업무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clinical competence of new nurses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18 no.1, 2020년, pp.109 - 118  

김경희 (충남대학교 병원) ,  김선미 (충남대학교 병원) ,  권명진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신규간호사의 경우 간호수행을 위한 전문지식과 기술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을 실제 업무수행에 적용시키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밝혀 간호업무수행능력향상 중재 시 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대상자는 신규간호사 182명이며, IBM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업무수행능력은 간호사 수, 근무병원이 실습을 했던 병원인 경우, 간호사 이미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업무수행능력은 회복탄력성(r = .50), 감정노동(r = .62)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 <.001), 신규 간호사의 업무수행능력의 유의한 영향 요인은 회복탄력성(β = .567)과 감정노동(β = .332)이었으며, 총 설명력은 50.5%(p <.001)이었다. 신규간호사의 업무수행능력의 영향요인을 고려한 맞춤식 중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ew nurse's resilience,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n clinical competence. Method: The subjects were 182 new nurses. The IBM SPSS 23.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with the significance level set at .05...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업무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업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회복탄력성, 감정노동, 조직사회화가 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감정노동과 조직사회화가 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회복탄력성, 감정노동, 조직사회화가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신규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영향요인을 고려한 각자에게 적합한 개별적 교육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밝혀 간호업무수행능력 중재 시 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간호사에게 전문적이고 높은 업무 수준을 요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병원에서 환자에게 제공되는 대부분의 서비스는 간호사에 의한 것으로 간호사의 업무수행능력은 환자의 건강회복과 서비스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환자를 가장 가까이에서 오랜 시간 돌보는 임상간호사의 업무수행능력은 최근 환자들의 입원기간 단축과 질병 양상의 변화, 국민들의 권리의식 향상 등에 따라 좀 더 복잡해지고 다양화되어 보다 전문적이고 높은 수준이 요구되고 있다[1]. 이러한 사회적인 요구에 따라 간호사의 업무는 점점 폭 넓어지고 전문화되고 있으며 간호사들의 업무수행능력향상을 위해 간호조직에서는 많은 교육과 연구 그리고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조직사회화란 무엇인가? 조직사회화란 개인이 조직의 규범과 가치를 내면화 하면서 조직이 필요로 하는 업무와 지식의 습득 및 지지적인 상호관계를 통해 직업적 정체성을 형성하고 조직의 생산성 있는 일원으로 변화되어 가는 과정으로[9], 성공적인 조직사회화는 조직원에게 긍정적인 시각을 갖게 해주어 조직에 대한 만족도를 증가시켜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해낼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10].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결과 조직사회화와 업무수행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조직사회화가 증가할수록 업무수행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신규간호사들에게 개별적인 교육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사회적인 요구에 따라 간호사의 업무는 점점 폭 넓어지고 전문화되고 있으며 간호사들의 업무수행능력향상을 위해 간호조직에서는 많은 교육과 연구 그리고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업무수행을 보다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업무수행능력향상 교육을 받고 이를 임상실무에 적용하는 것은 간호사들에게 많은 노력을 요하는 과정인데 특히 신규간호사의 경우 간호수행을 위한 전문지식과 기술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을 실제 업무수행에 적용시키는데 어려움을 겪게되어 이로 인해 쉽게 좌절감을 경험할 수 있다[2,3]. 그러므로 신규간호사의 업무수행능력을 효율적으로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이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을 고려하여 개별적인 교육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 W. Song. (2007). The Conceptual Structure of Nursing Expertise. Unpublished Docto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 E, S. Sook. (200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wly graduated Nurses' Intention to turnover and Job Stress/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 H. S. Song & S. H. Lim. (2017). Infection Exposure Prevention of Nurses Working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Crisisonomy, 13(4), 69-80. 

  4. W. Y. Shin, M. A. Choi & J. H. Kim. (2009). The Effects of the Three Resilience Factors on Problematic Online Game Uses. Journal of Cyber 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26(3), 43-81. 

  5. O. H. Choi & K. H. Hwang. (2014). The Influences between New Nurses' Nursing Performance, Emotional Intelligence, Self-resiliency and Core Self-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Society, 14(7), 291-301. http://dx.doi.org/10.5392/JKCA.2014.14.07.291 

  6. M. J. Jo & M. H. Sung. (2018). Impact of Role Conflict,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n Nursing Task Performance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7(1), 59-66. DOI: 10.5807/kjohn.2018.27.1.59 

  7. S. Mann & J. Cowburn. (2005). Emotional Labour and Stress within Mental Health Nursing.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2, 154-162. DOI: 10.1111/j.1365-2850.2004.00807.x 

  8. M. S. Song. (2014).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Job Involve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6), 3741-3750. DOI: 10.5762/KAIS.2014.15.6.3741 

  9. M. S. Kim & S. O. Choi. (2003). Concept analysi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9(1), 19-30. 

  10. Y. S. Song & M. Y. Lee. (2010). The Effect of Need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Climate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3), 51-61. 

  11. J. S. Choi & N. Y. Yang. (2012). Nursing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according to Teaching Style of Preceptors and Personality of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3), 281-289 

  12. K. M. Connor & J. R. Davidson. (2003).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Anxiety, 18, 76-82. 

  13. H. S. Paek. (2010).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K-CD-RISC).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14. J. A. Morris & D. C. Feldman. (1996). The Dimens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4), 986-1010. DOI: 10.2307/259161 

  15. M. J. Kim. (1998). Effect of the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upon the Job?related Attitudes.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1(2), 129-141. 

  16. I. S. Sohn, H. S. Kim, J. S. Kwon, D. L. Park, Y. H. Han & S. S. Han. (2008).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1), 85-97. 

  17. W. H. Lee, J. J. Kim, S. J. Yoo, H. K. Hur, K. S. Kim & S. M. Im. (1990). The study of development of clinical performance measure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Nursing Query, 13, 17-29. 

  18. J. W. Park & S. K. Jung. (2016).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Resilience on Nursing Performance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0), 236-244. DOI: 10.5762/KAIS.2016.17.10.236 

  19. S. S. Luthar, D. Cicchetti & B. Becker. (2000). The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 71(3), 543-562. DOI: 10.1111/1467-8624.00164 

  20. A. R. Hochshild. (1979).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5(3), 551-575. 

  21. S. H. Kim & M. A. Lee. (2014).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20(3), 332-341. DOI: 10.11111/jkana.2014.20.3.332 

  22. H. N. Choi & M. H. Lee. (2018). Comparing the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 and the General Ward.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5(2), 139-146. DOI: 10.22705/jkashcn.2018.25.2.139 

  23. L. Karimi, S. G. Leggat, L. Donohue, G. Farrell & G. E. Couper. (2014). Emotional rescue: the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labour on well-being and job-stress among community nurses, J Adv Nurs. 70(1), 176-86. DOI: 10.1111/jan.12185. 

  24. S. S. Bang & I. O. Kim. (2014). Relationship among Essentials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Performance, Stress from Work and Work Capability of New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4), 628-638. 

  25. D. I. Lee & H. R. Park. (2018). Nurses' image type by first grade nursing college students: Q methodological approach,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11), 323-344. DOI: 10.22251/jlcci.2018.18.11.323 

  26. J. E. Kim, H. J. Jung, H. N. Kim, S. Y. Son, S. K. An, S. B. Kim, J. E. Son, E. G. Lee, H. W. Lee, M. K. Jung & K. H. Jeon. (2013). The Image of Nurses and Their Clinical Role Portrayed in Korean Medical TV Dramas in Recent 5 Year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0(2), 120-132. 

  27. Y. Hoeve, S. Kunnen, J. Brouwer & P. F. Roodbol. (2018). The voice of nurses: Novice nurses' first experiences in a clinical setting. A longitudinal diary study. J Clin Nurs, 27(7-8), 1612-1626. DOI: 10.1111/jocn.14307. 

  28. E. K. Joo & E. K. Yoo. (2016). A study on Nurses' Experience and Image of Medical Malpractice. Journal of Wellness, 11(3), 83-93. DOI: 10.21097/ksw.2016.08.11.3.83 

  29. M. J. Jo & M. H. Sung. (2018). Impact of Role Conflict,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n Nursing Task Performance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7(1), 59-66. DOI: 10.5807/kjohn.2018.27.1.59 

  30. J. H. Park & S. K. Chung. (2016).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resilience on nursing performance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0), 236-244. DOI: 10.5762/KAIS.2016.17.10.236 

  31. H. Lee & J. W. Kim. (2018). A Convergence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Labor and Work Performance of Information Security Professional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67-74. DOI: 10.15207/JKCS.2018.9.1.067 

  32. S. Y. Yoo & J. H. Yu. (2017). The Influence of Focusing Manner and Emotional Labor on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3(3), 341-334. DOI: 10.22650/JKCNR.2017.23.3.341 

  33. E. J. Park, S. M. Kim & I. R. Choi. (2018).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Nursing Performance and Somatic Symptoms of Nurse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9(4), 1323-1337. 

  34. Y. T. Hoeve, J. Brouwer, P. F. Roodbol & S. Kunnen. (2018). The importance of contextual, relational and cognitive factors for novice nurses' emotional state and affective commitment to the profession. A multilevel study. J Adv Nurs, 74(9), 1-13. DOI: 10.1111/jan.137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