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간호사 교육체계에 대한 실태조사: 프리셉터십 운영을 중심으로
Survey on the Education System for New Graduate Nurses in Hospitals: Focusing on the Preceptorship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21 no.2, 2019년, pp.112 - 122  

신수진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박영우 (을지대학교 의료원 간호부) ,  김미정 (경일대학교 간호학과) ,  김정현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이인영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new graduate nurses' education system, to establish guidelines for the education of new graduate nurses, and to provide dat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system. Eighty-nine hospita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rom July to...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 교육, 간호교육(관리)팀 운영, 프리셉터제도 운영을 포함한 현행 신규간호사 교육체계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신규간호사 교육제도 개선안의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따라서 각 의료기관의 간호부서장이나 교육담당자로부터 현재 실제로 운영되고 있는 신규간호사 교육현황을 확인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수준의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신규간호사 교육현황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1) 신규간호사 교육 운영실태를 파악하여 의료기관별로 분석하고, (2) 간호교육팀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의료기관별로 분석하고, (3) 신규간호사 교육을 위한 프리셉터제도 운영을 파악하여 의료기관별로 분석하여 향후 신규간호사 교육을 위한 교육제도 개선안의 근거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 교육, 간호교육(관리)팀 운영, 프리셉터제도 운영을 포함한 현행 신규간호사 교육체계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신규간호사 교육제도 개선안의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따라서 각 의료기관의 간호부서장이나 교육담당자로부터 현재 실제로 운영되고 있는 신규간호사 교육현황을 확인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수준의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신규간호사 교육현황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1) 신규간호사 교육 운영실태를 파악하여 의료기관별로 분석하고, (2) 간호교육팀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의료기관별로 분석하고, (3) 신규간호사 교육을 위한 프리셉터제도 운영을 파악하여 의료기관별로 분석하여 향후 신규간호사 교육을 위한 교육제도 개선안의 근거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a)Preceptor teaches preceptee while preceptor and preceptee care for patients on same team. b)Preceptor and preceptee are in charge of each team, and preceptor is simultaneously teaching precepte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 평균이직률은? 또한 간호사는 의료기관에서 평균 5.4년 근무를 하고 있어, 의사, 약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평균 근무연수가 짧은 편이며, 평균이직률 또한 20.4%로 다른 직종에 비해 높다[1]. 신규간호사의 1년 이내 이직률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2017년 전체 신규간호사 17,952명 중 7,671명(42.
신규간호사의 적응을 위해 필요한 것은? 또한 신규간호사의 업무만족, 업무의 의미, 간호업무 관련 갈등, 환자/보호자와의 관계에서의 갈등이 재직의도에 영향을 주기에 신규간호사의 재직기간을 늘리려면 업무만족을 높여주고, 간호업무의 의미를 긍정적으로 갖도록 도우며, 간호업무에서의 역할갈등을 줄여주고, 환자/보호자와의 관계 갈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현장적응프로그램이 필요하다[19]. 신규간호사의 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과 인적, 물적 자원의 지원, 멘토링이나 프리셉터와의 긍정적인 관계 등을 촉진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하여 신규간호사의 조직몰입을 돕고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8]. 따라서 신규간호사가 현실충격을 극복하고 효율적으로 임상실무에 적응하여 요구되는 역할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간호지식 및 기술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되며, 그에 앞서 임상현장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프리셉터제도 운영을 포함한 신규간호사의 교육실태를 우선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신규간호사 입문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국외에서는 간호사로서의 업무수행 초기에 시행되는 오리엔테이션 단계를 신규간호사의 적응을 도와 직업과 관련된 피로와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고 재직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고 강조하며 [11], 신규간호사의 병원적응을 돕기 위해 Nurse Residency Program, Transition Program, Nursing Graduate Guarantee Program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정부의 지원하에 운영하고 있고 [12-14], 그 효과를 검증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신규 간호사가 현실충격에서 벗어나 자신의 역할을 개발하여 적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8개월에서 12개월이 걸린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15,16], 현재 우리나라의 신규 교육프로그램의 경우 충분한 시간과 교육의 질이 보장되지 않아 신규간호사로서 새로운 임상환경의 업무가 익숙해지기 전에 과중한 업무가 주어지고 있다. 따라서 신규간호사의 임상현장 적응을 돕기 위해 초기에 시행되는 신규간호사 입문 교육이 중요하며, 입문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National health and medical care survey [Internet]. Cheongju: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2018 [cited 2019 Jan 17]. Available from: https://www.khidi.or.kr/board/view?linkId 48711764&menuIdMENU01522.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yearbook 2018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cited 2019 Jan 17].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47082&page1. 

  3. Hospital Nurses Association.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 placement [Internet].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9 [cited 2019 Jan 30]. Available from: http://khna.or.kr/web/information/resource.php. 

  4. Bontrager S, Hart PL, Mareno N. The role of preceptorship and group cohesion on newly licensed registered nurses' satisfaction and intent to stay. J Contin Educ Nurs. 2016;47(3):132-9. 

  5. Kovner CT, Brewer CS, Fatehi F, Jun J. What does nurse turnover rate mean and what is the rate? Policy Polit Nurs Pract. 2014;15(3-4):64-71.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release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cited 2019 Mar 20].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39529&page1. 

  7. Yun HJ, Kwak EM, Kim HS. Focus group study on reality shock experiences of new graduate nurses. J Qual Res. 2018;19(2):102-11. 

  8. Ji EA, Kim JS. Factor influencing new graduate nurses'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length of service. J Korean Acad Nurs Adm. 2018;24(1):51-60. 

  9. Yoo CS, Kim JH, Kim MY, Kim SJ, Kim YS, Kim JA, et al. Factors related to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J Korean Clinl Nurs Res. 2012;18(2):239-50. 

  10. Yun HM, Kim JS.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new nurses. Glob Health Nurs. 2012;2(2):52-61. 

  11. Ashton KS. The orientation period: essential for new registered nurses' adaptation. Nurs Sci Q. 2015;28(2):142-50. 

  12. Van Camp J, Chappy S. The effectiveness of nurse residency programs on retention: a systematic review. AORN J. 2017;106(2):128-44. 

  13. Levett-Jones T, FitzGerald M. A review of graduate nurse transition programs in Australia. Aust J Adv Nurs. 2005-2006;23(2):40-5. 

  14. Baumann A, Hunsberger M, Crea-Arsenio M, Akhtar-Danesh N. Policy to practice: investment in transitioning new graduate nurses to the workplace. J Nurs Manag. 2018;26(4):373-81. 

  15. Kramer M, Brewer BB, Maguire P. Impact of healthy work environments on new graduate nurses' environmental reality shock. West J Nurs Res. 2013;35(3):348-83. 

  16. Shin YW, Lee HJ, Lim YJ. Predictors of clinical competence in new graduate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2010;16(1):37-47. 

  17. Hospital Nurses Association. Survey on the education status of new nurses [Internet].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0 [cited 2019 Mar 20]. Available from: http://khna.or.kr/web/information/resource.php. 

  18. Shin S, Park Y, Kim M, Kim J, Lee I. New nurs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guidelines report. Seoul: Center for Nursing Workforce Employment Education,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8. 

  19. Son HM, Lee EH, Cho KS. Affecting factors of new nurse's intention to retention in hospitals. J Muscle Jt Health. 2017;24(3):205-16. 

  20. Bakon S, Craft J, Wirihana L, Christensen M, Barr J, Tsai L. An integrative review of graduate transition programmes: developmental considerations for nursing management. Nurse Educ Pract. 2018;28:80-5. 

  21. Rush KL, Adamack M, Gordon J, Lilly M, Janke R. Best practices of formal new graduate nurse transition programs: an integrative review. Int J Nurs Stud. 2013;50(3):345-56. 

  22. Kim S, Lee K. Predictors of turnover among new nurses using multilevel survival analysis. J Korean Acad Nurs. 2016;46(5):733-43. 

  2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Survey of nurses' activity status [Internet]. Cheongju: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2015 [cited 2019 Jan 17]. Available from: https://www.khidi.or.kr/board/view?linkId158628&menuIdMENU00085. 

  24. Cosme S, Yarbrough C, O'Brien M, Chappell K. Using the magnet criteria to document new graduate nurses' transition to practice. J Nurses Prof Dev. 2018;34(1):20-5. 

  25. Edwards D, Hawker C, Carrier J, Rees C.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transition from student to newly qualified nurse. Int J Nurs Stud. 2015;52(7):1254-68. 

  26. Irwin C, Bliss J, Poole K. Does preceptorship improve confidence and competence in newly qualified nurse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Nurse Educ Today. 2018;60:35-46. 

  27. Professional Practice Education and Training Team. Guidelines for the preceptorship for new clinical registrants [Internet]. Kettering: Northamptonshire Healthcare NHS Foundation Trust; 2018 [cited 2019 Jan 17]. Available from: https://www.nhft.nhs.uk/download.cfm?docdocm93jijm4n1844. 

  28. Park YC, Park HS. Clinical competence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ccording to communication style of preceptors as perceived by new nurse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6;23(1):42-50. 

  29. Han J, Yoo EK. The study of preceptor nurses' occupational stress and burden. Korean J Stress Res. 2018;26(1):38-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