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사용행태 분석과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및 사용의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 and Intention of the Health Care Application in the Analysis of Smartphone Usage Behavior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5 no.4, 2020년, pp.303 - 315  

양재민 (대전대학교 대학원 융합컨설팅학과 기술경영전공) ,  현병환 (대전대학교 대학원 융합컨설팅학과) ,  옥준우 (대전대학교 대학원 융합컨설팅학과 기술경영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ICT의 발전으로 모바일과 헬스케어의 융합을 통해 건강 관리와 관리 효율성 증진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가 확산되고 있으나 소비자의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수용과 불균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소비자 행동과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기능과 수용의도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미흡한상황이다. 본 연구는 사용자들이 스마트폰 사용시 바른자세를 유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자각 여부와 그로인한 위험성 인지와 해결하고 있는 방법들을 알아보고,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수용의도 및 기능과 가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BIO 2018 in Boston' 전시회에 참가 및 참관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5일간 1:1심층 설문 작성한 자료를 실제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표본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스피어만 상관분석, 카이제곱검정, 일원분산분석, 정확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바르지 못한 자세를 자각 할수록 위험성 인지와 문제해결 행동의 의지도 높다. 둘째, 헬스케어 앱의 기능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과 함께 건강관리와 헬스케어 앱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사용자 행동변화를 중심으로 한 시스템 또는 기능구현에 포커스를 맞춰야한다. 넷째, 시각적으로 동기부여를 높일 수 있는 서비스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양한 소비자 특성을 파악하고 기능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향후 효율적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제공을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velopment of ICT is spreading various contents to enhance health care and management efficiency through convergence between mobile and healthcare, but it indicates consumer acceptance and imbalance of mobile healthcare, and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functions and acceptability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통하여 사용자들이 스마트폰 사용시에 얼마나 바른자세를 유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자각 여부와 그로 인한 위험성의 인지와 해결방법들을 알아보고,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수용의도 및 선호하는 기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들이 스마트폰 사용시에 얼마나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자각 여부와 그로인한 위험성의 인지 및 해결방법들을 알아보고,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수용의도, 요구기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대중화된 스마트폰의 자세, 인지, 위험성 등에 대한 사용행태에 대해 알 수 있고, 실무적으로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세분화된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고 다양하게 분석함으로서, 효율적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제공을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들이 스마트폰 사용시에 얼마나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자각 여부와 그로인한 위험성의 인지 및 해결방법들을 알아보고,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수용의도, 요구기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대중화된 스마트폰의 자세, 인지, 위험성 등에 대한 사용행태에 대해 알 수 있고, 실무적으로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세분화된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고 다양하게 분석함으로서, 효율적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제공을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시장테스트를 위한 인허가를 받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소모하기 때문에(임성훈·김용태, 2015) 기반자료를 활용함으로써 헬스케어 분야 벤처 창업기업의 성공을 돕는데 의의가 있다.

가설 설정

  • 연구문제 5: 자세의 지각, 건강관리, 헬스케어 앱의 활용에 따라 헬스케어 기능활용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헬스케어란 무엇인가? 모바일 헬스케어(Mobile Healthcare)란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모바일 기기(스마트폰, 테블릿 등)로 지원받는 의학, 건강 업무를 뜻한다(이선희·유선실, 2014). 또한 모바일 헬스케어가 스마트 기기와 전문적인 의료 모바일 기기를 통해서 건강관리를 하거나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는 것으로 정의하였다(GSMA & PwC, 2011).
모바일 헬스케어는 어떻게 구분 할 수 있는가? IT와 의료산업간 융합에 대한 개념은 환경과 기술의 변화에 따라 변화해 왔는데 의료산업에서 단순히 활용한 의료 정보화를 시발점으로 해서 원격의료(Telemedicine), e-Health, u-Health로 발전하였다. 모바일 헬스케어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 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건강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일반용 헬스케어’와 의사와 환자 간에 커뮤니케이션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의료용 헬스케어’로 나눌 수 있다. 또한, 헬스케어 서비스로서의 어플리케이션은 세 가지 유형(정보제공형, 신체측정형, 유지관리형)으로 분류 할 수 있다(장동희, 2016).
설문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수용의도 및 기능과 가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무엇인가? 수집된 표본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스피어만 상관분석, 카이제곱검정, 일원분산분석, 정확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바르지 못한 자세를 자각 할수록 위험성 인지와 문제해결 행동의 의지도 높다. 둘째, 헬스케어 앱의 기능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과 함께 건강관리와 헬스케어 앱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사용자 행동변화를 중심으로 한 시스템 또는 기능구현에 포커스를 맞춰야한다. 넷째, 시각적으로 동기부여를 높일 수 있는 서비스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양한 소비자 특성을 파악하고 기능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향후 효율적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제공을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GSMA & PwC(2011). Emerging mhealth: paths for growth. 

  2. Hong, S. P.(2015). ICT Spot Issu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romotion Center. 

  3. Jang, D. H.(2016). USIM-based mobile healthcare user authentication mechanism.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4. Jeon, H. J.(2012). Protect the spine-Smartphone threatening the spine, Health Special with themes. Hanyang University Medical Center Webzine, 5-6. 

  5. Johnson, J.(2012). Hand-on guides for therapists. Champaign IL: Human Kinetics, Postural Assessment. 

  6. Kim, D. S., & Choi, W. S.(2012). Analysis of kinematic variables according to the posture of using a smartphone.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22(2), 253-259. 

  7. Kim, J. S.(2014). Health column: smartphone, neck disk. Industrial Chemistry Outlook, 17(6), 48-48. 

  8. Kim, T. W.(2016). Digital healthcare policy status and tasks.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9. Lee, N. Y.(2016). A Study on the Influence of Health Care Service User Compliance Intention on the Continuous Use of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nic Commerce Association, 21(4), 95-117. 

  10. Lee, S. G.(2015). Smart healthcare business trend. Seongnam Industrial Promotion Foundation. 

  11. Lee, S. H., & Yu, S. S.(2014).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Status and Prospe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Broadcasting Policy, 26(17), 1-23. 

  12. Lee, T. H.(2005). The Effect of Qigong Gymnastics and Manual Therapy on Posture Correction and Changes in Exercise Ability of School Girls with Scoliosis.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13. Lim, S. H., & Kim, Y. T.(2015). Lean Start Application Study in the Healthcare Industrial point of view: The Case of Humedix Corpora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erpreneurship, 10(3), 99-109. 

  14. Lox, C. L., Ginis, K. A. M., & Petruzzello(2014). The Psychology of Exercise: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Scottsdale. Arizona: Holcomb Hathaway. 

  15.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KISA(2017). 2017 Internet Usage Survey. National approval statistics: 120005. 

  16.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KISA(2017). 2017 Smartphone Overdependence Survey. National approval statistics: 120019. 

  17. Park, B. G.(2013). The rapidly growing smart mobile healthcare market and its implications. DIGIECO Report Issue&Trend. 

  18. Park, J. S.(2016). The Effect of High Heels on Foot Pain and Posture Imbalance of Female Students in Department of Aviation Tourism. master's thesis, Hanseo University. 

  19. Olson, P.(2014). Wearable tech is plugging into health insurance. USA: Forbes. 

  20. Ryu, S. I.(2014). 5 years of smartphone adoption, mobile life change. DIGIECO Report Issue&Trend. 

  21. Sim, H., Kim, Y. J., & Park, M. J.(2016).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of healthcare applications according to smartphone user characteristics.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7), 410-419. 

  22. Shin, J. Y.(2016). User experience (UX) scenario of healthcare application to form exercise habits: Focusing on life application linkage.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23. Um, N. R.(2018). The actual state of 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efforts to prevent and resolve policy. Retrieve from http://journal.kiso.or.kr/?p8867#footnote_0_8867,2018.10.05. 

  24. Woo, B.(2016). Research to improve the usability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25. Yun, J. Y., & Mun, J. S.(2011). Smartphone Addiction and Health Problems of University Students. National Crisis Management Association, 3(2), 92-1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