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을 매개로 반생산적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via Burnout 원문보기

경영과 정보연구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v.36 no.1, 2017년, pp.309 - 327  

강미영 (부경대학교 경영학과) ,  한나영 (고신대학교 IT경영학과) ,  배상욱 (부경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감정노동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본 연구는 감정노동이(표면행동, 내면행동)이 직무소진(정서적 고갈, 탈인격화, 자아성취감 저하)을 매개로 반생산적과업행동(조직일탈, 개인일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감정노동이 요구되는 콜센터종사자, 백화점판매원, 금융종사자, 병원접점종사자, 호텔접점종사자, 승무원, 고객센터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총 350부의 설문지가 배부되었고,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300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실증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접점 종사자들이 직무수행과정에서 선택하게 되는 감정노동의 유형인 표면행동은 직무소진 중 정서적 고갈, 탈인격화, 자아성취감 저하에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면행동은 직무소진 중 탈인격화, 자아성취감 저하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적 고갈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소진 중 탈인격화와 자아성취감 저하는 모두 반생산적과업행동(조직일탈, 개인일탈)에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적 고갈은 반생산적과업행동(조직일탈, 개인일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importance of emotional labor has increased so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deviate from organization and individual deviation) using burnout(emotional exhaustion, personality disorder, dec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직무소진이 감정노동자들의 반생산적과업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감정노동이(표면행동, 내면행동)이직무소진(정서적 고갈, 탈인격화, 자아성취감 저하)을 매개로 반생산적과업행동(조직일탈, 개인 일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 셋째, 본 연구를 통해 근로자들의 반생산적과업행동을 유발시키는 감정노동을 관리․통제하고 조직에 긍정적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첫째, 감정노동자들이 지각하는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1: 표면행동은 정서적 고갈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 표면행동은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1: 내면행동은 정서적 고갈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내면행동은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직무소진은 반생산적과업행동(조직일탈)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직무소진은 반생산적과업행동(개인일탈)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첫째, 연구결과가 일정시점에서의 단 한 번의 조사, 즉 횡단적 자료를 이용한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결과의 일반화를 위해 시간에 걸쳐 얻은 종단적 자료를 통한 연구를 실시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반생산적과업행동에 포함되는 조직차원의 행동과 대인적 차원의 행동은 무엇인가? 반생산적과업행동(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은 근로자 개개인의 직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조직 전체의 성과에 악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의도적이고 자발적인 부정적 비과업행동으로(Probst, Stewart, Gruys & Tierney, 2007; Sackett, Berry & Wiemann, 2006) 일탈행동, 역기능행동, 조직 내 비행 등과 유사한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조직 차원에서의 지각이나 결근, 태만과 같은 행동, 그리고 대인적 차원에서 타인에 대한 험담, 언어폭력 등과 같이 조직목표를 훼손하는 부정적인 행동이 반생산적과업행동에 포함된다. 이는 근로자 및 조직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파괴적 행동으로 조직에서는 반생산적과업행동을 유발하는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감정노동이란 무엇인가? R. Hochschild)가 ‘관리된 마음(The managed heart)’(1983)에서 처음 제시한 용어로, ‘고객의 기분에 맞추거나 조직에서 요구하는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원래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고 통제하는 등 감정을 관리하는 노동’을 뜻한다. 그는 조직에서 근로자로 하여금 겉으로 보이는 행위만이 아니라 내면의 감정 상태를 조직의 감정규칙에 맞게 조정하도록 제시하는데, 이러한 결과 근로자들은 자신이 ‘어떻게 느끼는가?’보다 ‘어떻게 느껴야 하는가?’라는 감정규칙에 의해 통제를 받게 되고, 실제 자신의 감정 상태와 조직에서 요구하는 감정상태 사이의 감정적 불일치를 경험하게 된다고 말한다.
서비스업 종사자들이 높은 스츠레스를 경험하면 직무소진에 노출되고 이직이 증가하거나 반생산적과업행동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6%는 자살충동을 느꼈고, 4%는 실제로 자살을 시도했다고 한다.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많은 근로자들이 고객과 접촉하는 동안 조직의 기대에 부응하려고 노력하는 시도는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 결과를 야기하게 된다. 특히 감정 자체가 근로자 개인의 자발성으로부터 표출된 것이 아니고 외부의 힘에 의하여 강요된 것이라면 그 자체가 충분히 근로자의 스트레스 및 우울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이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할 경우 쉽게 직무소진에 노출되고 그 결과 부정적 행동인 이직이 증가하거나 반생산적과업행동을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권미경(2010), "항공사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영조.한주희(2008), "서비스 직원의 감정노동 수행과 직무소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2(3), 95-128. 

  3. 김영진(2010), "감정노동과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소진의 역할: 항공사 직원을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일성.송계충(2012),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감정노동의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직무소진의 매개 효과 및 사회적 지원의 조절 효과 연구", 인적자원개발연구, 15(2), 1-36. 

  5. 박기륜.문계완.김성윤(2015), "직장인 일중독과 직무소진, 조직시민행동, 반생산적행동 간의 구조적인 관계", 인적자원개발연구, 18(1), 81-114. 

  6. 박미영(2008), "외식산업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수행전략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배병렬(2007), Amos 7에 의한 구조방정식 모델링(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7, Principles and Practice), 도서출판 청람. 

  8. 손해경(2011), "호텔 직원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 및 임파워먼트와 소진 간의 영향 관계에 관한 연구: 특1급 호텔과 특2급 호텔 직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25(6), 155-178. 

  9. 이복임(2006), "감정노동 종사자의 건강모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이순정(2016),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사와의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정효선.윤혜현(2013), "스트레스 관리가 왜 중요할까? 특급 호텔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 및 반생산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종사원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지, 19(2), 111-129. 

  12. 한나영.박상봉(2015), "사회적 자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연구, 34(5), 295-312. 

  13. 홍상기(2015), "백화점 판매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고객지향성에 대한 직무소진의 매개역할",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Abraham, R.(1998), Emotional dissonance in organizations: a conceptualization of consequences, mediators and moderators, Leadership and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19(3), 137-146. 

  15. Allen, J. A., Pugh, S. D., Grandey, A. A., & Groth, M.(2010), Following display rules in good or bad faith?: Customer orientation as a moderator of the display rule-emotional labor relationship, Human Performance, 23(2), 101-115. 

  16. Anderson, J. C., & Gerbing, D. W.(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17. Ansari, M. E., Maleki, V. S., & Mazraeh, S.(2013),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ed on employees'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The moderating role of job burnout and engagement, Journal of American Science, 9(1), 350-359. 

  18. Ashforth, B. E., & Humphrey, R. H.(1993),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18(1), 88-115. 

  19. Baumeister, R. F., Heatherton, T. F., & Tice, D. M.(1994), Losing control: How and why people fail at self-regulation, SanDiego: Academic Press. 

  20. Bechtoldt, M. N., Welk, C., Hartig, J., and Zapf, D.(2007), Main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trol, organizational justice, and emotional labour on counterproductive behavior at work,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6(4), 479-500. 

  21. Bennett, R. J., & Robinson, S. L.(2000), Development of a measure of workplace devi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5(3), 349-360. 

  22. Brotheridge, C. M.(1999), Unwrapping the blackbox: A test of why emotional labour may lead to emotional exhaustion, In D. Miller(Ed.), Proceedings of the Administrative Sciences Association of Canada (Organizational Behaviour Division), Saint John, New Brunswick. 

  23. Brotheridge, C. M., & Grandey, A. A. (2002),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0, 17-39. 

  24. Brotheridge, C. M., & Lee, R. T.(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ur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6(3), 365-379. 

  25. Cordes, C. L., & Dougherty, T. W.(1993), A Review and an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18(4), 621-656. 

  26. Erickson, R. J., & Wharton, A. S.(1993), Unauthenticity and depression: Assessing the consequences of interactive service work, Work and Occupations, 24(2), 188-213. 

  27. Folkman, S., & Lazarus, R. S.(1991), Coping and emotion, In A. Monat & R. S. Lazarus(Eds.), Stress and coping: Ananthology(pp.207-227), New York: Columbia Univ. Press. 

  28. Friedman, I. A., & Farber, B. A.(1992), Professionalself-concept as a predictor of teacher burnout,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6(1), 28-35. 

  29. Glomb, T. M., & Tews, M. J.(2004), Emotional labor: a conceptualization and scale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4, 1-23. 

  30. Grandey, A. A.(2000), Emotion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1), 95-110. 

  31. Grandey, A. A.(2003), When the show must go on: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as determinant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peer-rated service deliver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6, 86-96. 

  32. Grandey, A. A., Fisk, G. M., & Steiner, D. D.(2005), Must service with as mile be stressful? The moderating role of personal control for American and French Employe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 893-904. 

  33. Gross, J. J.(1998), Antecedent-and responsefocused emotion regulation: Divergent consequences for experience, expression, and physi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74, 224-237. 

  34. Hair, J., Black, W., Babin, B., Anderson, R., & Tatham, R.(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Perso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35. Hochschild, A. R.(1979),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5(3), 551-575. 

  36. Hochschild, A. R.(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7. Kelloway, E. K., Lori, F., Mattew, P., & James, E. C.(2010),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as protes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20, 18-25. 

  38. Koeske, G. F., Kirk, S. A., & Koeske, R. D. (1993), Coping with job stress: Which strategies work best?,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66(4), 319-335. 

  39. Lazarus, R. S.(1991), Progress on a cognitivemotivational- relational theory of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46, 819-834. 

  40. Lee, R. T., & Ashforth, B. E.(1996), A meta-analytic examination of the correlates of the three dimensions of job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2), 123-133. 

  41. Maslach, C., & Jackson, S. E.(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2), 99-113. 

  42. Maslach, C.(1982), Burnout: The cost of caring, New York: Prentice Hall. 

  43. Maslach, C.(1982), Understanding burnout, In W. S. Paine(Ed), Job stress and burnout, Sage Publication, Ins. 

  44. Montgomery, A. J., Panagopolou, E., de Wildt, M., & Meenks, E.(2006), Workfamily interference, emotional labor and burnout,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1, 36-51. 

  45. Morris, J. A., & Feldman, O. C.(1996),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 986-1010. 

  46. Naring, G., Briet, M., & Brouwers, A.(2006), Beyond demand control: Emotional labour and symptoms of burnout in teachers, Work and Stress, 20, 303-315. 

  47. O'Brien, K. E., & Allen, T. D.(2008), The relative importance of correlate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using multiple sources of data, Human Performance, 21, 62-88. 

  48. Probst, T. M., Stewart, S. M., Gruys, M. L., & Tierney, B. W.(2007), Productivity, counterproductivity and creativity: The ups and downs of job insecurity,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0(3), 479-497. 

  49. Pugliesi, K.(1999), The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Effects on Work Stress, on Satisfaction, and Well-being, Motivation and Emotion, 23, 125-154. 

  50. Pugliesi, K., & Shook, S.(1997), Gender, jobs and emotional Labor in a complex organization, Social Perspectives on Emotion, 4, 283-316. 

  51. Robinson R. J., & Bennett, S. L.(1995), A typology of deviant workplace behaviors: A multidimensional scaling stud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555-572. 

  52. Sackett, P. R., Berry, C. M., Wiemann, S. A., & Laczo, R. M. (2006), Citizenship and counterproductive behavior: Clarifying relations between the two domains," Human Performance, 19(4), 441-464. 

  53. Spector, P. E., & Fox, S.(2005), A model of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In S. Fox, & P. E. Spector(Eds.), Counterproductive workplace behavior: Investigations of actors and targets. Washington, DC: APA, 151-174. 

  54. Werner, J. M.(2000), Implications of OCB and contextual performance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0(1), 3-24. 

  55. Yang, J., & Diefendorf, J. M.(2009), The relations of daily counterproductive workplace behaviors with emotions, situational antecedents, and personality moderators: A diary study in Hong Kong, Personnel Psychology, 62(2), 259-2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