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묵(MOOCs)에 대한 한국 대학교육 전문가의 인식 조사
A Study on Perception of Korean Universities' Education Specialists on MOOC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7, 2017년, pp.222 - 235  

민혜리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  금선영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묵(MOOCs)에 대한 한국 대학교육 전문가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K-MOOC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 대학교육 전문가 64명을 대상으로 묵(MOOCs)의 교육적 목표와 그 활용에 관한 미시적 쟁점과 거시적 쟁점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대학교육 전문가들은 묵(MOOCs)의 교육적 목표를 교육 방법의 혁신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묵(MOOCs) 이수증 발급이 학위 제도의 혼란을 야기할 것이라는 데에는 대체로 부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는데, 이는 묵(MOOCs)을 보완재로서 인식하는 경향이 커졌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거시적인 차원에서는 전반적으로 K-MOOC에 대해 부정적인 전망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K-MOOC의 파괴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묵(MOOCs)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보여 진다. 이에 따라 K-MOOC 활용을 위한 제도적 정비와 대학 간 공동 개발의 가능성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Korean universities' education specialists and seek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MOOCs. To investigate this, 64 Korean university education specialists were surveyed about the educational goals of MOOCs and their perception of micro and m...

주제어

표/그림 (12)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묵의 목표는 무엇인가? 묵(MOOCs)은 대규모 온라인 공개강좌(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를 뜻하는 영어의 두문자를 따서 만든 신조어로, ‘인터넷을 활용한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학습과 참여’를 그 목표로 하고 있다[3][5]. 묵(MOOCs)은 진정한 의미로 세계적인 ‘온라인 강의실’과 ‘다문화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단순한 지식전달을 넘어 개별화되고 주체적인 학습을 통해 집단지성을 활용한 지식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교육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묵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묵(MOOCs)은 진정한 의미로 세계적인 ‘온라인 강의실’과 ‘다문화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단순한 지식전달을 넘어 개별화되고 주체적인 학습을 통해 집단지성을 활용한 지식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교육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묵(MOOCs)은 한편으로는 대학에서 기술과 결합하여 급속도로 변화되는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혁신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는데, Gallagher와 Garrett는 묵(MOOCs)이 다음의 6가지 전략적 이익을 대학교육에 제공한다고 말하고 있다. 첫째, 묵(MOOCs)은 대학이 상대적으로 작은 비용으로 자신의 브랜드를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묵(MOOCs) 서비스의 공통적인 특징은 무엇인가? 그리고 2013년에는 프랑스의 FUN 프로젝트와 영국 개방대학(Open University)의 ‘OpenLearn' 서비스가 퓨처런(FutureLearn)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묵(MOOCs)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특징적인 것은 모두 공개(Open)를 지향하고 있으며,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고등교육의 질을 높이고, 양질의 교육을 보다 많은 사람과 함께 공유하기 위한 철학적 기저를 갖는다는 점이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P. G. Altbeck, L. Reisberg, and L. E. Rumbley, Trends in Global higher Education: Tracking an Academic Revolutio, A Report prepared for the UNESCO 2009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UNESCO, 2009. 

  2. L. Barack, Higher Education in the 21th Century: Meeting real-world demands, An Economist Intelligence Unit Research Program, Academic Partnerships, 2014. 

  3. 나일주, "묵의 시대가 열리다", 나일주(편), 글로벌 학습시대 묵스의 이해, 학지사, 2015. 

  4. https://www.ussc.edu.au/ussc/assets/media/docs/publications/130801_DisruptiveEducation_GallagherGarrett.pdf 

  5. A. W. Bates, Teaching in a digital age. BC Open Textbook, 2015. 

  6. 민경배, 무크 10대 이슈,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7. 이정기, 온라인 대학 교육,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8. 정인성, 나일주, 원격교육의 이해, 교육과학사, 2008. 

  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형 MOOC 연계를 위한 온라인 강의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부, 2014. 

  10. M. Clara and E. Barbera, "Learning online: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 connectivism, and cultural psychology," Distance Education, Vol.34, No.1, pp.129-136, 2014. 

  11. T. A. Finkle and E. Masters, "Do MOOCs pose a threat to higher education?,"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Journal, Vol.11, 2014. 

  12. D. Jansen, R. Schuwer, A. Teixeira, and C. H. Aydin, "Comparing MOOC adoption strategies in Europe: Results from the HOME project survey,"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ributed Learning, Vol.16, No.6, 2015. 

  13. G. Y. Lee, S. Y. Keum, M. S. Kim, Y. M. Choi, and I. J. Rha,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OOC design Model,"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Vol.17, No.1, pp.1-37, 2016. 

  14. 강민석, "교육의 관점에서 MOOCS 의 현황 및 적용 방향,"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pp.84-87, 2015. 

  15. 이수지, "MOOC 의 전망과 과제," 교육과학연구, 제19권, pp.107-139, 2013. 

  16. 최진숙, "온라인 교육문화혁명: MOOC," 글로벌문화콘텐츠, pp.179-198, 2014. 

  17. http://www.forbes.com/sites/sap/2012/09/06/massive-open-online-course-a-threat-or-opportunity-to-universities/ 

  18. J. H. Lim, "A new paradigm of education: flipped learning, opportunity ofr threat?,"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ol.16, No.3, pp.132-140, 2014. 

  19. UPenn GSE., Penn GSE study shows MOOCs have relatively few active users, with only a few persisting to course end, 2013. 

  20. 최효선, 유미나, "다양성과 협력을 추구하는 유럽 스타일의 묵스," 나일주(편), 글로벌 학습시대 묵스의 이해, 학지사, 2015. 

  21. 이지현, "묵의 종류", 나일주(편), 글로벌 학습시대 묵스의 이해, 학지사, 2015. 

  22. http://www-jime.open.ac.uk/jime/article/viewArticle/2012-18/html/ 

  23. C. Parr, "MOOC completion rates 'below 7%'," Times higher education, Vol.9, 2013. 

  24. G. Lee and J. Lee, Proposal for new standard about MOOCs dropout,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2014. 

  25. http://www.mcny.edu/student_serv/lecblog/luminaria-rise-of-the-mooc 

  26. 임철일, 미국의 대표 묵: 코세라와 에드엑스의 운영 성과와 시사점, 나일주(편), 글로벌 학습시대 묵스의 이해, 학지사, 2015. 

  27. 강선영, 김정숙, 김수경, "대학교육에서 K-MOOC와 KOCW 온라인 강의의 활용성 비교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283-293, 2016. 

  28. 양단희, "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의 근원적인 문제점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6권, 제6호, pp.293-299, 2015. 

  29. I. E. Allen and J. Seaman, Grade change: Tracking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and Quahog Research Group, 2014. 

  30. I. E. Allen and J. Seaman, Grade level: Tracking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Babson Park, MA: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2015. 

  31. D. Jansen and M. Goes-Daniels, Comparing Institutional MOOC strategies, Status report based on a mapping survey conducted in October-December 2015, EADTU HOME project, 2016. 

  32. 이광휘, 국내 MOOC활성화를 위한 교수자들의 인식 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33. 나일주, 한안나, "학습자, 교수자, 운영자의 e-learning 인식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8권, 제2호, pp.115-134, 2002. 

  34. 민혜리, "교수개발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교수들의 인식 및 요구조사: S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pp.195-219, 2012. 

  35. 이혜정, 이성혜,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블렌디드 이러닝 활성화 방안: 교수들의 인식 및 요구 조사 분석으로부터,"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3권, 제4호, pp.77-102, 2007. 

  36. G. Fisher, "beyond hype and underestimation: identifying research challenges for the future of MOOCs?," Distance Education, Vol.35, No.2, pp.149-158, 2014. 

  37. F. M. Holland and D. Tirthali, "Why do Institutions offer MOOCs?," Online Learning, Vol.18, No.3,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