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성초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효능을 가진 활성물질의 확인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Compound Derived from Methanolic Extract of Houttuynia Cordat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7 no.7 = no.207, 2017년, pp.796 - 804  

김혜지 (동의대학교 화학과) ,  황희성 (동의대학교 화학과) ,  박수민 (동의대학교 화학과) ,  강성욱 (동의대학교 화학과) ,  김혜정 (동의대학교 화학과) ,  홍수경 (동의대학교 화학생물학과) ,  김문무 (동의대학교 응용화학과) ,  오영희 (동의대학교 응용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어성초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능이 가장 좋은 fraction을 찾고,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는 성분을 분석하였다. 메탄올 추출에 의한 유기 용매 별 분획에서 항산화 효과가 가장 좋은 ethyl acetate 분획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12가지의 fraction 중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인 Fr. 10을 이용하여 DPPH 라디칼의 소거활성, 환원력, 지질과산화, 세포독성, DNA 산화 및 DCFH-DA를 이용한 세포내 과산화수소 제거효과를 조사하였다.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TBARS, cell viability, DNA oxidation and DCF fluorescence 12가지의 fraction들 중 항산화 효능이 가장 좋은 Fr. 10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 결과로 $64{\mu}g/ml$ 농도에서 양성대조군에 근접하는 60%의 억제능을 보였다. Reducing power 결과로 $32{\mu}g/ml$의 농도에서 140%로 양성대조군과 비슷한 결과 값을 보였다. TBARS 결과로 $2{\mu}g/ml$에서 양성대조군과 같은 값의 활성산소 억제능이 나타난다. 또한 cell viability 결과로 $32{\mu}g/ml$ 이상의 농도에서 세포 독성에 의해 생존율이 감소하였고, DCF fluorescence 결과로 농도의존적으로 $H_2O_2$에 의한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NA oxidation 실험결과 $1{\mu}g/ml$ 이상의 농도에서 DNA의 손상을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IR 및 LC-MS를 이용하여 Fr. 10의 유효성분을 조사한 결과 rutin (분자량, 610)으로 확인 되었다. 결론적으로 어성초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Fr. 10은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효능이 우수하게 나타났고, 어성초는 화장품 및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oxidant effect of methanolic extract of Houttuynia cordata (HCME) and to identify a compound having antioxidant effect.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HCME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effect in organic solvent fractions. The fraction was then separ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성초를 메탄올 추출하여 Fr. 10의 ROS에 대한 억제효과와 이러한 효과를 일으키는 생리활성물질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HCME에 대한 각각의 유기 용매 별 분획물들의 항산화력을 비교한 결과로 ethyl acetate 분획물과 butanol 분획물의 결과 값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 Fr. 10이 H₂O₂를 얼마나 소거하는지를 확인해 보았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eactive oxygen species의 과잉생산은 무엇을 변형시키는가? 인체는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를 정상적인 세포기능의 일부로서 생성한다[12]. 그러나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ROS의 과잉생산은 산화적 손상을 유발시켜 모든 세포 성분의 구조를 변형시킨다. 이러한 ROS는 세포의 노화와 퇴행을 초래하여 각종 질병의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다[19, 35, 41].
활성산소는 인체가 어떻게 생성하는가? 인체는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를 정상적인 세포기능의 일부로서 생성한다[12]. 그러나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ROS의 과잉생산은 산화적 손상을 유발시켜 모든 세포 성분의 구조를 변형시킨다.
ROS를 소거하는 대표적인 항산화제는 무엇인가? 각종 질병들의 원인이 될 수 있는 ROS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 항산화제 등과 같은 약재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3, 22, 33]. 산화적 손상을 억제시키고 ROS를 소거하는 대표적인 항산화제로는 vitamin C (vit C), vitamin E (vit E), β-carotin 그리고 selenium 등이 있다. 그 외에도 합성 항산화제로 butylated hydroxyl anisole (BHA)와 butylated hydroxyl toluene (BHT)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pel, K. and Hirt, H. 2004. Reactive oxygen species: metabolism, oxidative stress, and signal transduction. Annu. Rev. Plant Biol. 55, 373-399. 

  2. Aruoma, O., Halliwell, B., Aeschbach, R. and Loligers, J. 1992. Antioxidant and pro-oxidant properties of active rosemary constituents: carnosol and carnosic acid. Xenobiotica 22, 257-268. 

  3. Bull, C., Niederhoffer, E. C., Yoshida, T. and Fee, J. A. 1991. Kinetic studies of superoxide dismutases: properties of the manganese-containing protein from Thermus thermophilus. J. Am. Chem. Soc. 113, 4069-4076. 

  4. Chang, J. S., Chiang, L. C., Chen, C. C., Liu, L. T., Wang, K. C. and Lin, C. C. 2001. Antileukemic activity of Bidens pilosa L. var. minor (Blume) Sherff and Houttuynia cordata Thunb. Am. J. Chin. Med. 29, 303-312. 

  5. Chen, W. T., Yang, C. L. and Yin, M. C. 2014. Protective effects from Houttuynia cordata aqueous extract against acetaminophen-induced liver injury. Biomedicine 4. 24-28. 

  6. Cho, W. J. 2014 Study on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extract. Hoseo University. 

  7. Chung, C. K., Ham, S. S., Lee, S. Y., Oh, D. H., Choi, S. Y., Kang, I. J. and Nam, S. M. 1999. Effects of Houttyunia cordata ethanol extracts on serum lipids and antioxidant enzymes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 Soc. Food Sci. Nutr. 28, 205-211. 

  8. Cushnie, T. T. and Lamb, A. J.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flavonoids. Int. J. Antimicrob. Agents 26, 343-356. 

  9. Frosch, P. J. and Kligman, A. M. 1979. The soap chamber test: a new method for assessing the irritancy of soaps. J. Am. Acad. Dermatol. 1, 35-41. 

  10. Hah, D. S., Kim, C. H., Ryu, J. D., Kim, E. K. and Kim, J. S. 2007. Evaluation of protective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on $H_2O_2$ -induced oxidative DNA damage using an alkaline comet assay in human HepG2 cells. Toxicol. Res. 23, 25-31. 

  11. Halliwell, B. and Gutteridge, J. M. 1990. The antioxidants of human extracellular fluids. Arch. Biochem. Biophys. 280, 1-8. 

  12. Halliwell, B. and Gutteridge, J. M. 1999 Free radicals in biology and medicine: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3. Hansen, M. B., Nielsen, S. E. and Berg, K. 1989. Re-examination and further development of a precise and rapid dye method for measuring cell growth/cell kill. J. Immunol. Methods 119, 203-210. 

  14. Haumann, F. 1990. Antioxidants: Firms seeking products they can label as 'natural'. International news on fats, oils and related materials (USA). 

  15. Im, J. H., Lee, Y. k. and Huh, K. M. 2008.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EG-PLA (PLGA) micelles for solubilization of pioglitazone. Polym. Kor. 32, 143-149. 

  16. Imai, J., Ide, N., Nagae, S., Moriguchi, T., Matsuura, H. and Itakura, Y. 1994.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aged garlic extract and its constituents. Planta Med. 60, 417-420. 

  17. Jeong, H. R., Kwak, J. H., Kim, J. H., Choi, G. N., Jeong, C. H. and Heo, H. J. 2010.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an extrac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a culinary herb). Kor. J. Food Preserv. 17, 720-726. 

  18. Jeong, K. H. and Kim, Y. J. 2006. Polymeric micelle using poly ((R)-3-hydroxybutyric acid)/poly (ethylene glycol) amphiphilic block copolymer for drug delivery system. Polym. Kor. 30, 512-518. 

  19. Kennedy, C. H., Church, D. F., Winston, G. W. and Pryor, W. A. 1992. tert-Butyl hydroperoxide-induced radical production in rat liver mitochondria. Free Radic. Biol. Med. 12, 381-387. 

  20. Kim, H. S., Kim, M. J., Cheong, C. and Kang, S. A. 2013. Antioxidant properties in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J. Kor. Acad. Industr. Coop. Soc. 14, 5091-5096. 

  21. Kim, S. K., Ryu, S. Y., No, J., Choi, S. U. and Kim, Y. S. 2001. Cytotoxic alkaloids from Houttuynia cordate. Arch. Pharmacal Res. 24, 518-521. 

  22. Kim, Y. and Kim, S. U. 1991. Oligodendroglial cell death induced by oxygen radicals and its protection by catalase. J. Neurosci. Res. 29, 100-106. 

  23. Kim, Y. M., Jeong, H. J., Chung, H. S., Seong, J. H., Kim, H. S., Kim, D. S. and Lee, Y. G. 2016.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J. Life Sci. 26, 468-474. 

  24. Kumar, M., Prasad, S. K., Krishnamurthy, S. and Hemalatha, S. 2014. Antihyperglycemic activity of Houttuynia cordata Thunb.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Adv. Pharmacol. Sci. 2014. 

  25. Kwon, R. H., Na, B. J., Park, S. J., Woo, W. H., Mun, Y. J. and Lee, M. S. 2007. Effec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and herbs mixture extract on the antioxidation in the LPS-induced hepatotoxicity. J. Kor. Orient. Med. 21, 1520-1524. 

  26. Kyrtopoulos, S. 1988. N-nitroso compound formation in human gastric juice. Cancer Surv. 8, 423-442. 

  27. Lee, J., Jeong, S., You, I., Kim, S., Lee, K., Han, D. and Baek, S. 2001.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methanol extrac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against cadmium induced cytotoxicity (V). Kor. J. Pharmacogn. 32, 61-67. 

  28. Lee, Y. J., Shin, D. H., Chang, Y. S. and Shin, J. I. 1993. Antioxidative effect of some edible plant solvent extracts with various synergists. Kor. J. Food Sci. Technol. 25, 683-688. 

  29. Li, G. Z., Chai, O. H., Lee, M. S., Han, E. H., Kim, H. T. and Song, C. H. 2005. Inhibitory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water extracts on anaphylactic reaction and mast cell activation. Biol. Pharm. Bull. 28, 1864-1868. 

  30. Mittler, R. 2002. Oxidative stress, antioxidants and stress tolerance. Trends Plant Sci. 7, 405-410. 

  31. Ng, L. T., Yen, F. L., Liao, C. W. and Lin, C. C. 2007. Protective effect of Houttuynia cordata extract on bleomycin-induced pulmonary fibrosis in rats. Am. J. Chin. Med. 35, 465-475. 

  32.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 J. Ntr. Dia. 44, 307-315. 

  33. Przyklenk, K. and Kloner, R. A. 1986. Superoxide dismutase plus catalase improve contractile function in the canine model of the "stunned myocardium". Circul. Res. 58, 148-156. 

  34. Rice Evans, C., Miller, N. and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 152-159. 

  35. Rosen, D. R., Siddique, T., Patterson, D., Figlewicz, D. A., Sapp, P., Hentati, A., Donaldson, D., Goto, J., O'Regan, J. P. and Deng, H.-X. 1993. Mutations in Cu/Zn superoxide dismutase gene are associated with familial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Nature 362, 59-62. 

  36. Russo, M., Spagnuolo, C., Tedesco, I., Bilotto, S. and Russo, G. L. 2012. The flavonoid quercetin in disease prevention and therapy: facts and fancies. Biochem. Pharmacol. 83, 6-15. 

  37. Salo, T., Makela, M., Kylmaniemi, M., Autio Harmainen, H. and Larjava, H. 1994.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2 and-9 during early human wound healing. Lab. Invest. 70, 176-182. 

  38. Skibola, C. F. and Smith, M. T. 2000. Potential health impacts of excessive flavonoid intake. Free Radic. Biol. Med. 29, 375-383. 

  39. Song, J. H., Kim, M. J., Park, I. H. and Kwon, H. D.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fractional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root. J. Kor. Soc. Food Sci. Nutr. 32, 1053-1058. 

  40. Tang, Y. J., Yang, J. S., Lin, C. F., Shyu, W. C., Tsuzuki, M., Lu, C. C., Chen, Y. F. and Lai, K. C. 2009. Houttuynia cordata Thunb extract induces apoptosis through mitochondrial- dependent pathway in HT-29 human colon adenocarcinoma cells. Oncol. Rep. 22, 1051-1056. 

  41. Warner, B. B. and Wispe, J. R. 1992. Free radical-mediated diseases in pediatrics. Semin. Perinatol. 16, 47-57. 

  42. Yamamoto, Y. and Gaynor, R. B. 2001. Therapeutic potential of inhibition of the $NF-{\kappa}B$ pathway in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and cancer. J. Clin. Invest. 107, 1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