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DHD 아동 어머니의 삶의 질 구조모형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Quality of Lif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3 no.3, 2017년, pp.279 - 291  

박찬경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전미양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건강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characteristics of ADHD children affect social support for mothers, parenting stress,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coping, and quality of life. The conceptual model was based on the Lazarus and Folkman's stress-evaluation-coping theory. Methods: 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결과를 근거로 ADHD 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의 삶의 질 관련 변인들 중에서 Lazarus과 Folkman[12]의 스트레스-평가-대처 이론에서 인지 평가로 제시한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Cohen과 Wills[13]의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수로 대처전략, 스트레스의 적응 결과로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삶의 질과 관련된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Cohen과 Wills[13]의 사회적 지지 개념을 매개변수로 하여 Lazarus와 Folkman[11]의 스트레스-평가-대처 이론을 확장한 이론을 기반으로, 선행 연구와 문헌고찰을 통해 ADHD 아동 어머니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 변인들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통해 모형의 적합도와 연구 가설을 검정하는 구조모형 검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Lazarus와 Folkman[11]의 스트레스-평가-대처이론을 토대로 ADHD 아동 어머니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삶의 질 구조모형을 구축한 후 이를 검증함으로서 ADHD 아동 어머니의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2014년 10월 1일부터 2015년 4월 10일까지 경남, 서울, 부산 지역의 ADHD 아동 보호자 모임, 정신치료기관과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 및 사회재활시설과 G대학교병원에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208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삶의 질 관련 요인들 중에서 스트레스 요인은 자녀의 특성, 인지적 평가요인은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으로 설정하였으며 Cohen과 Wills[13]의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수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직· 간접 효과를 규명하여 ADHD 아동 어머니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아동 어머니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간호 중재를 개발하는데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ADHD 아동 어머니의 삶의 질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 어머니의 삶의 질을 설명하기 위해 Lazarus와 Folkman[12]의 스트레스-평가-대처 이론과 Cohen과 Wills[13]의 사회적 지지를 근거로 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Lazarus와 Folkman[12]의 스트레스-평가-대처 이론에서 스트레스는 ‘개인이 가진 자원을 청구하거나 자신의 요구가 자신이 지닌 자원의 한계를 초과하여 개인의 안녕을 위협한다’라고 평가되는 인간과 환경간의 관계이며, 인지평가가 대처자원과 함께 매개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는 무엇인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학령전기 및 학령기 아동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정신과적 질환이다[1]. 서울시 광역정신보건센터(2005)는 초등학생의 ADHD 유병률을 14.
ADHD 아동은 어떤 특성을 갖는 가? ADHD 아동은 쉽게 흥분하고 좌절하고 감정의 기복이 심하고, 외부자극에 대해 산만하게 반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4]. 또한 ADHD 아동은 이와 같은 문제 행동을 반복하기 때문에 부모-자녀문제, 형제간의 문제와 부부갈등 등 가족구성원 전체에게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5].
가족구성원 중에서 어머니는 ADHD 아동으로부터 어떤 경험을 하는 가? 또한 ADHD 아동은 이와 같은 문제 행동을 반복하기 때문에 부모-자녀문제, 형제간의 문제와 부부갈등 등 가족구성원 전체에게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5]. 특히 ADHD 아동의 어머니는 일차적인 양육 책임자로서, 아동의 예측불허적인 행동 때문에 극도의 긴장감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며, 정상 자녀의 어머니보다 양육 스트레스가 높고, 양육효능감은 낮으며 부정적인 양육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5th ed. Gwon JS, translator. Seoul: Hakjisa; 2015. p. 61-62. 

  2. Seoul Youth Regional Mental Health Center. Prevalence of mental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eoul. Epidemiological Survey Report. Seoul: Seoul Youth Regional Mental Health Center; 2005. 

  3.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8 in 10 ADHD children and adolescents are men [Internet].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2 [cited 2012 May 10]. Available from: https://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1000000&cmsurl/cms/inform/02/1211821_27116.html&subject%EC%86%8C%EC%95%84%C2%B7%EC%B2%AD%EC%86%8C%EB%85%84%20%EC%A3%BC%EC%9D%98%EB%A0%A5%EA%B2%B0%ED%95%8D%EC%9E%A5%EC%95%A0,%2010%EB%AA%85%EC%A4%91%208%EB%AA%85%20%27%27%E7%94%B7%27%27 

  4. Sin HG, Kim J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1st ed. Seoul: Hakjisa; 2016. p 18-23. 

  5. Lee SH, Yoon HY. The effects of family play therapy on family functions with ADHD tendentious child and the ADHD tendencies of children.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abilities. 2007;23(3):25-50. 

  6. Oh WO. Factors influencing family quality of life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8;14(4):394-404. 

  7. Seo MJ, Chang EJ, Jung CH, Chei SY. The study of the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parenting efficacy on the mother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03;8(1):69-81. 

  8. Kim HS. Rearing experience of mothers having children with ADHD based grounded theory. Journal of Family and Culture. 2007;19(4):193-222. 

  9. Koo CS, Park JH. A study on mothers' coping experience of ADHD children. Korea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elfare. 2012;6(1):5-39. 

  10. Whalen CK, Henker B, Jamner LD, Ishikawa SS, Floro JN, Swindle R, et al. Toward mapping daily challenges of living with ADHD: Maternal and child perspectives using electronic diarie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006;34(1):111-126. https://doi.org/10.1007/s10802-005-9008-5 

  11. Kendall J, Leo MC, Perrin N, Hatton D. Modeling ADHD child and family relationship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05; 27(4):500-518. http://journals.sagepub.com/doi/pdf/10.1177/0193945905275513 

  12. Lazarus RS,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1st ed.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4. p. 22-52. 

  13. Cohen S, Wills TA.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1985;98(2):310-357.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14. Kim MA, Seo JY, Park WJ. Relationship of mothers' recognition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parenting stress and family support in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1;17(2):127-135. https://dx.doi.org/10.4094/jkachn.2011.17.2.127 

  15. Lee JH.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behavior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3. p. 1-106. 

  16. Abidin RR. Parenting stress index (PSI) manual. 3rd ed. Odessa;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5. p. 29. 

  17. Kim HM, Do HS. Maternal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4;25(6):279-298. 

  18. Park JW.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1985. p. 1-127. 

  19. Choi HS, Chung OB. The development of an inventory for measuring the parenting self - efficacy of Korean moth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01;22(3):1-15. 

  20. Park JS, Shin HJ, Park AS. Relationships among mother's thinking styles, stress coping styles, and child-rearing stres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08;29(3):55-72. 

  21. No YJ. Analytical study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middle-aged in Seoul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8. p. 1-86. 

  22. Choi MA, Lee HS, Kim DH, Park MH, Yoon SY, Cho YH, et al. The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mothers of hospitalized chronic pediatric patient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0;6(2):249-261. 

  23. Kim NE. The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among mothers with epileptic child.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2011;27:5-34. 

  24. Lee SJ, O 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ng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others of the child with the disability: Testing a mediating model of active cop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6;7(1):27-45. 

  25. Kim EK, Koh CK. The relation of parenting stress, anger and somatization symptom of mother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6;24(3):151-160. https://doi.org/10.17547/kjsr.2016.24.3.151 

  26. Kim SY.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ADHD symptoms, parenting stress and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1;11(11):221-230.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221 

  27. McKee TE, Harvey E, Danforth JS, Ulaszek WR, Friedman JL.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coping styles and parent-child interactions before and after treatment for children with ADHD and oppositional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2004;33(1):158-168.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3301_15 

  28. Teti DM, Gelfand DM.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1991;62:918-929. https://doi.org/10.2307/11311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