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위험신생아의 생후 초기 구강 내 균집락 형성과 당농도 및 영향요인
Flora Colonization and Oral Glucose Levels During the Early Postnatal Period in High-Risk Newborn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2 no.4, 2016년, pp.379 - 389  

안영미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손민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전용훈 (인하대병원 소아청소년과) ,  김남희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 longitudinal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flora colonization and oral glucose high-risk newborns during the first 7 days after birth. Methods: Oral secretions of hospitalized newborns were obtained for microbial cultures and glucose test at days 1-7 after birth. Results: Among the to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고위험신생아의 임상 특성에 따른 구강당과 균 집락에 대한 탐색 결과는 추후 표준화된 구강간호의 개발과 적용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잉여 검체인 구강분비물을 통해 간접적으로 혈당을 추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 물론 현재 구강 당의 정상값이나 참고값에 대한 표준지침은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이들의 생후 초기 구강당 변이값과 임상적 의미를 제시함으로써 참고값과 관련 지식체의 지평을 넓힘과 동시에 특히 저혈당 사정에 유용한 가치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NICU 입원 고위험신생아를 대상으로 구강 내 균집락과 구강당이 생후 초기 어떤 적응과정을 보이며, 다양한 임상적 상태와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 가장 다빈도로 관찰된 균은 Streptococcus, MRSA, Staphylococcus, CNS였는데 특히 광선치료와 복위 체위는 구강 균집락 위험을 증가시키는 반면 항생제나 비경구영양공급은 균검출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고위험신생아를 대상으로 출생 후 일주일 동안 구강분비물의 균집락 형성과 당농도를 측정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임상 특성에 따른 변이를 분석한 전향적 종단적 탐색연구이다.

가설 설정

  • 둘째, 고위험신생아에 있어 구강당은 혈당보다 낮거나 유사한 값으로 생각된다. 구강분비물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충치 발현과 연관되어 타액의 당단백에 대한 것이 주를 이루며[21,22] 신생아나 아동 및 성인에 있어 구강분비물 자체의 측정 자료는 찾아볼 수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이란 무엇인가? 구강은 점막, 구개, 혀, 치아, 임파조직, 침샘조직, 입술 등으로 둘러싸인 공간이며 외부 환경과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외부자극, 영양소, 공기 등이 통과하거나 흡수되는 곳이다. 구강은 항상 점액, 침 등의 분비물이 고여 있고, 위장이나 호흡기로부터 역류된 내용물이나 외부에서 침입한 이물질 또는 균이 있을 수 있다[3,4].
재태기간 36주 이하 미숙아의 출생률은 어떠한가? 최근 생식건강 학문 및 임상실무 발달과 관련하여 고위험신생아의 출생률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재태기간 36주 이하 미숙아의 출생률은 1995년 2.5%, 2015년 6.9%로 증가하였고, 10년 사이에 약 2.5배 이상의 증가를 보이고 있다[1]. 이들 대부분은 심폐능력과 위장관계 미성숙으로 인해 신생아집중치료실(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에 입원하여 호흡관리나 영양관리를 위해 특별한 처치를 받게 된다.
구강 내 균집락과 구강당이 생후 초기 어떤 적응과정을 보이며, 다양한 임상적 상태와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나는지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NICU 입원 고위험신생아를 대상으로 구강 내 균집락과 구강당이 생후 초기 어떤 적응과정을 보이며, 다양한 임상적 상태와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 가장 다빈도로 관찰된 균은 Streptococcus, MRSA, Staphylococcus, CNS였는데 특히 광선치료와 복위 체위는 구강 균집락 위험을 증가시키는 반면 항생제나 비경구영양공급은 균검출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당은 만삭아, 저혈당이 아닌 경우, 임신성 당뇨가 없는 산모의 경우, 역류가 없는 경우, 경구삽관이 없고, 경구영양공급을 받는 등의 일반적 상황에서는 혈당보다 낮거나 유사한 값으로 나타났다. 고위험신생아의 구강은 호흡과 영양을 위해 외부와 상호작용하는 기관이므로 감염관리 측면에서 정교한 구강간호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고위험신생아의 임상 특성에 따른 구강당과 균 집락에 대한 탐색 결과는 추후 표준화된 구강간호의 개발과 적용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tatistics Korea. Birthrate per gestation period of Korea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6 June 23].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81A15 &conn_pathI3. 

  2. Gardner SL, Carter B, Enzman-Hines MI, Hernandez JA. Merenstein & Gardner's handbook of neonatal intensive care. 8th ed. St. Louis, Missouri: Mosby; 2015. p. 337-359. 

  3. Rosenblatt R, Steinberg D, Mankuta D, Zini A. Acquired oral microflora of newborns during the first 48 hours of life. Journal of Clinical Pediatric Dentistry. 2015;39(5):442-446. http://dx.doi.org/10.17796/1053- 4628-39.5.442 

  4. Pearce C, Bowden GH, Evans M, Fitzsimmons SP, Johnson J, Sheridan MJ, et al. Identification of pioneer viridans Streptococci in the oral cavity of human neonates. Journal of Medical Microbiology. 1995; 42(1):67-72. http://dx.doi.org/10.1099/00222615-42-1-67 

  5. Hospital Nurses Association. Oral care: Evidence-based clinical nursing practice guideline [Internet]. Seoul: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4 [cited 2016 March 2]. Available from: http://www.khna.or.kr/web/information/data/khna_guide_ebp04.pdf. 

  6. Park JH, Sohng KY. Comparison of oral care interventions on the oral status of intubated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0;17(3):324-333. 

  7. Koo MJ, Kim KN, Hwang SK. Effects of oral care with 0.12% chlorhexidine and saline solution on oral status, incidence of oral pathogens and clinical pulmonary infection score in children with cardiac surge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1;18(3):356-364. 

  8. Jacomo AD, Carmona F, Matsuno AK, Manso PH, Carlotti AP. Effect of oral hygiene with 0.12% chlorhexidine gluconate on the incidence of nosocomial pneumonia in children undergoing cardiac surgery. Infection Control & Hospital Epidemiology. 2011;32(6):591-596. http:// dx.doi.org/10.1086/660018 

  9. Ahn Y, Sohn M, Jun Y, Lee E, Lee S. Two methods of cord care in high-risk newborns: Their effects on hydration, temperature, pH, and floras of the cord area. Journal of Child Health Care. 2015;19(1):118-129. http://dx.doi.org/10.1177/1367493513503580 

  10. Sung MJ, Chang CH, Yoon TK, Park SE. Clinical aspects of an outbreak of Serratia marcescens infections in neonates.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6;49(5):500-506. http://dx.doi.org/10.3345/kjp.2006.49.5.500 

  11. Giuffre M, Amodio E, Bonura C, Geraci DM, Saporito L, Ortolano R, et al.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nasal colonization in a level III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ncidence and risk factor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15;43(5):476-481. http://dx.doi.org/10.1016/j.ajic.2014.12.027 

  12. Hurrell E, Kucerova E, Loughlin M, Caubilla-Barron J, Hilton A, Armstrong R, et al. Neonatal enteral feeding tubes as loci for colonisation by members of the Enterobacteriaceae. BMC Infectious Diseases. 2009;9(1):146. http://dx.doi.org/10.1186/1471-2334-9-146 

  13. Rosenthal VD, Rodriguez-Calderon ME, Rodriguez-Ferrer M, Singhal T, Pawar M, Sobreyra-Oropeza M, et al. Findings of the International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Consortium (INICC), part II: Impact of a multidimensional strategy to reduce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in 10 developing countries. Infection Control & Hospital Epidemiology. 2012;33(7):704-710. http://dx.doi.org/10.1086/666342 

  14. Oh W, Karecki H. Phototherapy and insensible water loss in the newborn infant. American Journal of Diseases of Children. 1972;124(2):230-232. 

  15. Ullman A, Long D, Lewis P. The oral health of critically ill children: An observational cohort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1;20(21-22):3070-3080.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1.03797.x 

  16. Hegde A, Shenoy R, D’MeIlo P, Smitha A, Tintu A, Manjrekar P. Alternative markers of glycemic status in diabetes mellitus. Biomedical Research. 2010;21(3):252-256. 

  17. Manzoni P, Farina D, Galletto P, Leonessa M, Priolo C, Arisio R, et al. Type and number of sites colonized by fungi and risk of progression to invasive fungal infection in preterm neonat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Perinatal Medicine. 2007;35(3):220-226. 

  18. Han MK. Decrease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by continuously enhanced infection control programs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of Ulsan; 2008. p. 1-79. 

  19. Cortese F, Scicchitano P, Gesualdo M, Filaninno A, De Giorgi E, Schettini F, et al. Early and late infections in newborns: Where do we stand? A review. Pediatrics & Neonatology. 2015;S1875-9572(15): 00175-00178. http://dx.doi.org/10.1016/j.pedneo.2015.09.007 

  20. Muley VA, Ghadage DP, Bhore AV. Bacteriological profile of neonatal septicemia in a tertiary care hospital from western India. Journal of Global Infectious Diseases. 2015;7(2):75-77. http://dx.doi.org/10.4103/0974-777X.154444 

  21. Weber-Gasparoni K, Goebel BM, Drake DR, Kramer KW, Warren JJ, Reeve J.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mutans Streptococci among young WIC-enrolled children. Journal of Public Health Dentistry. 2012;72(4): 269-278. http://dx.doi.org/10.1111/j.1752-7325.2012.00335.x 

  22. Sampaio N, Mello S, Alves C. Dental caries-associated risk factors and type 1 diabetes mellitus. Pediatric Endocrinology, Diabetes, and Metabolism. 2011;17(3):152-157. 

  23. Mak W, Cheng TS, Chan KH, Cheung RT, Ho SL. Cerebrospinal fluid to serum glucose ratio in non-hypoglycorrhachic neurological conditions. Hong Kong Medical Journal. 2005;11(6):457-462. 

  24. Akpata ES, Al-Attar A, Sharma PN. Factors associated with severe caries among adults in Kuwait. Medical Principles and Practice. 2009; 18(2):93-99. http://dx.doi.org/10.1159/000189805 

  25. Voelker MA, Simmer-Beck M, Cole M, Keeven E, Tira D. Preliminary findings on the correlation of saliva pH, buffering capacity, flow, consistency and Streptococcus mutans in relation to cigarette smoking. Journal of Dental Hygiene. 2013;87(1):30-37. 

  26. Wu PY, Moosa A. Effect of phototherapy on nitrogen and electrolyte levels and water balance in jaundiced preterm infants. Pediatrics. 1978;61(2):193-198. 

  27. Thaden JT, Ericson JE, Cross H, Bergin SP, Messina JA, Fowler VG Jr, et al. Survival benefit of empirical therapy for Staphylococcus aureus bloodstream infections in infants. The Pediatric Infectious Disease Journal. 2015;34(11):1175-1179. http://dx.doi.org/10.1097/INF.0000000000000850 

  28. Hawdon JM. Hypoglycaemia in newborn infants: Defining the features associated with adverse outcomes - a challenging remit. Biology of the Neonate. 2006;90(2):87-88. http://dx.doi.org/10.1159/0000919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