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우울증에 대한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의 치료기제와 임상적 적용 효과
Therapeutic Mechanism of MBCT and Clinical Application of MBCT(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on Chronic Depress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7, 2017년, pp.237 - 248  

최연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변상해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Mindfulness based cognitive therapy: MBCT)는 최근 들어 우울증의 치료와 재발방지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이 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몇 년 전부터 MBCT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만성 우울증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집단치료 프로그램의 적용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MBCT의 치료기제를 살펴본 후 만성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MBCT 프로그램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연구에는 우울증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8명(40~55세)의 환자들이 참여하였으며 MBCT 프로그램 전 후 그리고 6개월 후의 마음챙김 수준, 탈중심화, 반추성향, 그리고 우울감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마음챙김(평균차이=1.37, p<0.05)과 탈중심화(평균차이=1.00, p<0.05)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반면에 반추성향(평균차이=-0.67, p<0.05)과 우울증상(평균차이=-9.5, p<0.05)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가 6개월 후에도 유지되었다. 본 연구결과로 보아 MBCT는 우울증의 재발을 막기 위한 유지치료로서 임상장면에서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 on chronic depressed patients. MBCT has shown great effects for curing depression and proving it can also prevent the relapse of depression. In recent years in Korea, there has been ongoing MBCT rese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서는 MBCT실시 전 후에 환자들의 마음챙김의 수준, 탈중심화(decentering), 반추성향(rumina tion), 그리고 우울감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 였다. 그리고 MBCT프로그램 실시 후 6개월 후에도 그 효과가 지속되는지를 연구하였다.
  • 본 연구는 임상장면에서 우울증 환자들에게 직접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치료효과를 검증 하였고, 약물이나 치료에 계속 의존하지 않고도 우울증의 재발을 막기 위하여 환자 스스로가 마음챙김 훈련을 하면서 자신을 스스로 돌볼(self-care)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MBCT프로그램이 우울증에서 어느 정도 회복된 환자들의 유지치료(Maintenance therapy)에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MBCT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우울증의 재발을 막고 치료효과를 내는지 그 치료기제를 살펴보고 우울증을 겪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MBCT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서는 MBCT실시 전 후에 환자들의 마음챙김의 수준, 탈중심화(decentering), 반추성향(rumina tion), 그리고 우울감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 였다.
  • 연구의 목적은 정신건강의학과 내원 환자들을 대상으로 우울증 재발을 막기 위한 MBCT 치료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가 미국에서 MBCT 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의 환자들에게 MBCT를 실시한 후 그 치료효과를 검증하고 앞으로 한국의 임상장면에서 적극 활용할 기초 연구로 삼고자 한다.
  • 사전·전과 사전 검사의 의미는 본 연구의 치료집단이 MBCT 프로그램의 처치 효과 이외에 다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 연구의 목적은 정신건강의학과 내원 환자들을 대상으로 우울증 재발을 막기 위한 MBCT 치료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가 미국에서 MBCT 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의 환자들에게 MBCT를 실시한 후 그 치료효과를 검증하고 앞으로 한국의 임상장면에서 적극 활용할 기초 연구로 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리치료에서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마음챙김이란 지금 현재의 순간에 의도를 가지고 비판단적으로 자신의 모든 경험에 온전히 주의를 기울이는 것으로 수용과 자기-돌봄(self-care)의 힘을 기르는데 그 목표가 있다. MBCT에서는 마음챙김의 기본 개념인 지금현재, 비판단, 주의자각, 수용 외에도 탈중심화 (decentering)가 우울증으로 인한 반추와 우울증상을 낮추어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11〕〔12〕.
심리치료에서 마음챙김의 목표는 무엇인가? 마음챙김이란 지금 현재의 순간에 의도를 가지고 비판단적으로 자신의 모든 경험에 온전히 주의를 기울이는 것으로 수용과 자기-돌봄(self-care)의 힘을 기르는데 그 목표가 있다. MBCT에서는 마음챙김의 기본 개념인 지금현재, 비판단, 주의자각, 수용 외에도 탈중심화 (decentering)가 우울증으로 인한 반추와 우울증상을 낮추어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11〕〔12〕.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의 핵심은 무엇인가?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는 마음챙김과 인지행동치료가 결합된 집단 심리치료 프로그램으로 최근에 우울증의 개선과 재발방지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MBCT 의 핵심은 환자들이 여러 가지 직접적인 연습과 훈련을 통하여 자신의 모든 경험에 대한 마음챙김의 태도를 갖게 하여 우울증상을 낮추고 약을 복용하지 않고도 개선된 효과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우울증은 약물을 중단 하면 재발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임산부와 같이 약물을 사용할 수 없거나 약물에 강한 거부감을 느끼는 환자도 많기 때문에 비 약물적인 치료가 필수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R. C. Kessler, S. Aguilar-Gaxiola, J. Alonso, S. Chatterji, S. Lee, J. Ormel, T. B. Ustun & P. S. Wang, "The global burden of mental disorders: An update from the WHO World Mental Health (WMH) Surveys," Epidemiologia e psichiatria sociale, vol. 18, pp. 23-33, 2009. DOI: https://doi.org/10.1017/S1121189X00001421 

  2.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National Health Statistics, 2014. 

  3. Maeil Business Newspaper. A country that leaves depression alone, 2015. 

  4. L. V. Kessing, M. G. Hansen, L. V. Kessing, G. M. Hansen, G. Andersen, & J. Angst, "The predictive effect of episodes on the risk of recurrence in depressive and bipolar disorders-A life -long perspectiv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vol. 109, pp. 339-344, 2004. DOI: https://doi.org/10.1046/j.1600-0447.2003.00266.x 

  5. T. Vos, J. Corry, M. M. Haby, R. Carter, G. Andrews, "Cost- effectivenes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nd drug interventions for major depression,"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vol. 39, no .8, pp. 683-692. 2005. 

  6. Z. V. Segal, J. M. G. Williams, & J. D. Teasdal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A new approach to preventing relapse, New York: Guilford Press, 2006. 

  7. P. Gilbert, Compassion Focused Therapy: Distinctive Features, London ; New York : Routledge, 2010. 

  8. W. Kuyken, S. Byford, R. S. Taylor, E. Watkins, E. Holden, K. White, J. D. Teasdal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to prevent relapse in recurrent depress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 76, no. 6, pp. 966-978, 2008. DOI: https://doi.org/10.1037/a0013786 

  9. S. H. Ma, & J. D. Teasdale, "Mindfulness -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Replication and exploration of differential relapse prevention effec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 72, no.1, pp.31-40, 2004. DOI: https://doi.org/10.1037/0022-006X.72.1.31 

  10. J. D. Teasdale, Z. V. Segal, J. M. G. Williams, V. A. Ridgeway, J. M. Soulsby, M. A. Lau, "Prevention of relapse/ recurrence in major depression by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 68. no. 4, pp. 615-623, 2000. DOI: https://doi.org/10.1037/0022-006X.68.4.615 

  11. J. Kabat-Zinn, Wherever you go, there you are: mindfulness meditation in everyday life, NewYork : Hyperion, 2005. 

  12. Z. V. Segal, J. M. G. Williams, & J. D. Teasdal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second edition), New York, NY: Guilford Press, 2012. 

  13. H. Y. Lee, H. S. Jeon,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Mindfulnes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of the Marital Middle-aged Wome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1, no. 7, pp. 275-284, 2011. DOI: https://doi.org/10.5392/JKCA.2011.11.7.275 

  14. D. G. Heo, "Effect of Meditation Program on Stress Response Reduction of the Elderl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9, no. 3, pp. 232-240, 2009. DOI: https://doi.org/10.5392/JKCA.2009.9.3.232 

  15. M. H. Kim, "Comparison of the Effect of Maum Meditation Program on the Depression, Anxiety and Self-esteem of the Children and the Juvenil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2, no. 4, pp. 338-348, 2012. DOI: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338 

  16. K. Witkiewitz, G. A. Marlatt, D. Walker, "Mindfulness-based relapse prevention for alcohol and substance use disorders," Journal of Cognitive Psychotherapy, vol. 19, no. 3, pp.2 11-228, 2005. 

  17. A. Chiesa, A. Serretti, "Mindfulness - based interventions for chronic pain: A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vol. 17, no. 1, pp. 83-93, 2011. DOI: https://doi.org/10.1089/acm.2009.0546 

  18. B. K. Holzel, J. Carmody, K. C. Evans, E. A. Hoge, J. A. Dusek, L. Morgan, S. W. Lazar, "Stress reduction correlates with structural changes in the amygdala," 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Neuroscience, vol.5, no. 1, pp. 11-17, 2010. DOI: https://doi.org/10.1093/scan/nsp034 

  19. S. W. Lazar, C. E. Kerr, R. H. Wasserman, J. R. Gray, D. N. Greve, M. T. Treadway, H. Benson, "Meditation experience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cortical thickness," Neuro Report, vol. 16, no. 17, pp. 1893-1897, 2005. DOI: https://doi.org/10.1097/01.wnr.0000186598.66243.19 

  20. J. M. G. Williams & W. Kuyken,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a promising new approach to preventing depressive relapse,"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 200, no. 5, pp. 359-360, 2012. DOI: https://doi.org/10.1192/bjp.bp.111.104745 

  21. R. Kessel, J. Gecht, T. Forkmann, B. Drueke, S. Gauggel & V. Mainz, "Exploring the relationship of decentering to health related concepts and cognitive and meta-cognitive processes in a student sample", BMC psychology, vol. 4, pp. 11, 2016. DOI: https://doi.org/10.1186/s40359-016-0115-6 

  22. S. R. Bishop, M. Lau, S. Shapiro, L. Carlson, N. D. Anderson, J. Carmody, G. Devins, "Mindfulness: A proposed operational definition,"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vol. 11, no. 3, pp. 230-241, 2004. DOI: https://doi.org/10.1016/j.brat.2012.08.001 

  23. J. C. Ong, C. S. Ulmer, and R. Manber, "Improving sleep with mindfulness and acceptance: a metacognitive model of insomnia," Behavioral Research Therapy, vol. 50, no. 11, pp. 651-660, 2012. 

  24. M. Allen, A. Bromley, W. Kuyken, S. J. Sonnenberg, "Participants' experience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It changed me in just about every way possible," Behavioral and Cognitive Psychotherapy, vol. 37, pp. 413-430, 2009. DOI: https://doi.org/10.1017/S135246580999004X 

  25. D. K. Thomsen, "The association between rumination and negative affect: A review," Cognition and Emotion, vol. 20, pp. 1216-1235, 2006. DOI: https://doi.org/10.1080/02699930500473533 

  26. J. D. Teasdale, J. M. G. Williams, Z. V. Segal, The mindful way workbook: An 8-week program to free yourself from depression and emotional distress, New York, NY: Guildford Press, 2014. 

  27. S. L. Shapiro, L. E. Carlson, J. A. Astin, B. Freedman, "Mechanisms of mindfulness,"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62, no. 3, pp. 373-386, 2006. 

  28. W. Kuyken, E. Watkins, E. Holden, K. White, R. S. Taylor, A. Evans, S. Radford, J. D. Teasdale, T. Dalgleish, " How does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work?"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vol. 48, pp. 1105-1112, 2010. 

  29. R. A. Baer, G. T. Smith, J. Hopkins, J. Krietemeyer, L. Toney, "Using self-report assessment methods to explore facets of mindfulness," Assesment, vol. 13, pp. 27-45, 2006. DOI: https://doi.org/10.1177/1073191105283504 

  30. D. R. Won, K. H. Kim, "Validation of the Korean of Five-Factor Mindfulness Questionnar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11, no. 4, pp. 871-886, 2006. 

  31. D. M. Fresco, M. T. Moore, M. van Dulmen, Z. V. Segal, J. D. Teasdale, H. Ma & J. M. G. Williams, "Initi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Experience Questionnaire :A self-report survey of decentering," Behavior Therapy, vol. 38, pp. 234-246, 2007. DOI: https://doi.org/10.1016/j.beth.2006.08.003 

  32. B. N. Kim, Y. J. Lim, S. M. Kwon, "The role of Decente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umin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9, no. 2, pp. 573-596, 2010. DOI: https://doi.org/10.15842/kjcp.2010.29.2.014 

  33. S. Nolen-Hoeksema, E. Stice, E. Wade & C. Bohon,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rumination and bulimic, substance abuse, and depressive symptoms in female adolescen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 116, pp. 198-207, 2007. DOI: https://doi.org/10.1037/0021-843X.116.1.198 

  34. A. T. Beck, R. A. Steer & G. K. Brown, Beck depression inventory-II, San Antonio, 1996. 

  35. M. S. Kim, I. S. Lee, C. S. Lee, "The Validation Study I of Korea BDI-II :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Sampl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6, no. 4, pp. 997-1014, 2007. DOI: https://doi.org/10.15842/kjcp.2007.26.4.011 

  36. P. J. Bieling, L. L. Hawley,R. T. Bloch, K. M. Corcoran, R. D. Levitan, L. T. Young, G. M. Macqueen, and Z. V. Segal, Zindel, "Treatment Specific Changes in Decentering Following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versus Antidepressant Medication or Placebo for Prevention of Depressive Relaps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 80, no. 3, pp. 365-372, 2012. DOI: https://doi.org/10.1037/a0027483 

  37. M. K. Van Vugt, P. Hitchcock, B. Shahar, W. Britton, "The effects of mindfulness -based cognitive therapy on affective memory recall dynamics in depression: A mechanistic model of rumination",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vol. 19, no. 6, pp. 257, 2012. 

  38. M. A. Jeon, J. M. Kim,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Emotion Regulation in a Patient Group",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30 no. 1, pp. 113-135, 2011. DOI: https://doi.org/10.15842/kjcp.2011.30.1.007 

  39. M. B. Mackenzie, N. L. Kocovski,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trends and developments", Psychology Research and Behavior Management, vol. 9, pp. 125-132,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