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프로젝트 현장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ite Organization's Communication on Performance of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7 no.4, 2017년, pp.361 - 367  

안성훈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aegu University) ,  이웅균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초록

건축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현장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수준을 높여서 조직 구성원의 협업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건축프로젝트 현장 조직을 대상으로 현장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프로젝트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커뮤니케이션 품질은 프로젝트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정보공유는 프로젝트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축프로젝트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현장 조직에서 정보공유를 일정수준 이상 달성해야 하고, 커뮤니케이션 품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본 연구 결과는 건축프로젝트 현장 조직의 수행관리 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uccess of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is dependent on the cooperative ability of site organization members, which related with a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leve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influence of site organization's communication on the performance of bui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건축프로젝트 현장 조직을 대상으로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프로젝트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건축프로젝트 성과 향상을 위한 현장 조직 수행관리 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건축프로젝트 현장의 조직 커뮤니케이션은 현장마다 다를수 있으며 프로젝트 성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현장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건축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건축프로젝트 현장 조직에서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프로젝트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무엇인지, 건축프로젝트 현장 조직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특히 프로젝트 성과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기존 문헌을 통해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 프로젝트 성과와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관련성에 대해서 이해하고, 필요한 설문 문항을 작성하기 위해서 기존 연구를 고찰하였다. 또한 프로젝트 성과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워서 정성적인 방법과 정량적인 방법을 혼합하여 파악하는 방법을 고찰하여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성과가 좋았던 건축프로젝트와 성과가 좋지 않았던 건축프로젝트를 구분하여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 둘 이상의 독립변수가 하나의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할 때 사용하는 통계값 중 하나가 다중회귀 분석의 표준화계수 베타값이기 때문이다[19]. 일반적으로 다중회귀분석은 예측을 위한 다중회귀모델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변수들 간의 영향력을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뮤니케이션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은 사람들이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의견, 감정, 정보를 서로 전달하고 피드백 받으면서 상호작용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14]. 커뮤니케이션은 전달자(송신자)와 수용자(수신자)가 있어야 하는 상호 교환적인 과정이며, 정보․의미⋅감정을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의식적 과정이며, 커뮤니케이션 당사사간의 관계와 교환되는 메시지의 내용으로 구분할 수 있는 다차원적인 과정이며, 한 번 발생한 커뮤니케이션은 다시 되돌릴 수 없는 비가역적인 과정이라는 속성이 있다[15].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직내 기능은 무엇인가? 조직 커뮤니케이션은 조직 내에서 정보소통, 지시⋅통제, 동기부여, 감정표출 등과 같은 기능을 담당한다[16]. 조직은 공동 목표 달성을 위해 구성원 간의 상호 유기적인 연결이 중요한데, 조직의 구성원을 상호 연결시켜주는 수단이 커뮤니케이션이다.
조직의 협업 능력이 대규모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과 관련이 크게 나타나는 이유는? 의사소통, 협력, 정보공유 등 여러 가지 요소가 조직의 현업 능력과 관련되어 있지만, 의사소통(커뮤니케이션)이 협업 능력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5,6,7]. 특히 대규모 건설프로젝트의 조직은 규모가 크고 많은 수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프로젝트의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Building construction management. Seoul: Kimoondang; 2006. 585 p. Korean. 

  2. Lee HS. Approach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highway construction: focusing on construction management and organization [master's thesis]. [Seoul (Korea)]: Chungang University; 2003. 50 p. 

  3. Son JW, Shin SW, Yi JS. Understanding collaborative working processes within construction project teams using agent-based modeling and simula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4 Jan;15(1):70-7. 

  4. Keung CCW, Shen L. Measuring the networking performance foe contractors in practicing construction management.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2013 Oct;29(4):400-6. 

  5. Kim JY. Collaborativ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members of apartment construction organization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4 Feb;14(1):102-9. 

  6. Senescu RR, Aranda-Mena G, Haymaker JR. Relationships between project complexity and communication.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2013 Apr;29(2):183-97. 

  7. Tone K, Skitmore M, Wong JKW. An investigation of the impact of cross-cultural communication on the management of construction projects in Samoa.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2009 Apr;27(4):343-61. 

  8. Lee JS, Park SK. A relationship study between the internal marketing-related organizational factors in construction companies and corporate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3 Mar;14(2) :65-77. 

  9. Lee WK. Effect of Project Management knowledge on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ster's thesis]. [Seoul (Korea)]: Soongsil University; 2014. 81 p. 

  10. Song SY. The impact of the communication behaviors on project outcomes in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project [master's thesis]. [Seoul (Korea)]: Soongsil University; 2010. 76 p. 

  11. Park SH. The impact of the communication quality on plant project performance [master's thesis]. [Seoul (Korea)]: Hanyang University; 2013. 69 p. 

  12. Lee SY.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difficulties: Focusing on overseas plant construction project A [master's thesis]. [Seoul (Korea)]: Ewha Womans University; 2015. 134 p. 

  13. An SH. Factors of influencing the communication of building construction field organiz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6 Apr;16(2):161-7. 

  14. Lim CH. Organizational behavior. 5th ed. Seoul (Korea): BnMBooks; 2013. 686 p. Korean. 

  15. Shin YK, Lee CW. Organizational behavior. Seoul (Korea): Hankyungsa; 2014. 589 p. Korean. 

  16. Kim SY, Song GC, Jeong BG, Park SE. Organizational behavior. 3rd ed. Seoul (Korea): Kyeongmunsa; 2014. 567 p. Korean. 

  17. Gang JS, Kim HS. Evaluation of project manager’s leadership on construction project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0 Jan;11(1):151-9. 

  18. An SH, Bitamba BF.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performance of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5 Oct;15(5):501-6. 

  19. Kang BS, Kim GS. The statistical analysis of social science. 4th ed. Seoul (Korea): Hannarae Academy; 2009. 442 p.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