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체 토법을 병용한 콜린성 두드러기 환자의 한방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Cholinergic Urticaria Patient Using Oriental Medical Treatment with Melonis Calyx Vomiting Therapy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30 no.3, 2017년, pp.220 - 230  

이승희 (동서한방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  이수경 (동서한방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  홍현진 (동서한방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  이창원 (동서한방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  장영우 (대전자생한방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icacy of using oriental medical treatment with Melonix Calyx Vomiting Therapy for Cholinergic urticaria patient. Methods : We experienced one case of Cholinergic urticaria patient treated with oriental medical treatment and Melonix Calyx V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환자에게 진료정보 수집 활용에 관해 충분히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후 진행하였다.
  • 본 증례는 양방적 치료로 호전을 보이지 않던 콜린성 두드러기 환자에게 과체 토법을 병용한 한방 치료를 실시하여 증상이 호전된 경과를 관찰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해 콜린성 두드러기의 치료에 있어 韓醫學的인 접근 방법이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오직 한방치료로 인하여 단기간에 소양감, 팽진, 발적 증상의 호전을 보여 환자의 일상생활에 삶의 질이 개선되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콜린성 두드러기란 무엇인가? 콜린성 두드러기는 운동, 뜨거운 목욕, 정신적 스트레스 등 심부체온의 상승에 의해서 발생되는 물리적 두드러기의 일종이다1).
만성 두드러기에서 콜린성 두드러기가 차지하는 비율은 어느정도인가? 콜린성 두드러기는 만성 두드러기의 3-5% 정도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다양한 연구에도 그 원인 및 발생 기전에 대해 명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으며, 치료법 역시 정확히 규명되지 않아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중이다.
콜린성 두드러기가 주로 발생하는 부위와 두드러기를 동반한 증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콜린성 두드러기는 1-2㎜ 정도의 작은 팽진이 여러 개 나타나고 그 주위에 1-2㎝ 정도의 홍반성 발진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몸통에 많이 생기고 손바닥이나 발바닥에는 생기지 않는다. 두드러기와 함께 심한 가려움증과 따가운 증세가 같이 나타나며, 발한·복통·현기증이 따를 수도 있다. 증상은 몇 분간 지속되다가 보통 한 시간 내에 가라앉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im JE, Eun YS, Park YM, Park HJ, Yu DS, Kang H,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olinergic urticaria in Korea. Ann Dermatol. 2014;26(2):189-94. 

  2. Traditional dermatology and surgery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Text of Traditional Korean Dermatology & Surgery. 1st ed. Busan:Sunwo. 2007:376. 

  3. Yoon JW, Yoon SW, Yoon HJ, Ko WS. The Clinical Study of Urticaria. J Kor Med Op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3;16(2):152-76. 

  4. Jung HJ, Ko WS, Yoon HJ. Korean Medicinal Approaches to Recent Study on Cholinergic Urticaria. J Kor Med Op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4):29-40. 

  5. Herbology Editorial Committee of Korean Medicine Schools. Bonchohak. Seoul:Youngrimsa. 2007:218-20,484-5,498-9,527-8,552-3,696-7. 

  6. Kim KW, Park HK, Kim YJ. Study on Yumunsachin Emetic therapy.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08;21(2):193-200. 

  7. Kim KS, Kim YB. A Case of Idiopathic Cholinergic Urticaria Associated with Acquired Hypohidrosis by Herbal Medicine Applied Gejimahwanggakban-tang. J Kor Med Op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9;22(3):220-7. 

  8. Park HS. A Case report of It is suspected with the cold-induced cholinergic Urticaria. The Kor J of Oriental Medial Prescription. 2006;14(1):184-91. 

  9. Greaves MW. Antihistamine Treatment: A Patient Self-assessment Method in Chronic Urticaria. British Medical Journal. 1981;283:1435-6. 

  10. Shin MS, Lee SH, Kim MS, Lee JY, Choi YJ, Ahn JY, et al.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Life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Urticaria. Korean J Dermatol. 2010;48(7):567-72. 

  11. Baiardini I, Pasquali M, Braido F, Fumagalli F, Guerra L, Compalati E, et al. A new tool to evaluate the impact of chronic urticaria on quality of life: chronic urticaria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CU-Q2oL). Allergy. 2005;60(8):1073-8. 

  12. Ye YM, Jang GC, Choi SH, Lee JM, Yoo HS, Park KH, et al. KAAACI Work Group report on management of chronic urticaria.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2015;3(1):3-14. 

  13. David A. Chronic urticaria: Diagnosis and management. Allerge and Asthma proceedings. 2008;29(5):439-46. 

  14. Park CS. Correspondence: Urticaria.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01;61(3):315-20. 

  15. Kang WH. Atlas of skin diseaes. 3st ed. Seoul:Hanmibook. 2016:32. 

  16. Kim HJ. Clinical study of Chronic Urticaria. J Kor Med Op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2;15(2):254. 

  17. Mathews KP. A current view of urticaria.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1974;58(1):185. 

  18. Choi JH, Eun HC, Lee YS. Clinical and Laboratory Study of Chronic Urticaria. The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1983;21(6):673. 

  19. Heo J. Donguibogam. 1st ed. Seoul:Donguibogam publishing company. 2006;1064, 1078. 

  20. Lee DN, Lim EM, Yang WM, Lee TK. A study of Sayuk-san and Soyo-san for Clinical Using. The Journal of Oriental Gynecology. 2000;13(1):484-99. 

  21. Chun YT, Sankawa U. Screening of Antiallergic effect in Traditional Medicinal Drugs and Active Constituents of Aurantii Fructus Immaturus. Shoyakugaku Zasshi 43. 1989:314-23. 

  22. Hwang GH. Mechanism of inhibitory action of anaphylaxis by aqueous extract of Poncirus trifoliata. J Korean Oriental Med. 1997;18(1):316-25. 

  23. Kim CM, Shin MG, Ahn DG, Lee GS. Dictionary of Chinese medicine. Seoul:Jeongdam. 1997:3969-76. 

  24. Heo J. Donguibogam. 1st ed. Seoul:Donguibogam publishing company. 2006;703-31. 

  25. Han YJ, Lee SH, Lee JY. Recent Clinical Research on Effect of Acupuncture for Urticaria. J pediatr Korean Med. 2016;30(1):22-31. 

  26.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eoul:Jib Moon Dang Publishing Co. 2008:204. 

  27. Cho GI, Kim JU, Lee YJ, Rhim EK, Shin SH, Kim DW, et al. Two cases Chest Heating Sensation treated by Hwangryunhaedok-tang Herbal-Acupuncture.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03;6(2):127-35. 

  28. Choi YT, Lee YH, Kang SG, Kim CH, Park DS, Park YB, et al. The Acupuncture & Moxibustion. Seoul:Gymmoondang. 1994:478-81,1457. 

  29. The National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Herbology Classroom. Herbology. Seoul: Youngrimsa. 2004:159-63,165-6,220-2,233-4,348-9,351,357-9,501-2,699-700. 

  30. Lee SW, Seol MH, Na HY, Yoo JH, Ahn YM, Lee BC, et al. Retrospective Study of Safety of Tu Fa (吐法) by Melonis Calyx: Analysis of Clinical Features and Liver and Kidney Functions. J Int Korean Med. 2015;36(4):498-506. 

  31. Heo J. Donguibogam. Seoul:Beopinmunhwasa. 2009;204,216,657-60,963,100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