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영역』의 안전교육 내용 분석
Analysis of Safety Education Contents of 『Field of home life』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developed by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29 no.2, 2017년, pp.23 - 39  

김남은 (부산거제여자중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서의 '가정생활 영역'에서 안전교육 내용 분석을 통해 중학생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안전교육의 내용을 선정하고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2009개정 교육과정으로 12개 출판사에서 각각 집필된 중학교 교과서 12종 총 24권이다. 분석기준은 교육부(2015)에서 제시한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바탕으로 안전교육 관련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학자들의 검토를 토대로 하여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이러한 분석기준으로 각 교과서를 읽고 '안전'이라고 직접 언급한 단어, '심리적 안전'과 '행복한 삶'을 의미하는 단어, '주의', '유의', '안정'과 관련된 단어 등 안전교육 분석기준의 내용과 관련이 있는 단어들을 모두 추출한 후 가정교과서 단원에 따른 안전교육 내용을 분석틀로 하여 빈도와 퍼센트를 내는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교과서 분석결과, 안전교육 내용 쪽수는 기술 가정 교과서 12종의 총 쪽수 3412쪽 중 336.3쪽으로 9.8%로 나타났고 권별로 안전교육 관련 내용의 비중을 분석하여 보면, 1권의 경우 안전교육 내용 비중이 총 224.9쪽, 2권의 안전교육 내용 비중이 총 111.9쪽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가정 교과서의 안전교육 비중이 낮아졌다. 안전교육 내용 가장 많은 단원은 '청소년의 자기관리' 단원으로 3개의 안전교육 영역을 포함하고 있었고 '청소년의 생활', '녹색생활의 실천' 단원 등과 같이 주로 실천과 체험, 실습이 강조되는 단원의 경우 '생활안전'영역의 안전교육 내용을 많이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가장 많이 당하는 안전사고와 관련 있는 가정 내 사고(1.4%), 실험 실습사고(0.3%)등에 대한 내용은 낮은 편으로 나타났고, 유니버설주거와 학교폭력 내용은 교과서 1권과 2권에 중복해서 제시되었다. 12종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다른 안전교육 내용은 바람직한 성태도, 식생활문제, 가족 갈등, 식품의 선택이며, 가장 적게 다룬 안전교육 내용은 유해약물, 가정 복지, 인터넷 중독, 산업재해보상보험 등이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개발된 교과서 12종을 분석하였기에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교과서와의 비교를 통해 안전교육의 내용 체계를 분명히 하고 내용의 중복을 피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교과서를 보조할 수 있는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selecting and improving the safety education contents which help practically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analysis of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in 'field of home life' of 2009 revised middle school textbooks. The subjects of analysis 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술 가정 교과서의 ʻ가정생활ʼ 영역에 산재되어있는 안전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중학생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안전교육의 내용을 선정하고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각 교과서에서의 대단원과 중단원을 기준으로 안전교육의 목표와 영역에 해당하는 학습 내용을 추출하여 정리하고, 교과서의 구성을 본문, 탐구자료, 읽기자료, 그림, 표의 형태로 구분하였다. 본문은 교과서의 내용 중 안전교육의 목표 및 영역과 관련하여 의미가 정확히 제시되어 있거나 가까운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문장을 추출하였다. 또한 안전과 관련된 단원이나 주제가 동일하다 하더라도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에 다른 성격의 안전교육 목표가 포함되어있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안전 내용으로 표시하였다.
  • 자료가 가장 많은 교과는 B교과서(본문 287행, 활동자료 73개)와 C교과서(본문 263행, 활동자료 96개)였다. 여기서 본문은 안전교육 영역에서 제시된 안전과 관련된 내용을 직접적으로 언급하거나 안전성을 강조한 내용을 중심으로 추출한 것이다.
  • 그러나 가정과교육에서 1차 교육과정부터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정 교과서에서의 안전교육의 내용 요소와 비중을 알아본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서의 ʻ가정생활 영역ʼ에서 안전교육 내용 분석을 통해 중학생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안전교육의 내용을 선정하고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발전적인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는 대형 사고의 고질적인 문제점은? 같은 지역에서 일어나는 같은 사고와 같은 피해는 반복되면 될수록 국민의 재산과 생명만 앗아갈 뿐이다. 우리나라는 대형 사고가 발생하고 나면 관련 책임자를 문책하고 안전사고 대비책을 내놓지만 시간이 지나면 또 다시 사고를 망각하곤 한다. 사고가 일어날 때마다 그에 대한 안전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상기시키지만 제대로 된 안전교육의 부재로 인해 사고는 또 다시 일어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재해의 대부분은 무엇이 원인인가? 예상치 못했던 재해의 기습을 ʻ천재(天災)ʼ라고 하여 사람이 어쩔 수 없다고는 하나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재해는 대부분 정부의 늑장 대응과 기상청의 오보, 안전 매뉴얼의 부재, 재산권을 위한 안전대비 미비 등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비를 하지 못해 고스란히 물적 인적 피해를 받은 ʻ인재(人災)ʼ라고 비판받고 있다. 안전사고는 언제 어디서나 일어날 수 있고, 이에 대한 대비는 언제나 최악의 경우를 생각해야 한다.
안전사고에 대해 행동과 환경으로 대처하는 방법은? 안전교육 연구 발표에 의하면(Kim & Lee, 2002) 안전사고의 85%는 인간의 불안전한 행동에 의한 사고이며 15%는 불안전환경에 의해 발생한다고 한다. 불안전한 행동은 안전교육을 통해 방지할 수 있으며 불안전한 환경은 안전의식과 기술, 안전관련 법률로 통제하거나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즉,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안전에 대한 이해와 인식, 태도를 함양하는 교육을 장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실시하면 충분히 사고를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05)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rown, M. M. & Paolucci, B. (1979). Home economics: A definition. Washington, DC: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 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HECAT: Module S. Retrieved from http://www.cdc.gov/healthyyouth/pdf/ HECAT_Modules_S.pdf. 

  3. Cho, M-G. (2007). A Study on the Improvement Options and Real Situation about Education of Experiment Class in Technical High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 Ha University of Education, In-Cheon, Korea. 

  4. Choi, S-B. (2004). Dictionary of Occupational Safety. Seoul: gold. 

  5. Cox, S. & Cox. T. (1996). Safety, systems, and people. Oxford, UK: Butterworth-Heinemann. 

  6. Doosan (2015). www.doopedia.co.kr 에서 2015. 2. 10. 검색 

  7. Freda, B. (1995). Developing personal safety skills in children. London: Jessica Kingsley Publishing. 

  8. KOSHA (2005). School Health and Safety Guidelines. http://www.kosha.or.kr 에서 2015.02.10. 검색 

  9. Kim, D-H. (2004). The Safety Education and the Safety Guidance Measures in School.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pp.4-27) 

  10. Kim, N-E. (2015).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afety Theme-Ba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1. Kim, S-J., Lee, J-E. & Song, M-K (2003).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injury prevention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9(4), 349-358. 

  12. Kim, S-J. & Kim, S-H. (2009). Development of a safety education guideline book for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2), 145-154. 

  13. Kim, T-H. (2000). A Study on the Contents Analysis of Safe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Focusing on Comparison with the Needs of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4. Kim, H-W. & Lee, M-S (200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easuring Scale of Safety Conscioudnes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99(1), 87-107. 

  15. Kwak, E-B. (2004). A study of young children's safety awareness. The Journal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ducation, 14, 107-122. 

  16. Lee, J-S. (1997).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afety: Behavior-Based Approach and Human Factors Approach. Journal of Psychological Science, 8(1), 39-63. 

  17. Lee, Y-S, Chae, J-H, Yoo, T-M, Wang, S-S, Lee, E-H, Kim, H-N & Choi, M-J (2013). 2009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Relation to the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5(2), 21-47. 

  18. Maslow, A. H. (1968).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2nd ed.).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Co. 

  19. Ministry of Education. (2015). 7 safety Education standards. 

  20. Pickle, B. (1989). Increasing safety awareness of preschoolers through a safety education program.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Nova University, Florida. 

  21. Scott, R. J. (1992). Preventing injury: A safety curriculum for preschool-kindergarte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Albama University, California 

  22. Son, H-H, Park, M-J & Chae, J_H (2009). A Content Analysis on Care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Textbook of the Secondary School developed by the 7th Educational Process.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4), 45-58. 

  23. Song, M-K, Lee, J-E, Moon, S-Y, Yang, S-J, Kim, S-J (2005). Contents Analysis of Textbook Related to Safe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6(2), 205-220. 

  24. Yoo, T-M (2003).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on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Structure of Home Economics, Literacy through Home Economics Education(I): A Delphi Study.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1(10), 149. 

  25. Yoo, H-J. (2008). A Study for Securing the Safety Right : Focused on the Criterion of the Acceptable Risk Level for Disadvantaged Class.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4(2), 17-31.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