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과교육과정에서 추구하기에 바람직한 인간상에 대한 탐색
Exploration of Desirable State of Affairs in Pursuing Portraits of Human Be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29 no.2, 2017년, pp.85 - 111  

양지선 (경상대학교 대학원 가정교육과) ,  유태명 (경상대학교 대학원 가정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교육적 인간상의 근본적인 쟁점들을 분석함으로써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의 바람직한 상태를 설정하고 이에 부합하는 인간상을 설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간상과 관련된 자료들을 대상으로 논의된 쟁점들을 분석하였으며 면대면 협의, 소집단 사전 협의, 전문가 협의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바람직한 상태는 이상과 실제의 측면에서 이상적인 지향점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실현가능성이 높아야 한다, 보편성과 맥락성 측면에서 교육목표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교과 맥락적인 측면이 반영되어야한다, 실천 교과의 철학이 담긴 교육과정 관점 즉 비판과학 관점이 강조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바람직한 상태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총론에 나타난 핵심가치를 개인 가족/사회 국가/문화 세계의 세 영역으로 범주화하였으며 전문가 협의를 통해 교육적 합의에 이르고 인간상의 가치가 더 드러날 수 있도록 수정하고 재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범주의 진술문을 포함하여 교육과정의 핵심가치를 포괄할 수 있는 포괄적인 인간상의 진술은 '실천적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사람'으로 상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eed of the ideal human being and to establish ideal desirable state of affairs in the ideal portrait of a human being for pursuing in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educted issue from the discussion about the human being in the e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교육의 지속성과 미래지향 반영, 다양한 교육관의 수용이라는 방향에 기초하여 추구하는 인간상을 제시하였고 2009 개정에서는 글로벌 관점이 강조되었다. 최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변화는 창의 인성을 교육방향으로 하여 추구하는 인간상을 역량, 학교급별 목표와 연계하여 제시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우리나라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적 생활 능력과 민주 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함으로써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민주 국가의 발전과 인류 공영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에 이바지하게 함’(Ministry of Education, 2015)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교육적 인간상의 정의는 무엇인가? 인간을 바람직한 어떤 상태로 이끌어 가려는 활동을 교육이라고 정의한다면 교육적 인간상은 교육받은 인간의 특성 즉 교육받은 사람의 모습을 그려놓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적 인간상에 대하여 교육을 통해 실현가능한 것으로, 마음에 그리며 추구하는 인간다움의 형상으로서 교육적으로 지향하는 목표(Yang, Cho, & Im, 2000)로, 교육을 통해서 지향하고 실현하고자 하는 인간의 모습이며 기르고자 하는 인간의 속성과 자질, 능력 등을 포함하는 복합적 성격을 가진 것(Han, 2000)으로 정의될 수 있다. Kim(2016)은 교육과정은 본래 미래지향적이며 교육적 인간상은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라는 자기 이해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간상은 사회의 구조적 변화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설정되어 왔고 이것이 각 시대의 학교 교육과정의 방향이 되어 왔다고 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목적은 무엇인가? 최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변화는 창의 인성을 교육방향으로 하여 추구하는 인간상을 역량, 학교급별 목표와 연계하여 제시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우리나라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적 생활 능력과 민주 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함으로써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민주 국가의 발전과 인류 공영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에 이바지하게 함’(Ministry of Education, 2015)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aik, H. J., & Park, J. H. (2014). Value analysis on the ideal of educated person in korean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The Korean Educational Review, 20(3), 59-77. 

  2. Bobbitt, N. (1989). Summary: approaches to curriculum development. In AHEA(1989), Home economics concepts: a base for curriculum development, Alexandria, VA: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47. 

  3. Brown, M. M. (1980). What is home economics education? Minnesota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vocational education. 

  4. Brown, M. M. (1985). Philosophical studies of home economics in the United States: Our practical intellectual heritage I. Michigan State University. East Lansing, MI: Michigan State University for vocational education. 

  5. Brown, M. M., & Paolucci, B. (1979). Home economics: a definition. Washington, DC: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6. Cho, S. H. (2007). The establishment of the purpose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by the educational views and the human images pursu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 Buk, Korea. 

  7. Han, M. H. (2000). Changing paradigms and issues of human being. Sociology of Education, 10(2), 79-102. 

  8. Han, M. H., Kwak, B. S., Kim, S. B., Kim, J. B., Huh, J. K., & Go, J. H. (1991). Improvement of structural system in primary-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6th National Curriculum.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 Evaluation. 

  9. Huh, J. K., Gu, J. O., & Cho, Y. T. (1987). The development of high schools for 5th national curriculum.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0. Hwang, K. H. (1997). A critical examination on educated person of the Idea of liberal education. The Journal of Moral Education, 9, 197-223. 

  11. Kang, D. H. (2007). The ontological feature of human being showed in the curriculum of moral studies. Journal of Korean Ethics Studies, 64(0), 253-278. 

  12. Kim, K. J. (2016). Exploration of directions for 2030 future-oriented curriculum. 2030 미래 사회 변화에 따른 학교 교육 방향 탐색을 위한 심포지엄 자료집.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research. 

  13. Kim, S. M. (2003). An analysis of values implied in the educated person prescribed in the educational plans of sch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 Buk, Korea. 

  14. Kim, Y. J. (2009). The study of the contextual initiative of ideal human in social stud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 Buk, Korea. 

  15. Kwak, B. S. (1985). Toward a research paradigm in curriculum studies. Journal of Korean Education, 12(1), 149-167. 

  16. Kwak, B. S., Kim, J. C., Jo, N. S., Park, S. K., Hong, W. J., & So, K. H. (1997). A study on visions for the educated person and educational goals for revising the 7th national curriculum.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7. Lee, D. H. (1995). Past and present of korea educational ideologi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3(2), 1-9. 

  18. Lee, K. H., Kim, K. C., Kim, S. H., Kim, H. M., Lee, M. G., Lee, S. H., & Lee, I. J. (2013). Improvement plan of the subject curriculum based on the key competencies-focusing on the alignment of curriculum,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ducational assessment.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research. 

  19. Ministry of Education (1963).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20. Ministry of Education (1973). Middle school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21. Ministry of Education (1981). Middle school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22. Ministry of Education (1987). Middle school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23. Ministry of Education (1992). Middle school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24. Ministry of Education (1997). The guidebook for the framework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high school. Seoul: Ministry of Education. 

  25. Ministry of Education (2015). Framework of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notification of Ministry of Education 2015-74.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6.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8). The guidebook for the framework of the 2007 national curriculum: mathematics, science, technology.home economics.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7.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Framework of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8.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The guidebook for the framework of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9. Oh, C. S. (2016). Inquiry on educational ideology in progress of korea. Seoul: Kyoyookgwahaksa. 

  30. Park, B. K., & Jung, J. G. (1989). Education ideology and Hongikingan.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31. Park, C. D. (2005). The noble man as an ideal of morally educated person. The Journal of Moral Education, 16(2), 133-150. 

  32. Park, C. U., & Park, S. W. (2014). A study on the humanitarian ideal and the vision for the educated person. National Thoughts, 8(3), 171-198. 

  33. Sin, J. S. (1998). A study on the educated man in the postmodern soci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 Buk, Korea. 

  34. Son, S. N. (2001).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homo-knowledgian as an educational person.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25, 55-71. 

  35. Yang, E. J. (2001). The ideal of educative person in the history of educational philosophies.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2(1), 129-148. 

  36. Yang, E. J., Cho, K. W., & Im, H. S. (2000). A critical inquiry into the ideal of an educated person in the school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18(2), 47-68. 

  37. Yang, E. J., Cho, K. W., & Kim, K. J. (2001). An inquiry into the ideal of creative human being based on Dewey's philosophy of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28(1), 75-97. 

  38. Yi, K. H. (1993). A study on the image of an deal human being in geographic education.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22(0), 1-12. 

  39. Yoo, T. M. (1998). Comprehensive diagnosis and treatment through relevance review of philosoph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philosophy.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0(1), 185-197. 

  40. Yoo, T. M. (2007). Clarifying the concept of praxis in family and consumer science education ?in focusing of the concept of phronesis i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34. 

  41. Yoo, T. M., & Lee, S. H. (2010). Practical problem oriented home economics instruction: The theory and practice. Seoul: Book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