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에서 효과적인 3차원 영상 연출을 위한 연구 -언리얼 엔진의 영상 제작을 이용한 인터렉티브 쇼트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ive directive technique of 3D animation in Virtual Reality -Focus on Interactive short using 3D Animation making of Unreal Engine-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47, 2017년, pp.1 - 29  

이준수 (극동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360도 가상현실은 오래전부터 상용되고 있던 기술이었으나 HMD(Head Mounted Display)와 같은 기기의 발전과 가상현실의 영상을 제어하고 실행시키는 하드웨어의 발전으로 최근에 가상현실의 제작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는데 360도 영상의 제작은 기존의 영상제작과는 다른 연출 방식을 요구하고 사용자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가상현실 영상은 몰입성, 현재성과 상호작용을 요구하는 플랫폼을 지향하기 때문에 이에 맞는 영상문법이 필요하다. VR에서 사용자는 연출자가 만들어 놓은 세계를 자유롭게 감상할 수 있으며 본인의 관심대상에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것은 또한 연출자에게 내러티브의 진행과 전달하고자 하는 영상에 집중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개발하고 설치할 필요성을 요구한다. 연출자에게는 영상을 전달하는 다양한 방법들 가운데 쇼트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는데 본 고에서는 이 쇼트의 구성을 통한 연출기법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360도 가상현실에서 적용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현재의 가상현실 연출방식은 기존 영상제작 방식을 많이 따르고 있으며 쇼트구성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360도 가상현실에서는 전통적인 3인칭 시점의 롱테이크 기법이나 블로킹 기법을 주된 연출구성으로 이용하지만 여전히 쇼트구성의 한계를 느끼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HMD 트레킹을 이용하여 인터렉티브하게 360도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반면에 쇼트의 구성과 쇼트의 연결은 기존 영상문법과 마찬가지로 연출자에게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영상문법도 VR 영상의 상호작용의 특징인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쇼트의 구성과 같은 영상문법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언리얼 엔진이라는 게임 툴을 사용하여 3D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 블루프린트(Blueprint)라는 언리얼엔진의 비주얼 스크립팅을 가지고 트리거(Trigger)라는 노드로 조건의 참과 거짓을 구분시키는 장치를 만들어 각각의 상태에 따른 카메라의 위치를 선택하게끔 하여 다양한 쇼트를 만드는 인터렉티브 영상구성을 시도함으로 다양한 연출기법이 개발되고 관련 연구가 진행되어 360도 VR 영상 발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360-degree virtual reality has been a technology that has been available for a long time and has been actively promoted worldwide in recent years due to development of devices such as HMD (Head Mounted Display) and development of hardware for controlling and executing images of virtual reality.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60도 VR 영상의 특징 중 하나가 상호작용으로 사용자가 가상공간에서 원하는 장면을 마음대로 볼 수 있다면 쇼트도 사용자의 의도대로 바꿀 수 있는 방법은 없는가에 대한 가능성을 실험 하고자 본 고의 360 VR 제작을 연구하였다.
  • 360도 VR을 위한 프로세싱에서 실사 영상 촬영은 필수적인 360도 특수 카메라와 후반 작업에서 스티칭이 필요한 반면에 3D 디지털 영상 제작에서 3D 툴을 사용할 때는 별도의 360도 카메라의 제작이나 스티칭 작업이 생략되거나 필요할 경우에만 추가 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체 프로세싱의 절차는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360도 어안 렌즈의 카메라는 3D 툴에서 제공되는 카메라를 가지고 조작할 수 있거나 별도의 플러그인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마야(Maya)11)를 사용한 디지털 360도 카메라 구성과 렌더링의 작업과정을 설명 해 보고자 한다. 첫째 카메라의 구성은 입체카메라(stereoscopic camera)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VR영상에 적합한 모빌리티(Mobility)의 생태계에서 고려해야 할 4가지 요소인 콘텐츠, 플랫폼, 네트워크와 디바이스 중 콘텐츠 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논하고자 한다. VR 영상의 디지털 콘텐츠 제작은 3D 애니메이션 툴(Maya)과 3D 게임엔진 기반의 언리얼 엔진(Unreal Engine)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VR의 상호작용이라는 특징이 잘 나타날 수 있는 연출방법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고자 한다. 언리얼 엔진을 이용한 영상 제작 형식을 선택한 이유는 360도 VR 영상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가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하는 가운데 자유롭게 사용자의 초점을 이동할 수 있는 것인데 이러한 인터렉티브한 초점 변화와 더불어 쇼트의 변화도 자유롭게 선택하게 하고자 하는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언리얼 엔진의 블루프린트라는 시스템 노드들을 활용해서 제작자가 요구하는 부가적인 효과나 장치를 추가함으로써 본 연구의 목적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 이 시스템은 노드 기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게임플레이 요소를 만드는 개념을 토대로 한 비주얼 스크립팅으로 인터렉티브한 게임을 만들 때는 반드시 동반되는 시스템이다24). 그래서 360 VR영상에서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터렉티브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하였다. 목표로 하는 360도 VR 인터렉티브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 우선 플로어 차트(Flower Chart)를 만들고 전체적인 개념을 정리할 필요가 있었다.
  • 한 마을에서 갑옷을 입은 사람과 노인이 집 앞에서 대화를 하고 있는 장면과 전체 마을을 설명하는 샷을 촬영한다면 쇼트의 크기나 앵글과 구도, 시점을 번갈아가며 변화를 주어 영상의 콘티뉴어티를 이어가는 것이 이런 영상의 기본적인 영상문법이다. 그러나 보통의 360도 VR 에서 이러한 영상은 카메라를 고정시키고 캐릭터의 블로킹을 통하여 쇼트의 구성에 변화를 주지만 본 영상은 시청자가 자유롭게 보고 싶은 장면으로 머리를 움직여서 구도를 변경하여 볼 수 있게 인터렉티브한 영상 기법을 만들고자 할 때 다음과 같은 영상문법이 가능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상현실의 영상을 제작함에 있어서 콘텐츠와 더불어 필요한 효과적인 연출기법을 연구하는 측면에서 볼 때 다양한 연출기법을 고려할 수 있다는 측면과 앞으로 더 발전해야 할 360도 가상현실 영상의 콘텐츠 개발을 위한 효과적인 내러티브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본 연구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다음의 표를 통하여 현재 VR 단편 애니메이션의 제작 된 작품 중에서 베스트 애니메이션으로 선정된 작품21)들을 분석함으로써 최근의 VR 애니메이션의 연출기법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작품들은 오큘러스 스토리 스튜디오의 <헨리>(Henry, 2015)와 바오밥 스튜디오의 <침략>(Invasion, 2016)과 함께 <장미와 나>(The rose and I, 2016)와 <알루메트>(Allumette, 2016)는 Penrose 스튜디오에서 만든 작품이다.
  • 사용자가 마을 전체적인 모습과 환경을 둘러볼 수 있도록 360도 VR 카메라를 마을의 중앙에 위치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다른 360도 카메라는 두 캐릭터의 대화하는 위치와 가까이 설치하여 사용자가 캐릭터의 대화에 관심을 가지면 그 장면으로 쇼트를 변경 할 수 있도록 작업을 하고자 하였다. 카메라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였다.
  • 이는 전통적인 영상문법과 맞지 않는 특성이 있으며 360도 가상현실의 콘티뉴어티를 유지시키는 쇼트의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360도 VR 영상의 프로덕션 제작과정이 전통적인 영상 제작 기법과의 차이를 극복하고 성공적인 영상미학을 통한 킬러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연출방법 중 상호작용이 가능한 쇼트의 구성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VR영상에 적합한 모빌리티(Mobility)의 생태계에서 고려해야 할 4가지 요소인 콘텐츠, 플랫폼, 네트워크와 디바이스 중 콘텐츠 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논하고자 한다. VR 영상의 디지털 콘텐츠 제작은 3D 애니메이션 툴(Maya)과 3D 게임엔진 기반의 언리얼 엔진(Unreal Engine)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VR의 상호작용이라는 특징이 잘 나타날 수 있는 연출방법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고자 한다.
  • 특히, 360도 영상은 킬러 콘텐츠 개발이라는 큰 과제뿐만 아니라 입체영상이나 기존 영상과는 또 다른 연출기법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여러 방면으로 시도되고 있는 연출기법에 대해서 또 다른 방법의 시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360도 VR 영상이라는 특징은 몰입성, 현재성과 더불어 상호작용성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이 충족되어질 때 사용자는 제작자가 만든 가상현실에서 실제인 것처럼 몰입 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를 위한 가상현실을 구현하기 위하여 에픽 게임즈(Epic Games)의 ‘언리얼 엔진’(Unreal Engine)과 오토데스크의 ‘마야’(Maya)를 사용하기로 하였으며, 연출기법은 360도 VR로 만든 작품의 다양한 시야각과 쇼트의 구성을 자율적으로 확보하는 방법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연출을 시도할 때 동반되는 문제점과 한계성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시도하고자 하는 연출기법은 쇼트의 다양성을 제작자가 선택하는 것이 아니고 시청자가 어떻게 자유롭게 선택하는 가를 실험하고자 함이다. 애니메이션 영상은 스토리가 중점이 아니며 영상문법을 시도할 수 있는 상황을 묘사하는 영상이다.
  • 언리얼 엔진을 이용한 영상 제작 형식을 선택한 이유는 360도 VR 영상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가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하는 가운데 자유롭게 사용자의 초점을 이동할 수 있는 것인데 이러한 인터렉티브한 초점 변화와 더불어 쇼트의 변화도 자유롭게 선택하게 하고자 하는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언리얼 엔진의 블루프린트라는 시스템 노드들을 활용해서 제작자가 요구하는 부가적인 효과나 장치를 추가함으로써 본 연구의 목적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범위는 가상현실에서 효과적인 연출기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출기법 중 전통적인 평면중심의 쇼트기법과 시야각이 360도 VR과는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음을 알고 쇼트의 콘티뉴어티를 구성하는데 많은 제약을 가지고 있는 가상현실의 제작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쇼트를 실현시키고 시야각을 다양화 할 수 있는지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3D 디지털 콘텐츠는 게임 에셋의 3D 배경과 캐릭터를 사용하고자 한다.
  • VR 영상의 디지털 콘텐츠 제작은 3D 애니메이션 툴(Maya)과 3D 게임엔진 기반의 언리얼 엔진(Unreal Engine)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VR의 상호작용이라는 특징이 잘 나타날 수 있는 연출방법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고자 한다. 언리얼 엔진을 이용한 영상 제작 형식을 선택한 이유는 360도 VR 영상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가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하는 가운데 자유롭게 사용자의 초점을 이동할 수 있는 것인데 이러한 인터렉티브한 초점 변화와 더불어 쇼트의 변화도 자유롭게 선택하게 하고자 하는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언리얼 엔진의 블루프린트라는 시스템 노드들을 활용해서 제작자가 요구하는 부가적인 효과나 장치를 추가함으로써 본 연구의 목적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범위는 가상현실에서 효과적인 연출기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출기법 중 전통적인 평면중심의 쇼트기법과 시야각이 360도 VR과는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음을 알고 쇼트의 콘티뉴어티를 구성하는데 많은 제약을 가지고 있는 가상현실의 제작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쇼트를 실현시키고 시야각을 다양화 할 수 있는지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상현실은 무엇인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이란 어느 특정한 환경이나 세계를 컴퓨터와 같은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구성하고 그 현실을 체험함으로써 수용자의 시각, 청각, 후각과 촉각을 자극하여 수용자가 그 가상적 세계에 존재하고 있는 것처럼 몰입시키는 인간과 컴퓨터간의 인터페이스를 말하는 것이다3). 이러한 가상현실의 세계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수용자가 느낄 수 있는 모든 감지 기관을 컴퓨터가 제공하는 다감각성(Multi-Sensory)의 특성이 필요하지만 현 기술에서는 시각적, 청각적, 운동적, 촉각적등의 제한적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다.
360도 영상은 기존 영상과 달리 어떤 형태의 영역을 촬영하는가? 360도 가상현실(VR)은 몰입형 VR의 대표적인 기술인데 구글에서 2014년 스마트폰을 이용한 ‘구글 카드보드’라는 VR 플랫폼을 출시하면서 360도 VR 동영상 시대를 시작하게 되었고 페이스북도 오큘러스를 인수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장에 뛰어들게 되었다6). 360도 영상은 기존 영상과는 다른 구(Sphere)형태의 영역을 촬영하게 된다. 이러한 촬영은 실사영상에서는 고프로(GoPro)라는 촬영 장비를 여러 대 연결하여 360도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HMD 기기는 반응속도를 0.02초나 그 이하를 유지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영상의 깜박임을 방지하기 위해서 화면의 주사율이 60Hz 보다 90Hz가 더 이상적일 수 있지만14) 이러한 조합은 하드웨어의 성능이 고려되어져야 한다. 또한 시각능력의 반응속도도 고려해야 할 상황인데 피사체가 빛을 통하여 인간의 망막에 이미지가 맺히고 전기화학적 신호가 시신경을 통해서 뇌의 시각중추로 전달되는 시간이 0.02초(20ms)이다15). 그럼으로써 우리가 고개를 돌리는 운동시간과 시신경을 통해서 이미지를 인식하는 시간이 0.02초의 시간보다 늦어지게 되면 뇌에 멀미를 느끼게 된다. 그래서 HMD 기기는 반응속도를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윤정, VR콘텐츠의 멀미유발요인 감소를 위한 연출법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Vol.12, No.2, 2016/06 

  2. 김경희, R&D정보센터, 가상현실/증강현실 기술/ 시장전망 및 실감형 디지털 콘텐츠 실태분석, 지식산업정보원, 2015 

  3. 박경수, 글로벌 IT 업체, 차세대 먹거리로 '가상현실'에 주목, CAD&Graphics, BB미디어, 2016/01 

  4. 유미, 가상현실영화의 개념과 제작 기술 분석, 애니메이션연구 Vol.11, No.5, 2015 

  5. 이익희, $360^{\circ}$ VR 영상의 시야 확장에 대응한 영상 연출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Vo.25, 2016/09 

  6. 이종한. 오큘러스 VR (Oculus VR)를 이용한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새로운 모색.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Vol. 45, 2016 

  7. 장욱상, 이영권, VR영상 연출 분석, 애니메이션연구, Vol.11, NO.5, 2016 

  8. 정동훈, 가상현실 콘텐츠, 사용자 최적 경험을 위하여, 방송문화, 한국방송협회, 2016/06 

  9. 정찬호, 김미진, 3D 애니메이션과 머시니마의 제작공정 비교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Vol. 10, No.2, 2016/04 

  10. 한정엽, 모바일 탈착형 HMD기반 VR 콘텐츠 디자인 유형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37, 2016 

  11. 허옥, 정동훈, 증강현실 광고의 프레즌스 매개효과가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그리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90, 2011 

  12. Nathan Glemboski, Making a VR Experience in Unreal Engine 4, Pluralsight, 2016 

  13. Picard, M, Machinima : Video Games As An Art Form, Author & Canadian Games Study Association, Vol.6, 2006 

  14. Vicki Hunang, Fabien Soudiere, Making 360, 2016 

  15. http://paulbourke.net/papers/cgat09b/ 

  16. http://www.gamasutra.com/blogs/NickWhiting/20130611/194007/Integrating_the_Oculus_Rift_into_Unreal_Engine_4.php 

  17.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22&contents_id94362 

  18. http://docs.unrealengine.com/latest/KOR/Engine/Blueprints/GettingStarted/index.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