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아(曹娥)설화와 문화원형콘텐츠 사례연구
Cao-e's story and Its Case Study on the culture archetype contents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47, 2017년, pp.439 - 461  

조정래 (한림대학교 중국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국 고대사회에 있어 효 문화는 가부장제도 아래에서 도덕규범의 실천적 원리였다. 조아(曹娥)는 중국의 대표적인 효의 상징인물로, 원래 무녀(巫女)였으나 한대의 주류 사상인 유가철학의 전파와 함께 효녀의 형상으로 전환되었으며, 이후 지역문화의 발전과 함께 민간의 신앙과 접목하여 수신(水神)의 개념으로 재탄생하기도 하였다. 조아설화의 전파과정 중, 구전과 문학적 가공은 상호적인 작용을 통해 영향을 주고받으며, 미화되거나 신성화되고 체계화 되었는데, 조아도상은 이러한 인류가 추구하는 보편적이며 온전한 사유적 형상의 체현이다. 예컨대, 현대사회에 있어 문화적 정체성과 함께 그 이면의 근본적인 내적 함의의 인식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조아의 효를 주제로 한 사회기반의 문화콘텐츠의 창작과 이를 통해 효가 가진 문화적 핵심가치를 찾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본문은 조아설화와 효사상 그리고 문화원형을 사례중심으로 서술하였으며, 조아의 민간신앙적 신성화 측면에서 문학으로부터 파생된 가공과 도상의 형성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이미지의 변화와 조형성을 통한 문화콘텐츠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ilial piety culture represented by Cao-e was regarded as moral rule mechanism in order to maintain patriarchal system and property relations in ancient China as an agricultural society. Exactly, In the process of Cao-e's story spreading, oral inheritance and literature processing have a rel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아직 조아와 관련된 효사상과 신앙으로서 시대적 인식변화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 그러므로 본문은 조아와 관련된 설화의 유래와 그 흐름에 대해 살펴보고, 효의 시대사회적 인식변화에 따른 조아사상의 확산과 신성화 그리고 조아의 도상적 표현에 대해 서술하면서, 현대적 의미에 있어 조아의 인물도상과 문화원형으로서 텍스트 재현의 문제와 활용에 대한 논의도 함께하였다.
  • 인간의 삶의 한 실천으로서 효는 종종 문학의 중요한 소재가 되기도 하였으며, 문학의 한 주제로서 서사화함으로써 끊임없이 지나가는 삶의 찰나를 깨닫고 경계하며 실천함으로서 인간을 가장 아름답게 교화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므로 설화 속의 효에 대한 표현과 활자화 그리고 제례를 통한 과거 사실에 대한 현실적 재현을 통해 효 혹은 효와 관련된 인물을 신성화하고 상호교감을 실현하려하였다.
  • 본문은 고대 중국문학의 서사방식과 회화의 도상표현의 상호관련성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유교적 사상에 근거를 두고 제작되는 충효 이미지의 대표적인 사례로 후한서(後漢書) 열녀전에 등장하는 조아(曹娥, 130年~143年)설화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문학적 서사가 민간의 종교적 성격으로서 확대되어, 그에 따른 시각예술로서 보편적 도상의 탄생과 시대적 흐름에 따른 신격화 방식에서 인물에 대한 인식과 그 도상의 표현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아설화의 줄거리는 어떠한가? 그 설화의 내용은 비교적 간단하다. ‘조아는 동한말년(東漢末年) 지금의 절강성(浙江省) 소흥현(紹興縣) 지역인 회계(會稽) 상우(上虞) 사람이다. 그의 부친 조간(曺旰)은 악기를 연주하며 노래를 부르고(弦歌) 굿(巫祝)을 잘하는 사람이었다. 142년(漢安二年) 단오날, 그는 고을 강가에서 춤을 추며 수신제(水神祭) 굿을 하다가 실족하여 물에 빠져 죽었는데, 시신조차 어디 갔는지 찾을 길이 없었다. 그때 그의 딸 조아는 겨우 14살 된 소녀로 아버지의 죽음을 슬퍼하며 17일 동안 밤낮으로 강가에서 울며 애절하다가 강물에 빠져 죽었는데, 151년(元嘉元年)에 이르러 현장(縣長) 도상(度尚)이 강남도(江南道) 근처에 개장(改葬)하면서 비석을 세워주었다.’2) 후에 사람들이 조아의 효심을 기념하기 위해 그녀가 강물에 빠진 근처에 조아묘(曹娥廟)를 만들었으며, 그의 이름을 빌어 그녀가 살았던 마을을 조아진(曹娥鎭)이라 하였고, 강의 이름은 조아강(曹娥江)이라 하였다.
효는 언제부터 그 의미가 구체화 되었는가? 효(孝)의 어원은 이미 중국 고대 은(殷)대부터 이미 ‘孝’자가 출현하지만 단순한 지명이거나 혹은 귀족의 정치종교적 예식으로서 조상을 위한 제사행위였다. 서주(西周)시대에 이르러 효는 조상이나 부모에 대한 제사나 추도와 함께 현세 부모에 대한 봉양의 의미로 구체화 되었고, 춘추시대에는 부모를 봉양하고 경애하며 돌아가신 후 그 유언을 따르며 추모함을 나타내었다. 이후 『효경』(孝經)의 교화적 성격과 함께 절대적 개념의 정치사상(以孝治天下)으로 변용되기도 하였는데, 한대 유학자 동중서(董仲舒)는 효와 충을 연결한 개념으로 발전시키기도 하였다.
효가 문학의 소재가 됐을 때 역할은 무엇인가? 이처럼, 고대 중국 사람들은 유교적 실체이자, 효에 대해 삶의 가치로서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였으며, 인간됨의 원초적 깊이는 덕행의 산실인 모두 이 효라는 범주를 통해 발현된다고 믿었다. 인간의 삶의 한 실천으로서 효는 종종 문학의 중요한 소재가 되기도 하였으며, 문학의 한 주제로서 서사화함으로써 끊임없이 지나가는 삶의 찰나를 깨닫고 경계하며 실천함으로서 인간을 가장 아름답게 교화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므로 설화 속의 효에 대한 표현과 활자화 그리고 제례를 통한 과거 사실에 대한 현실적 재현을 통해 효 혹은 효와 관련된 인물을 신성화하고 상호교감을 실현하려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정수, 역주삼강행실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0. 

  2. 송철의 외3, 역주오륜행실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3. 김교빈, 문화원형의 개념과 활용, 인문콘텐츠, 제6호 (2005.12), pp. 7-22. 

  4. 박현규, 浙江 上虞 曹娥廟와 高麗使臣의 역할, 동북아문화연구, 제32집, (2012.9), pp. 211-226. 

  5. 최승수, 역사환경과 역사인물, 그리고 역사의미, 1 : 중국상우 효녀조아 (130-143년) (廟)를 중심으로, 湖西史學, 제48집, (2007.12), pp. 71-118. 

  6. 황동열,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 개발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 제14권, 제1호 (2003.6), pp. 45-62. 

  7. 신창희.방문식, 문화원형의 개념과 범주,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16.7), pp137-142. 

  8. 余嘉錫等, 世說新語箋疏, 上海古籍出版社, 1996. 

  9. 鄭僑等纂 (康熙)上虞縣志, 成文出版社근康熙十年刊本影印, 1983. 

  10. 曾?秀, 近世中國的曹娥信仰, 臺灣師範大學歷史學系學位論文 (2013.01) 

  11. 馬志堅, 曹娥, 曹娥碑與曹娥廟, 東南文化, 1990Z-1期 (1990.5), pp. 155-157. 

  12. 馮賀軍, 北宋二十四孝?雕 (六) 蔡順拾桑與曹娥投江, 紫禁城, 總185期 (2010.6), p.99. 

  13. 蘇勇?, 曹娥的"孝", 江漢論壇, 2004-4期 (2004.4), pp. 42-44. 

  14. 蕭欣義, 商代孝道思想試釋, 華學月刊, 第99期 (1980.3), pp30-33. 

  15. 沈尹默, 關于曹娥碑墨迹的一封信, 文物, 1964-2期 (1964.2), pp19-20. 

  16. 沈夏雲, 浙江曹娥江流域廟會文化探微, 吉林廣播電視大學學報, 13-1期 (2013.1) 

  17. 易素梅, 宋代孝女文化轉型論略-以曹娥與朱娥?祀爲中心的曆史考察, 中山大學學報, 第56卷6期 (2016.6), pp78-92. 

  18. 李小紅, 東漢孝女曹娥原爲"巫女"考論, 浙江社會科學, 第39卷5期 (2009.5), pp70-75. 

  19. 李珍, 曹娥碑謎探微, ?案, 2015-2期 (2015.2), pp45-48. 

  20. 張鵬飛, 漢孝女曹娥碑考, 紹興文理學院學報, 第34卷5期 (2014, 9), pp10-13. 

  21. 張穎慧, 口頭傳承與文學加工-以曹娥碑爲中心看曹娥故事相關文本的流布, 安康學院學報, 第23卷5期 (2011, 10), pp45-47. 

  22. 柴田昇, 曹娥と孝, 愛知江南短期大?紀要, 第41期 (2012.1), pp1-15. 

  23. 陳志勤, 禮俗互動與民間信仰內涵置換的邏輯-"孝女"的曹娥和"水神"的曹娥, 民俗?究, 總130期 (2016.6), pp25-30. 

  24. 朱元桂.謝依娜, 有關馬臻與紹興鑑湖文獻記載的辨析, 團結報, 2014年2月27日. 

  25. 後漢書.列女傳, http://ctext.org/hou-han-shu/lie-nv-zhuan/zh, 2017.04.19. 

  26. 曹江孝女廟志, http://ctext.org/wiki.pl?ifen&chapter521512, 2017. 04.19. 

  27. 欽定四庫全書, 緯略卷十 撰孝碑, http://ctext.org/wiki.pl?ifgb&chapter878993, 2017.04.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