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2018년부터 중학교에서 필수로 실시되는 정보교육의 수준은 정보 컴퓨터 교사의 교과전문성에 의존한다. 본 연구는 중등 교사양성기관이 정보 컴퓨터 교사의 교과전문성을 담보하는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는지 분석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한국 중등 교사양성기관의 정보 컴퓨터 교사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과목을 일본 정보학 분야 고등정보교육과정인 J07-CS의 내용체계를 기반으로 구성된 과목과 비교하였다. 둘째, 교육부에서 제시하는 기본이수과목과 비교하고 셋째, 각 대학의 기본이 수과목 개설 현황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등 교사양성기관에서 개설되는 정보관련 과목 수는 J07-CS의 과목 수와 비교하여 부족하였다. 비교기준을 기본이수과목으로 한정해도 내용요소가 부족하였고, 교사양성기관별 기본이수과목의 개설 비율도 낮았다. 2018년부터 실시되는 정보교육의 목표를 원활이 달성하기 위해서는 중등 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이 시급하다.
Since 2018, the level of informatics education that is mandatory in junior high schools depends on the subject matter expertise of Informatics & Computer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secondary teacher training institutes provide curriculum that guarantees the subjectivity of Informatics & Computer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first compares curriculum courses for educating Informatics & Computer teachers of Korea secondary teacher training institutes with subjects based on the content system of J07-CS, the informatics education in Japan. Second, we compare the basic subjects offe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ith the vocational subjects. Third, we analyzed the basic subjects of each 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umber of informatics-related courses opened by Korean secondary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number of subjects in J07-CS. Even though the standard of comparison was limited to basic subjects, the content elements were insufficient, and the ratio of the basic subjects of each university was low.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informatics education from 2018, it is urgent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secondary education teachers.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컴퓨팅 사고력 | 컴퓨팅 사고력이란? |
컴퓨팅 파워를 활용하여 문제 해결할 것을 전제로 데이터 수집, 분석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컴퓨팅 사고력은 컴퓨팅 파워를 활용하여 문제 해결할 것을 전제로 데이터 수집, 분석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컴퓨팅 사고력은 모든 학문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에 각 국가들은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해 교육과정을 개정하였다. |
컴퓨팅 사고력 향상 |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해 각 국가들은 어떻게 대응하였나? |
2013년 인도와 영국이 교육과정을 개정하였고, 영국은 2014년 9월부터 실행 중이다[1][2]. 핀란드는 2014년 개정, 2015년 한국, 그리고 일본은 2016년에 새로운 교육과정을 발표하였다[3][4][5]. 미국의 CSTA도 2016년 교육과정 표준을 새롭게 구성하였다
컴퓨팅 사고력은 모든 학문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에 각 국가들은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해 교육과정을 개정하였다. 2013년 인도와 영국이 교육과정을 개정하였고, 영국은 2014년 9월부터 실행 중이다[1][2]. 핀란드는 2014년 개정, 2015년 한국, 그리고 일본은 2016년에 새로운 교육과정을 발표하였다[3][4][5]. 미국의 CSTA도 2016년 교육과정 표준을 새롭게 구성하였다[6]. |
교육과정 | 학교 수준에서 교육과정 목표 달성을 주도하는 것은 무엇인가? |
교사의 전문성
국가 주도의 교육과정 개정은 국가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학교 수준에서 교육과정 목표 달성을 주도하는 것은 교사의 전문성이다[7]. 불확정적이며 역동적인 교육현장에서 변화하는 패러다임을 학생들에게 전달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교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