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다양성 수용도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Openness to Diversity on Creativ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ith a Focus on Mediating Effec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3 no.3, 2017년, pp.241 - 251  

박주영 (건양대학교) ,  우정희 (건양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acceptance of divers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ffects creativity and to verify empirically the role of individual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and unlearning competency in such influence relations. Methods: This study surveyed 209 n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다양성 수용도, 창의성, 협동학습역량, 폐기학습역량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다양성 수용도와 창의성의 관계에서 협동학습역량과 폐기학습역량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양성 수용도란? 다양성 수용도는 그 개인 주변의 다양한 요인을 받아들이고자 하는 열린 태도(Pascarella, Edison, Nora, Hagedorn, &Terenzini, 1996)로써 다양성 수용도의 측정도구는 Pascarella등(1996)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Lee (2014)가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도구를 이용하였다. 총 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며, 대학생들이 자신과 다른 사고방식이나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과 소통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지,다른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과목을 수강할 의지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지문들로 구성되었다.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한계점은?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은 다양성을 근간으로 하는 글로벌 시대에 맞는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민주시민을 키우는 교육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Kim & Huh, 2013). 하지만, 대학교육 현장에서 다양성 수용도가 창의성에 미치는 요인(Joo & Park, 2016, Lee, 2014)으로 나타나고 있고 정부가 창의적 인재양성에 주력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교육현장에서는 다양성 수용수준을 높이고 창의성을 키워낼 동력을 적절히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Kim et al., 2009).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공통점은? 세계시민교육은 인권, 평화, 정의, 비차별, 다양성, 지속가능발전 등 인류 보편적 가치에 기초를 둔 총체적 인간형성에 필요한 사회적, 정신적 역량 개발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Kim,2015), 국내에서는 다문화교육이라는 용어로 더 많이 세계시민성을 기르는 교육을 해 왔다.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은 다양성을 근간으로 하는 글로벌 시대에 맞는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민주시민을 키우는 교육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Kim & Huh, 2013). 하지만, 대학교육 현장에서 다양성 수용도가 창의성에 미치는 요인(Joo & Park, 2016, Lee, 2014)으로 나타나고 있고 정부가 창의적 인재양성에 주력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교육현장에서는 다양성 수용수준을 높이고 창의성을 키워낼 동력을 적절히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J. H., & Lim, J. Y. (2013).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ity-relatedness, cognitive flexibility, and team creativity in engineering desig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6(4), 3-8. 

  2. Choi, Y. C. (2011). A study on art education utilizing cooperative learning of constructivism. The Korean Journal of Arts Education, 9(2), 1-17. 

  3. Hedberg, B. (1981). How organizations learn and unlearn. In P. C. Nystorm & W. H. Starbuck (Eds.), Handbook of organizational design, vol. 1.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4. Hoogland, J. J., & Boomsma, A. (1998). Robustness studie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26(3), 329-367. 

  5. Hur, Y. J. (2016). The effect of Havruta teaching methods on university students' individual and group creativit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0(3), 73-106. 

  6. Jenkins-Farve, D. (2004). Community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collaborative learning in developmental writing classes: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promote positive active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CA. 

  7. Joo, Y. J., & Park, N. S. (2016).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openness to diversity, absorptive capacity, unlearning capacity, individual creativity of natural sciences college students: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6), 247-269. 

  8. Kang, M. H., Ryoo, D. H., & Kim, S. H. (2016).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openness to diversity, learning goal orientation, empowerment, creativity of natural scienc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7(1), 95-119. 

  9. Kim, D. I., Oh, H. S., Song, Y. S., Koh, E. Y., Park, S. M., & Jung, E. H. (2009). Exploring students' core competencies in higher education from professors' perspectives: A case stud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sian Journal of Education, 10(2), 95-214. http://dx.doi.org/10.15753/aje.2009.10.2.007 

  10. Kim, E. K., Lee, K. H., & Lew, K. H. (2010). Th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creative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10(2), 5-26. 

  11. Kim, J. H. (2015). 2015 Global education forum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global agenda. Education Forum, 263, 12-14. 

  12. Kim, J. H., & Huh, Y. S. (2013). Understand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haracteristics, conceptual relation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3), 155-181. 

  13.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5). 2015 summer special report: 2015 Achievements and future challenges of the World Education Forum. Chungcheongbuk-do: Education Development. 

  14. Kwon, J. E. (2011).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reativity to organizational creative product in entertainment media compan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of Korea, Seoul. 

  15. Lee, H. S. (2014). The impact of university students' openness to diversity on creativity: The mediating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and unlearning compete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of Korea, Seoul. 

  16. Lee, J. H., Lee, J. K., Kim, H. S., & Park, J. H. (2011). The effects of R&D team's diversity and cohesion on team creativity: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s function as a creative role model.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35(3), 171-197. 

  17. Lee, K. H. (2016). The effects of emotional leadership on workers in game industry: The meditator effect of unlear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of Korea, Seoul. 

  18. Lee, M., Lee, H. S., & Choe, I. S. (2012). A study on awareness of university students about creativity education depending on major field.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0(3), 353-376. 

  19. Millis, B. J. (2010). Why faculty should adopt cooperative learning approaches. In B. J. Millis (Ed.), Cooperativ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Sterling, VA: Stylus Publisher. 

  20. Navarro, J. G. C., & Moya, B. R. (2005). Business performance management and unlearning process. Knowledge and Process Management, 12(3), 161-170. 

  21. Park, J. H. (2011). Study of abilities required to develop for student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1), 74-87. 

  22. Pascarella, E. T., Edison, M., Nora, A., Hagedorn, L. S., & Terenzini, P. T. (1996). Influences on students' openness to diversity and challenge in the first year of colleg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67(2), 147-195. 

  23. Runco, M. A., Plucker, J. A., & Lim, W. (2001).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integrity of a measure of ideational behavior.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3(3 & 4), 393-400. 

  24. Ryoo, D. H., Kang, M. H., & You, J. W. (2015).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capital, creative personality, learning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reativity & Problem Solving, 11(3), 143-167 

  25. Son, S. N. (2014). A didactical reflection on character education in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8(2), 11-41. 

  26. Song, H. D. (2003).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role-playing on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in a computer-mediated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9(4), 101-116. 

  27. Um, H. M., Kang, S. R., & Kim, M. S. (2011). The effect of team diversity on knowledge creation: With conflict and absorptive capacity.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18(1), 101-123. 

  28. World Economic Forum (2015). Geneva, shaping the future of education, gender and work. Retrieved April 9, 2017, from the World Economic Forum Web site: http://www3.weforum.org/docs/WEF_Shaping_the_Future_of_Education_Gender_and_Work_2P_140916.pdf.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Health in 2015: From MDGs to SDG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30. Yu, H. S. (2015). The influence of empowering leadership on follower's innovation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un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of Korea,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