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임상현장에서 예측 불가능한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간호사들은 다양한 핵심역량 중에서도 창의성을 함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추후 전문직 간호사로써 역할을 수행해야하는 간호대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분석 연구로, 본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해 D시의 일개 간호대학 20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창의성과 자기효능감(r=.374, p<.001), 사고력(r=347, p<.001), 학교환경 인식(r=.246, p<.001)은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대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기효능감(${\beta}=0.249$, p=.001), 사고력(${\beta}=0.152$, p=.043), 학교환경인식(${\beta}=0.188$, p=.005)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의 창의력에 대한 설명력은 21.2%로 나타났다. 추후, 간호대학생의 창의성 개발을 위한 교육방법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creativ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should act as professional nurses in the future. In order to carry out this research, the data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209 nursing college stud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창의성 증진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서 추후 간호대학생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K대학 병원의 윤리심의 위원회 승인을 받았으며, D시에 일개 간호대학 20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논의에서는 현재 간호대학생의 창의성, 자기효능감, 사고력, 학교환경 인식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논하고자 하며, 본 연구의 최종결과인 간호 대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고찰함으로써 추후 간호대학생의 창의력 증진을 위한 방안을 생각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대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따라서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 사고력, 학교환경 인식정도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21.2%로 나타났다.
간호과정 중 간호사의 창의성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왜냐하면 병원 임상현장은 예측하지 못한 응급상황이 수시로 발생하며, 이러한 불확실성이 높은 응급상황에서 간호사는 적절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간호사는 환자상태에 따른 개별적인 간호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환자를 사정하고, 계획하며, 수행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간호사의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능력은 환자에게 유용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4,6].
간호사의 임상실무 수행을 위한 핵심역량은 무엇인가? 간호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역량은 매우 다양하다.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은 간호사의 임상실무 수행을 위한 핵심역량으로 ‘전인간호를 위한 교양/전공지식’, ‘간호술의 통합적용 능력’, ‘대상자 건강향상을 위한 전문분야간의 의사소통/협동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법적/윤리적 책임’, ‘리더십능력’, ‘연구수행능력’, ‘글로벌 보건의료 정책 변화 대응능력’ 등을 제시하고 있다[7]. 뿐만 아니라 과학 이자 예술이라는 간호지식과 기술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간호대학생의 창의성은 다양한 역량을 함양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 K., Cheung, E. Rudowicz, X. Yue, A. S. F. Kwan, "Crea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What is the Impact of Field and Year of Study",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ol. 37, No. 1, pp. 42-63, 2003. 

  2. D. I. Kim, H. S. Oh, Y. S. Song, E. Y. Koh, S. M. Park, E. H. Jung, "Exploring Students' Core Competencies in Higher Education from Professors' Perspectives: A Case Stud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SNU)",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 10, No. 2, pp. 195-214, 2009. 

  3. Z. C. Chan, "A Systematic Review of Creative Thinking/Creativity in Nursing Education", Nurse Education Today, Vol. 33, No. 11, pp. 1382-1387, 2013. 

  4. H. S. Park, J. Y. Han,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Fundam Nurs, Vol. 20, No. 4, pp. 438-448, 2013. 

  5. M. A. Runco, "Creativity: Theories and Themes: Research, Development, and Practice", Seoul: Sigma press, 2006. 

  6. R. G. Kalischuk, K. Thorpe, "Thinking Creatively: From Nursing Education to Practi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Vol. 33, No. 4, pp. 155-163, 2002. 

  7. Y. I. Han,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ie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ployment Strategie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3, pp. 144-152, 2016. 

  8. S. O. Kang, "Effects of Creative Nursing Practice on Hospital Nurs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 Korean Acad Nurs Admin, Vol. 18, No. 2, pp. 234-243, 2012. 

  9. S. M. Han, "How Does the Environment Shape Creativit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Vol. 5, No. 2, pp. 167-188, 2006. 

  10. O. H. Kim, J. J. Sun, J. H. Kong, "The Relationship among Creativity, Personal Responsibility Orient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7, No. 5, pp. 2809-2821, 2015. 

  11. M. J. Choi, "The Effect of Creative Problem-solving Program on Creativity and Creative 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EN, Vol. 10, No. 2, pp. 165-173, 2016. 

  12. H. H. Han, M. S. Lee, H. Y. Hong, "The Effect of Action Learning Teaching-Learning Method Applied to Nursing Students in U Cit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17(2), 17-30, 2016. 

  13. Y. S. Song, The Effect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Developing Creativity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Vol. 13, No. 2, pp. 184-191, 2016. 

  14. S. J. Han, The impact of TBL(team-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11, pp. 595-602, 2013. 

  15. S. H. Yan, I. O. Sim,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reativity, Self Efficacy and Nursing Process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6, No. 5, pp. 612-622, 2016. 

  16. S. M. Lee, H. H. Lee, Assessment of Creativity: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Inspection Tools, Hakjisa, 2015. 

  17. M. Sherer, J. E. Maddux, "The self efficacy scale: Contraction and validation", Psychol Rep, Vol. 51, No. 2, pp. 663-667. 1982. 

  18. A. Y. Kim, J. E. Cha, "Measure of Self-efficacy",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Proceedings of the Winter Conference, pp. 51-64, 1996. 

  19. A. Y. Kim, A Study on the Academic Failure-Tolerance and Its Correlate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11, No. 2, pp. 1-19, 1997. 

  20. K. H. Lee, E. K. Kim, J. Y. Ko, C. S. Park, "Development of Learning Competence Test for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Cognitio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behavior",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25, No. 4, pp. 791-809, 2011. 

  21. H. S. Ki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Creative Home & School Environmental Measurem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ifted and Talented, Vol. 3, No. 2, pp. 69-84, 2004. 

  22. S. Y. Kang,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to Creative Disposition and Ability in University Students Major in Health Care'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ol. 14, No. 3, pp. 49-66, 2009. 

  23. H. W. Kwak, J. E. Yi, "Rel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linical Stres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2, pp. 147-155, 2016. 

  24. K. H. Lee, E. K. Kim, K. H. Lew, "The Relationships of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otivation in College Students", Korean Society for Creativity Education, Vol. 13, No. 1, pp. 125-139, 2013. 

  25. S. Y. Kang, H. J. Kim, "Creative Ability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Problem Solving Proces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3, pp. 1122-1128, 2012. 

  26. R. S. Tannenbaum, "Education or Training: Reflections on a Life in Computing", Educom Review, Vol. 34, No. 1, pp. 10-14, 1999. 

  27. E. H. Park, H. S. Kim, J. O. Kim, "The Effect of Convergence Action Learning Techniques in Simulation Clas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 241-248, 2015. 

  28. S. Y. Kang, "Relationships of Self-Efficacy to Creative Disposition and Ability in University Students Major in Health Care",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ol. 14, No. 3, pp. 49-66. 2009. 

  29. B. G. Bak, H. S. Kang.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Report form of Integrative Creativity Scal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20, No. 1, pp. 155-177, 2006. 

  30. M. J. Choi, The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elf-Efficacy, School Life Adjustment, and Creative Disposi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 thesis, 2006. 

  31. E. I. Jung, "Effect of Problem Solving Discussion Activities on College Students' Creativity.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 10, No. 2, pp. 27-49. 2009. 

  32. K. H. Lee, "Effects of the CPS Programs using Scientific Tales on the Children's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Vol. 17, No. 2, pp. 269-286. 2005. 

  33. K. H. Lew, S. M. Kang, "The Differences of Creativity according to Level of Creative Environment in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Vol. 15, No. 3, pp. 169-184, 2015. 

  34. W. H. Moon. Y. J. Kim,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Major Converged Short-term Study Abroad Program', Korean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2, pp. 1-11, 2015. 

  35. J. H. Kim, 'Mannequin Simulation in the Health Science', Korean Convergence Society, Vol. 21, No. 3, pp. 104-112,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