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경제활동자의 구강검진 수진 영향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2014) 자료를 바탕으로
Factors Influencing the Regular Oral Check-Ups: Based on the Data of the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7 no.4, 2017년, pp.323 - 332  

김동휘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행정학과) ,  서영준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세 이상 경제활동자의 구강검진 수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4) 자료를 이용하여 복합표본설계로 분석하였다. 구강검진 여부에 응답한 2,843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20세 이상 경제활동자의 건강검진 수진율은 66.5%, 구강검진 수진율은 30.1%로 건강검진 수진율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소인성 요인에 따른 구강검진 수진 여부를 비교한 결과 연령에서 40대(34.3%)와 50대(34.3%)가 가장 높고, 30대(30.1%), 20대(27.5%), 전기노인(24.9%), 후기노인(12.0%) 순이었다. 셋째, 가능성 요인에서는 개인소득이 상위집단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구강검진 수진율이 높았다. 개인소득이 하위그룹에 비해 상위그룹이 구강검진을 받을 확률이 1.50배 높았고, 대졸 이상인 사람에 비해 초졸 이하인 사람은 0.37배, 중졸인 사람은 0.49배 구강검진을 받을 확률이 낮았다. 건강보험종류에 따라 직장보험(33.5%) 가입자가 지역보험(24.2%) 가입자에 비해, 민간의료보험 가입자(31.7%)가 비가입자(22.7%)에 비해 구강검진 수진율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필요성 요인에서는 치통을 경험한 사람(36.9%)이 치통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25.9%)에 비해, 구강검진 수진 확률이 0.55배 낮았다. 영구치우식 유병자(23.2%)가 영구치우식 비유병자(33.0%)보다 구강검진 수진 확률이 0.62배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20세 이상 경제활동자의 구강검진 수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료자원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외적요인인 가능성 요인(개인소득, 교육수준, 건강보험종류, 민간의료보험가입 여부), 상병의 수준을 의미하는 필요성 요인(치통 경험 유무, 영구치우식유병 여부), 질병 이전부터 존재해 온 개인의 특성을 의미하는 소인성 요인(연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과적인 구강검진 및 치료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구강관리라는 행태적 요인뿐만 아니라 의료자원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가능성, 소인성, 필요성 등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본 연구결과는 시사해 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 on whether to receive regular oral check-ups amo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beneficiaries with income and aged over 20 years in Korea.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data from the 2014 6th Korea National Health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세 이상 경제활동자의 구강검진 수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4) 자료를 이용하여 복합표본설계로 분석하였다. 구강 검진 여부에 응답한 2,843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이용 연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온 앤더슨 모형을 사용하여 20세 이상 경제활동자를 대상으로 소인성, 가능성, 필요성 요인별로 구강검진 수진율의 차이를 분석하고, 그들의 구강검진 수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지역 및 직장 국가구강검진제도를 통해 정기적 구강건강관리가 가능하지만, 경제활동으로 인해 시간적 여유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20세 이상 중장년층과 고령으로 인해 활발한 경제활동 능력이 떨어져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층까지 포함한 모든 경제활동자를 대상으로 구강검진 수진율을 확인하고 구강검진 수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전국적 대표성을 지닌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 2차년도(2014) 자료를 이용하여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구강검진 수진율을 확인하고, 둘째,소인성, 가능성, 필요성 요인별 구강검진 수진 여부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고, 셋째, 구강검진 수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구강검진 수진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에서 ‘구강질환 예방과 치과의료 이용의 불평등을 완화하여 국민 구강건강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구강보건정책의 기본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성인 정기 구강 검진 수진율을 국가검진사업과 개별적으로 받은 구강검진을 포함하여 2020년까지 40% 수준으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그러나 실제로는 구강 검진 및 치료가 필요하더라도 경제활동으로 인한 시간 부족으로 구강관리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계층이 많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대상으로 구강검진 수진율을 확인하고 구강검진 수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 및 직장 국가구강검진제도를 통해 정기적 구강건강관리가 가능하지만, 경제활동으로 인해 시간적 여유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20세 이상 중장년층과 고령으로 인해 활발한 경제활동 능력이 떨어져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층까지 포함한 모든 경제활동자를 대상으로 구강검진 수진율을 확인하고 구강검진 수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전국적 대표성을 지닌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 2차년도(2014) 자료를 이용하여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구강검진 수진율을 확인하고, 둘째,소인성, 가능성, 필요성 요인별 구강검진 수진 여부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고, 셋째, 구강검진 수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구강검진 수진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검진과 같은 조기 진단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지원은? 국민건강보험관리공단은 구강검진의 질과 수진율을 높이기 위해 2010년부터 구강검진기관 당연지정제가 아닌 구강검진 교육을 이수한 치과의사만이 구강검진을 할 수 있는 구강검진기관 지정제로 전환하면서 치과(병)의원을 지정해 영유아 구강검진부터 초등학생, 직장인 등의 구강검진을 시행해 오고 있다. 그러나 구강검진을 받기가 수월해졌음에도 불구하고 2015년 국가구강검진 대상자의 수진율은 31.
보편적인 중대 구강상병 두 가지는? 보편적으로 구강건강을 위협하는 중대 구강상병은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이다1). 치아우식증은 치통을 유발하여 극심한 스트레스를 줄 수 있으며 정상적인 저작에 어려움을 겪게 할 수 있고, 치주질환 역시 기능적인 장애를 유발하고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2).
구강질환과 치아 손실이 미치는 영향은? 치아우식증은 치통을 유발하여 극심한 스트레스를 줄 수 있으며 정상적인 저작에 어려움을 겪게 할 수 있고, 치주질환 역시 기능적인 장애를 유발하고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2). 구강건강은 일생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전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구강질환과 치아 손실은 기능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3). 이러한 구강질환은 적절한 시기에 치과를 방문하여 치료 받으면, 조기 발견하여 예방할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ugoson A, Norderyd O: Has the prevalence of periodontitis changed during the last 30 year? J Clin Periodontal 35(8 Suppl): 338-345, 2008. 

  2. Do LG, Spencer A: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children by dental caries and fluorosis experience. J Public Health Dent 67: 132-139, 2007. 

  3. Gerritsen AE, Allen PF, Witter DJ, Bronkhorst EM, Creugers NH: Tooth los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ealth Qual Life Outcomes 8: 126, 2010. 

  4. Mueller CD, Schur CL, Paramore LC: Access to dental care in the United States. J Am Dent Assoc 129: 429-437, 1998. 

  5.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5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NHIS Publishing, Wonju, p.598, 2015. 

  6. Lee YS, Jung SH, Lee KS: The research on an actuarial budget of insurance payment for some items of preventive dental service. J Korean Acad Oral Health 27: 539-551, 2003. 

  7.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5 national health screening statistical yearbook. Retrieved May 8, 2015, from http://www.nhis.or.kr/menu/retriveMenuSet.xx?menuIdF3328.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4th report on establishing the 4th health plan (2016-2020). Ministry of Health Welfare, Seoul, pp.214-219, 2015. 

  9. Choi ES, Kim MN, Noh SM, Park JE: Factors affecting dental service utilization of adult. J Dent Hyg Sci 15: 67-76, 2015. 

  10. Jeon JE, Chung WG, Kim NH: The reason of unmet dental need related socioeconomic status in Korea: using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J Korean Acad Oral Health 36: 73-81, 2012. 

  11. Shin BM, Bae SM, Yoo SH, Shin SJ: Oral health and occupational status among Korean adults. J Dent Hyg Sci 16: 225-234, 2016. 

  12. Lee HS: Factors affecting dental utilization of women: (an) application of the Andersen-Newman model. J Korean Acad Oral Health 18: 513-525, 1994. 

  13. Jeong GC, Lee HS, Kim SN: A study on the dental services utilization by application of the Andersen model in students of some Korean university. J Korean Acad Oral Health 27: 357-373, 2003. 

  14. Jang HM, Hwang SJ: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national oral examination for workers in Incheon and Daejeon. J Dent Hyg Sci 14: 516-524, 2014. 

  15. Park KY, An HG: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 examination in middle-aged men in Korea-using data from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J Korean Data Anal Soc 18: 1035-1049, 2016. 

  16. Jung SH: Strategies and educational manuals to improve national oral examination program.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pp.15-16, 2009. 

  17. Jung YH: Korea health panel’s view on the restricted activity and unmet medical need. Korea Inst Health Soc Aff Issue Focus 120: 1-8, 2012. 

  18. Lee SY: The association of dietary habits and socioeconomic factors in dental caries in Korean adults (from the 2001 Korean National Examination Health and Nutrition Survey). J Korean Acad Dent Hyg 12: 349-366, 2010.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pp.119-120, 2010. 

  20. Roberts-Thomson KF, Stewart JF: Access to dental care by young South Australian adults. Aust Dent J 48: 169-174, 2003. 

  21. Kim YI: A study on some workers' effective oral health behavior and workplace oral examination. J Korean Soc Dent Hyg 13: 239-247, 2013. 

  22. Park HR: A study on the status of oral health and oral health attitude of workers in industries. J Dent Hyg Sci 6: 177-186,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