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천·대전지역 근로자의 직장구강검진 인식 및 만족도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National Oral Examination for Workers in Incheon and Daejeon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4 no.4, 2014년, pp.516 - 524  

장혜미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황수정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직장구강검진의 인식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직장구강검진의 수검률을 높일 방안을 제안하고자, 편의추출된 대전과 인천지역 20개 사업장 근로자 중 본 조사에 동의한 379명을 대상으로 2014년 6월 30일부터 7월 30일까지 근로자의 직장검진, 직장구강검진의 수검현황과 만족도, 건강행위의도 등을 조사 분석하고, 종사업종, 고용형태, 월급여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1. 직장건강검진 수검경험은 76.0%였으며, 직장구강검진 수검경험은 51.7%였고, 회사에서 직장건강검진 고지는 64.9%이었고, 직장구강검진 고지는 28.2%였다. 2. 직장구강검진 결과에 따라 치료할 용의가 있음은 3점 척도에서 $2.75{\pm}0.52$, 구강검진 결과에 따라 스케일링할 용의가 있음 $2.72{\pm}0.57$, 구강검진 결과에 따라 잇솔질 방법을 변화할 용의가 있음 $2.69{\pm}0.66$, 건강검진의 필요성 $2.69{\pm}0.96$, 직장구강검진의 필요성 $2.68{\pm}0.66$, 직장구강검진이 구강건강유지에 도움이 됨 $2.61{\pm}0.59$, 직장건강검진이 건강유지에 도움이 됨 $2.61{\pm}1.14$로 타 문항에 비해 긍정적이었다. 3. 종사업종 별로는, 사무직이 회사로부터 직장건강검진 및 구강검진 수검에 관한 공지 받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치료에 대한 금전적 여유가 유의하게 높았고, 영업직은 음주자제 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고용형태 별로는, 정규직이 직장건강검진 경험, 주기적 직장검진, 직장에서의 건강검진 고지, 내원검진, 직장구강건강검진 경험에서 유의하게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의료진의 태도 만족, 구강검진결과에 따른 스케일링 의향, 금연에 대한 의도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5. 200만원 월급여를 기준으로, 200만원 미만이 직장건강검진 경험, 주기적 직장검진, 직장에서의 직장검진 고지, 내원검진, 직장구강검진 경험, 직장에서의 직장구강검진 고지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나, 만족도에 있어서는 금전적 여유를 제외하고는 차이가 없었고, 건강행위에서는 주기적 운동과 구강보조용품 사용에 있어 200만원 이상이 더 긍정적으로 답변하였다. 구강검진결과에 따라 잇솔질 방법 개선, 스케일링, 치과치료에 대한 의향은 매우 긍정적이었으므로, 국가구강검진 수검률을 높이고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과 치과계의 관심이 필요하며 경제적 고용환경이 열악한 근로자들에 대한 국가 구강검진에 대한 적극적 홍보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orkers' oral health is important to guarantee workers' right of health and increase productiv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national oral examination for workers in Incheon and Daejeon. Three hundred seventy-nine workers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검진이란 증상이 없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조기에 질병을 발견하고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는 건강검진기본법6)을 시행하여 국가건강검진기관평가 실시근거가 법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모자보건법과 영유아보건법에 영유아에 대한 건강검진, 학교보건법에 따른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건강검사, 청소년복지지원법에 따른 청소년 건강진단,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건강검진,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일반건강진단, 의료급여법에 따른 건강검진 등 생애주기별로 지속적인 국가 건겅검진을 시행하고 있다.
  • 직장 구강검진수검자율이 감소 되면 치과진료수진율도 감소하고 근로자들의 구강질환이 방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직장구강검진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인천광역시 및 대전광역시 근로자를 중심으로 직장구강검진의 인식 및 만족도에 대해 단면조사 연구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직장구강검진의 인식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직장구강검진의 수검률을 높일 방안을 제안하고자, 편의추출된 대전과 인천지역 20개 사업장 근로자 중 본 조사에 동의한 379명을 대상으로 2014년 6월 30일부터 7월 30일까지 근로자의 직장검진, 직장구강검진의 수검현황과 만족도, 건강행위의도 등을 조사 분석하고, 종사업종, 고용형태, 월급여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인 구강검진 수검률은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 그러나 성인 구강검진 수검률이 2000년에 34.5%에서 2010년 20%대로 일반검진 수검률의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 직장 구강검진수검자율이 감소되면 치과진료수진율도 감소하고 근로자들의 구강질환이 방치될 수 있다.
구강병 관리를 함으로써 얻게 되는 결과는 어떤 것으로 보이는가? 24일이었고 근로자의 약 50%가 구강병으로 인한 경제손실경험이 있으며 18%가 구강병으로 인한 근로손실경험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2). 직장 내에서 근로자들을 위한 구강건강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근로자의 기능상실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근로 장애를 줄임으로써 생산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3,4).
산업구강보건은 무엇인가? 산업구강보건은 근로자의 건강권을 보장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노동정책의 일부일 뿐만 아니라, 구강병을 예방하고 발생된 구강병을 조기에 발견 치료하며, 구강병으로 인하여 상실된 치아기능을 재활시키는 구강보건의 일부이다1). 2003년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구강병에 기인하여 2주간에 발생한 근로손실은 근로자 1,000명당 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Lee TH, Ra SJ, Kim JB: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s for oral health among industrial employees. J Korean Acad Dental Health 21: 279-300, 1997. 

  2. The Korean Industrial Dental Health Association: A forum about oral health management program of workers. J Korean Industr Dent Health 13: 331-345, 2004. 

  3. Lee JH, Jeon ES, Lee HJ: A study on recognition and behavior of oral health promotion for worker in the Hyundai motor company. J Dent Hyg Sci 12: 47-54, 2006. 

  4. Reisine ST: Dental disease and work loss. J Dent Res 63: 1158-1161, 1984. 

  5. Minisitry of Labor: Worker's health examination. Retrieved October 6, 2014, from http://www.moel.go.kr/oneclick/work17/health/rule.html(2009, August 7). 

  6.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Framework act on health examination. Retrieved October 6, 2014, from http://www.law.go.kr/lsSc.do?menuId0&subMenu1&query%EA%B1%B4%EA%B0%95%EA%B2%80%EC%A7%84 (2010, May 31). 

  7. Minisitry of Labor: Worker's health examination. Retrieved October 6, 2014, from http://www.gunch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7028(2013, October 17). 

  8.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Oral health act. Retrieved October 6, 2014,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29333#0000(2012, October 22). 

  9.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Treatment cost statistical indices.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Seoul, 2010. 

  10. Chamberlain J, Moss S: Evaluation of cancer screening. 1st ed. Springer, Berlin, pp.1-13, 1996. 

  11. Wilson JMG, Jungner G: Principles and practice of screening for disease. J R Coll Gen Prac 16: 318, 1968. 

  12. Moon HK: Satisfaction and effect of health examination according to health recognition and health habit of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eon Universiy, Daejeon, 2003. 

  13. Yoo JS, Kim SB, Kang PS: Demand of work-sit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employees. Korean J Occup Med 8: 239-248, 1996. 

  14. Kim HS: A study on the efficient policy of health examination based on comparing private health sector with public health sect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2010. 

  15. Kim YI: A study on some workers' effective oral health behavior and workplace oral examination. J Korean Soc Dent Hyg 13: 239-247, 2013. 

  16. Yoon MS, Kwon HJ: A study on oral health behavior of the industrial workers. J Korean Acad-Industr Soc 14:2802-2811, 2013. 

  17. Choi MH: A survey research on industrial workers' oral examination status and oral health educational request level. J Korean Soc Dent Hyg 10: 185-195, 2010. 

  18. Yang SG: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the form of employment to oral health behavior among some workers in the city of Iks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2010. 

  19. Shin YS: A study on satisfaction with health examination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a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4. 

  20. Choi HS: A research on how national medical examination service have effects on health promo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2012. 

  21. Koh DH, Kim HD, Moon HS, et al.: Factors influencing post dental care of annual oral examination for workers in Korea. J Korean Industr Dent Health 12: 85-97, 2003. 

  22. Choi JH, Cho HJ, Bae KH, Jin BH, Paik DI: Expert's opinions on the national oral health examination evaluation system. J Korean Acad Oral Health 36: 153-160, 2012. 

  23. Kim EJ, Bae KH, Jung SH, Jin BH: Development of a national oral health screening program. J Korean Acad Oral Health 37: 248-252, 2013. 

  24. Goh SY: A plan for managing constant workers' oral health. J Korean Industr Dent Health 6: 58-65, 1997. 

  25. Park HR: A study on the status of oral health and oral health attitude of workers in industries. J Dent Hyg Sci 6: 177-186, 2006. 

  26. Lee JT: The evaluation for oral examination by using of intra-oral camera.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y, Cheonan, 2012. 

  27. Shin MJ: Study on the requirement of panoramic radiograph for improvement of the periodic oral examin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08. 

  28. Jang BJ, Choi YH: Factors influencing on intention of dental care utilization after annual dental examination for workers in Daegu, Korea. J Dent Hyg Sci 9: 579-586,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