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주민들의 구강검진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관리행태 (2014년도 지역사회 건강조사 경남지역 자료이용)
Oral health care behavior according to dental screening of local community residents (Using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2014)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8, 2017년, pp.265 - 272  

윤현서 (동의대학교 치위생학과) ,  채유정 (동의대학교 보건의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4년도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하는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경상남도 지역주민 17810명을 대상으로 구강검진 여부와 건강관리행태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SPSS ver. 23.0을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에서 구강검진 경험은 남자, 30-49세, 시 지역 거주, 대졸 이상, 가구소득 월 600 이상,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높았다. 구강건강관리에서 구강검진 경험은 스켈링을 하고, 점심 식 후 칫솔질, 취침 전 칫솔질, 4회 이상 칫솔질을 하는 경우 높았다. 생활습관에서 구강검진 경험은 음주를 하는 경우, 만성질환 유무에서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 심근경색증 및 협심증의 만성질환에 노출되지 않은 경우 구강검진 경험이 높았다. 주관적 건강인식(3.28점)과 주관적 구강건강인식(2.87점)은 구강검진 경험이 있는 경우 높았다(p<0.001). 따라서 구강검진 여부가 주관적 건강인식수준과 생활습관이나 만성질환과 관련이 있어 현재 구강검진 수진율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정기적인 구강검진에 대한 인식도를 증진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또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ntal screening and health care behaviors for 17810 residents of Gyeongsangnam-do province using the data of the community health survey conducted in 2014. The SPSS ver. 23.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he residents were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전신질환과 구강병 예방을 위한 구강건강관리행태의 특성과 구강검진 수진율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2014년 경상남도 지역사회 건강조사자료를 사용하여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관리 행태가 구강검진 유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주민들의 구강검진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관리행태를 분석하기 위해 2014년 경남지역 지역사회 건강조사를 분석하여 구강검진유무와 구강건강관리 행태 및 만성질환 이환유무를 조사하여 경남지역 주민들의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구강검진여부에 따른 건강관리행태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201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로 경상남도 17,810명을 대상으로 자료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활습관 중 건강에 매우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생활습관 중 흡연, 음주, 영양섭취, 운동 및 정신적 스트레스와 우울은 보건의료와 건강에 매우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6]. 흡연은 특히 구강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구강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 건강을 어떻게 규정하는가? 세계보건기구에서 건강은 질병이나 손상이 없을 뿐만 아니라 육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라고 규정하고 있으며[1], 건강에 대한 형평성은 모든 사람이 자신의 건강 잠재력을 달성 할 수 있는 공정한 기회를 가지는 것을 의미하며 불이익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2].
보건복지부와 관련 기관에서 건강증진정책을 수립, 시행하는 목적은? 우리나라는 1995년 1월 국민건강증진법을 개정하고, 여러 차례 개정을 통하여 “국민에게 건강에 대한 가치와 책임의식을 함양하도록 건강에 관한 올바른 지식을 보급 하고 스스로 건강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국민의 건강증진”을 목적하고 있다[3]. 이러한 법에 근거하여 보건복지부와 관련기관에서는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해마다 다양한 건강증진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 A. Kim, J. S. Kim, H. S. Woo, S. J. Lee, S. Y. Lee, H. O. Lee, Y. H. Jang, J. H. Jang, J. H. Jung, H. I. Choi, J. Y. Han, "Public Health", 2th ed, Komoonsa, Seoul, pp. 3-22, 2016. 

  2. World Health Organization, "Health equity", http://www. who.int/topics/health_equity/en/, 1948. 

  3.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National Health Promotion ACT", 1995, http://www.law.go.kr/lsInfoP. do?lsiSeq188082&efYd20170603#0000, 2016. 

  4. S. H. Park, "Health Promotion Policy Development",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12, http://www. khealth.or.kr/c/35, 2012. 

  5. Royal Australian College of General Practitioners. Smoking, Nutrition, Alcohol and Physical activity (SNAP). A population health guide to behavioral risk factors in general, practice. The Royal Australian College of General Practitioners, 2004. 

  6. I. S. Kim, "Smoking and health", Th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 20, no. 8, pp. 825-30, 1978. 

  7. V. Kerdvongbundit, U. M. Wikesjo, "Effect of smoking on periodontal health in molar teeth", J Periodintal, vol. 71, no. 3, pp. 433-437, 2000. DOI: https://doi.org/10.1902/jop.2000.71.3.433 

  8. M. S. Tonetti, "Cigarette smoking and periodontal disease.: etiology and management of disease". Ann periodontology, pp. 88-101, 1988. 

  9. J. H. Kim, K. U. Kim, "The Influence of Oral Health Behavior and Periodontal Status of the People who Experienced Scaling in Dental Hygienics on their OHIP-14",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1, pp. 461-468, 2013. DOI: https://doi.org/10.14400/JDC.2014.12.11.461 

  10. S. H. Song,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Oral Care Habits and Oral Health Status of the Middle and Elderly Residents in Dongg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ntistry, Gwangju, 2011. 

  11. E. S. Lee, K. M. Kim, H. J. Kim, "Status of oral health in relation to the acknowledgement of oral health trouble and oral health habits in recipients of dental screening in hospital",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10, no. 2, pp. 121-131 , 2016. DOI: https://doi.org/10.12811/kshsm.2016.10.2.121 

  12. K. E. Powell , P. D. Thompson , C. J. Caspersen , J. S. Kendrick, "Physical activity and the incid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Annu Rev Publi Health, Vol. 8, pp. 253-287, 1987. DOI: https://doi.org/10.1146/annurev.pu.08.050187.001345 

  13. M. A. Jeong, J. H. Kim, "Association between cardiovascular disease and periodontal",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2, no. 4, pp. 47-52, 2011. 

  14. H. S. Seok, S. H. Kang, "A study on the regional variation of hypertension medication rat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9, pp. 255-265, 2013. 

  15. I. S. A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and oral health status of male worker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Yeungnam university, Gyeongbuk, 2009. 

  16. M. H. Jung, J. H. Kim, "Association between cardiovascular disease and periodontal disease prevale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2, no. 4, pp. 47-52, 2011. 

  17. Health plan, "Managing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and Onset Risk Factors-Oral Health", http://www.khealth.or.kr/hp2020/busi.do?pgNosub27, 2014. 

  18. J. Y. Yeo, H. S. Jeong, "Determinants of dental screening and unmet dental needs :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ographical accessibility and economic affordailit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vol. 18, no. 4, pp. 109-126, 2012. 

  19. J. B. Kim, Y. J. Choi, H. S. Moon, J. B. Kim, D. K. Kim, I. A. Su, D. Y. Park, "Public oral health science", 4th ed, Komoonsa, Seoul, 2005. 

  20. J. M. Lee, "Level of alameda 7 health behaviors execution by the age bracket and socioeconomic class and their influences on self rated health in korean adults", Department of public health, Inje University, Busan, 2011. 

  21. C. H. Kim, D. H. Kwon, E. S. Lee, S. J. Lee , E. H. Park , J. Y. Park, "The study on the oral health research according to smoking behavior", J of korean academy of dental administration, vol. 4, no. 1, pp. 15-27, 2016. 

  22. M. H. Kim, "Analysis of factor rrelationship between senior citizen'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chronic disease", Daegu hanny university, Daegu, 2010. 

  23. G. S. Han, K. H. Bae, M. I. Lee, J. S. Choi, "Evaluation of periodontal statu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and health behavior characteristics", J dent hyg sci, vol. 8, no. 4, pp. 395-401,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