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nitary evaluation of seawater and Pyropia sp. laver collected from the five major laver growing areas in Korea was performed four times over the course of a year. The seawater quality in four of these five areas was regarded as the clean area according to Korean criteria, but the seawater at on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의 식품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첫 단계인 김 생산해역에 대한 위생학적 평가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우리나라 해역 내 김 양식시설의 약 75%를 차지하고 김 양식산업이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는 전남 해역 4개소[신안,완도, 진도(해남), 고흥(장흥)]와 전국 김 양식시설의 약 8%를 차지하고 전국 최대규모 김 가공특화단지를 확보하고 있는 충남 서천 해역 1개소(KMI, 2015)에 해수 및 물김 조사지점을 설정하여 얻은 위해요소 분석결과를토대로 김 생산단계에서의 위생상태를 평가하고 이에 대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 The station No. 10 of seawater sampling stations in laver growing area, Seochen was exceeded by the standard of Korea Criteria for the clean are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조류는 어떠한 용도로 확대되고 있는가? 해조류는 식품으로서의 기능 외에도 의약품, 사료, 비료 등으로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으며(Cardozo et al., 2007; Kim et al.,2013), 최근에는 바이오 에너지 및 소재 산업뿐만 아니라 생리활성물질 추출을 통한 기능성 건강식품과 화장품 개발에도 관여하고 있어 식품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고부가가치 산업분야에서 그 용도가 확대되고 있다(Choi et al., 2014; Bae et al.
김 생산해역에 대한 주기적인 위해성 평가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현재 주요 김 수출국으로 미국, 일본, 태국, 중국 등이 있지만, 김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명목으로리콜 조치 요구 또는 폐기처분이 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경제적 손실 발생과 함께 이에 대한 대책이 점차 요구되고 있으므로, 앞으로의 김 산업 육성 및 수출증대와 어민들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여러 수입국에서 요구하고 있는 위생·안전성 기준에 맞춘 김 생산 및 가공과정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Ock, 2010). 또한 김 양식이 이뤄지는 연안에도 점차 도시화 및 산업화가 진행되어 위생지표세균 및 중금속 오염도의 심화로 오염된 김을 섭취했을 경우 인체에 위해성을 줄 수 있으므로, 김 생산해역에 대한 주기적인 위해성 평가가 필요하다(Mallin et al., 2000; Glasoe et al.
김 관련 제품의 수출량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인 이유는 무엇인가? , 2016). 특히 해조류 중에서도 김은 탄수화물과 단백질이 각각 약 40%와 30-40% 정도를 함유하고 있고, 이중 탄수화물의 대부분은 다당류에 속하는 식물성 섬유질이라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각광받고 있다(Jimenez-Escrigand Sanchez-Muniz, 2000; Lee and Lee, 2014). 또한 칼슘, 마그네슘, 요오드, 철분, 아연 및 망간 등과 같은 무기질도 약 10% 정도로 풍부하고 균형 있게 함유되어 있어 국내 해조류 소비량 중에서도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Kim et al., 2014). 김 생산량에 있어서도 해조류 총 생산량 약 120만톤 중 약 40만톤이 김 생산량으로, 단일 품종으로는 약 32%로 해조류 양식산업에서 두 번째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FAO, 2015). 이에 따라 김 관련 제품의 수출량이 2016년 기준 약 1만8천톤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며, 수출 금액으로는 3억5천만 달러로 수산물 가공 제품 중에서도 단연 1위인 가장 대표적인 품목으로 급부상하고 있다(MOF,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OAC International. 2002. AOAC guidelines for single laboratory validation of chemical methods for dietary supplements and botanicals. Gaithersburg, MD, U.S.A. 

  2. APHA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1970. Recommended procedures for the examination of seawater and shellfish. 4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1-47. 

  3. Bae JH, Jung H and Kim MJ. 2015. Economic feasibility and impact analysis on energy transformation project of macro-algae biomass. New and Renewable Energy 6, 29-38. https://doi.org/10.7849/ksnre.2015.06.11.2.29. 

  4. Cardozo KHM, Guaratini T, Barros MP, Falcao VR, Tonon, AP, Lopes NP, Campos S, Torres MA, Souza AO, Colepicolo P and Pinto E. 2007. Metabolites from algae with economical impact. Comp Biochem Physiol C Toxicol Pharmacol 146, 60-78. https://doi.org/10.1016/j.cbpc.2006.05.007. 

  5. Choi M, Yoo DI and Shin Y. 2014. Preparation of lip balm utilizing functionalities of colorants extracted from marine algae. Text Color and Finish 26, 124-130. https://doi.org/10.5764/tcf.2014.26.2.124. 

  6. Delbecque N and Verdoodt A. 2016. Spatial pattern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by urbanization. J Environ Qual 45, 9-17. https://doi.org/10.2134/jeq2014.11.0508. 

  7. European Commission. 2004. Regulation (EC) No 854/2004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9 April 2004 laying down specific rules for the organization of official control on products of animal origin intended for human consumption. Offic J Europ Commun 47, L139, 206-321. 

  8. 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5. Global Statistical Collections: Fisheries and Aquaculture Information and Statistics Branch. Retrieved from http://www.fao.org/fishery/statistics/en on Feb 25, 2017. 

  9.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98.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ual (BAM), 8th edition, Revision 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New Hampshire, MD, U.S.A. Retrieved from https://www.fda.gov/food/foodscienceresearch/laboratorymethods on Feb 5, 2016. 

  10. Glasoe S and Christy A. 2004.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Coastal urbanization and microbial contamination of shellfish growing areas. Puget Sound Action Team, Olympia, WA, U.S.A., 1-28 

  11. Jimenez-Escrig A and Sanchez-Muniz FJ. 2000. Dietary fiber from edible seaweeds: chemical structur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effects on cholesterol metabolism. Nutr Res 20, 585-598. https://doi.org/10.1016/s0271-5317(00)00149-4. 

  12. KFDA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6. Korea Food Code, Chatper 9, Microbial Testing Method for E.coli and Pathogenic Bacteria (Salmonella spp., Shig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Korea. Retrieved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 on Feb 3, 2016. 

  13. Kim JH, Kang HM, Lee SH, Lee JY and Park LY. 2015. Antioxidant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of seaweed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26, 290-296. https://doi.org/10.11002/kjfp.2015.22.2.290. 

  14. Kim KW, Hwang JH, Oh MJ, Kim MY, Choi MR and Park WM. 2014. Studies on the major nutritional components of commercial dried lavers (Porphyra yezoensis) cultivated in Korea. Korean J Food Preserv 21, 702-709. https://doi.org/10.11002/kjfp.2014.21.5.702. 

  15. Kim KY and Yoon SY. 2013. A study on 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 for the HACCP system construction of seasoned laver. J Environ Health Sci 39, 268-278. https://doi.org/10.5668/jehs.2013.39.3.268. 

  16. Kim SY, Park CJ, Nam WS, Kim JM, Lee JH, Noh JK, Kim HC, Park JW and Hwang IJ. 2013. Comparison of formulated feed and two seaweed-based diets on growth of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Korean J Malacol 29, 233-238. https://doi.org/10.9710/kjm.2013.29.3.233. 

  17. Kim YJ, Oh HS, Kim MJ, Kim JH, Goh JB, Choi IY and Park MK. 2016. Identification of electron beam-resistant bacteria in the microbial reduction of dried laver (Porphyra tenera) subjected to electron beam treatment. J Korean Soc Food Preserv, 23, 139-143. https://doi.org/10.11002/kjfp.2016.23.1.139 

  18. KMI (Korea Maritime Institute). 2015. Monthly report (December issue) on statistical data for seaweeds including laver and sea mustard. Retrieved from http://www.foc.re.kr on Dec 29, 2015. 

  19. Lee M and Lee Y. 2014. Effects of seaweeds consumption on obesity and food intake. J Korea Cont Assoc 14, 478-485. http://dx.doi.org/10.5392/JKCA.2014.14.12.478. 

  20. Mallin MA, Williams KE, Esham EC and Lowe RP. 2000. Effect of human development on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in coastal watersheds. Ecol Appl 10, 1047-1056. https://doi.org/10.2307/2641016. 

  21.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3. Classification Standard of sedentary Fisheries growing area. The Notification 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No. 2013-154. 

  22.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6. Import/Export Trade Statistics in Fisheries Information Service. Retrieved from http://www.fips.go.kr on Feb 5, 2017. 

  23. Ock YS. 2010. Some schem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n laver industry. J Fish Bus Adm 41, 25-44. 

  24. Ok HY, Kim MS, Park SG and Kim SJ. 2007. Contents of lead, mercury, and cadmium in seaweeds collected in coastal area of Korea. Anal Sci Technol 20, 227-236. 

  25. Qiao Y, Yang Y, Gu J and Zhao J. 2013. Distribution and geochemical speciation of heavy metals in sediments from coastal area suffered rapid urbanization, a case study of Shantou Bay, China. Mar Pollut Bull, 68, 140-146.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12.12.003. 

  26. Ra CH, Sunwoo IY and Kim SK. 2016. Bioethanol production from macroalgal biomass. J Life Sci 26, 976-982. http://dx.doi.org/10.5352/JLS.2016.26.8.976. 

  27. Ra K, Kim ES, Kim KT, Kim JK and Lee JM. 2012. Assessment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the surface sediments along the coast of Korea. J Coast Res 65, 105-110. https://doi.org/10.2112/si65-019.1. 

  28. Singh RP and Reddy CR. 2014. Seaweed-microbial interactions: key functions of seaweed associated bacteria. FEMS Microbiol Ecol 88, 213-230. https://doi.org/10.1111/1574-6941.12297. 

  29. Son KT, Kwon JY, Jo MR, Choi WS, Kang SR, Ha NY, Shin JW, Park K and Kim JH. 2012. Heavy metals (Hg, Pb, Cd) content and risk assessment of commercial dried laver Porphyra sp. Korean J Fish Aquat Sci 45, 454-459. https://doi.org/10.5657/kfas.2012.0454. 

  30. Todd KE and Campbell AR. 2002. Growing area 1508 sanitary survey report. Marlborough Public Health Unit, Marlborough, New Zealand, 58. 

  31. Walters SP, Thebo AL and Boehm AB. 2011. Impact of urbanization and agriculture on the occurrence of bacterial pathogens and stx genes in coastal waterbodies of central California. Water Res 45, 1752-1762. https://doi.org/10.1016/j.watres.2010.11.032. 

  32. Yang, WH, Lee HJ, Lee SY, Kim SG and Kim GB. 2016. Heavy metal contents and food safety assessment of processed seaweeds and cultured lavers. J Korean Soc Mar Environ Energy 19, 203-210. https://doi.org/10.7846/jkosmee.2016.19.3.2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