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아동센터 급식관리 질 향상을 위한 니즈 분석
Needs for Improving Quality of Foodservice Management at Community Child Center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0 no.4, 2017년, pp.749 - 758  

권수연 (호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eds to improve the quality of foodservice management in community child centers (CCCs), in accordance to the area where the CCC was located. The people in charge of foodservice management of 466 community child centers undertook a web survey, between July to August 2016...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급식관리에 대한 선행연구는 주로 어린이집(Rho 등 2009;Sohn & Park 2011), 학교(Chyun 등 1999; Lee 등 2002; Park& Lim 2005; Youn 등 2009)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일부 진행된 지역아동센터의 급식관리에 대한 연구는 부산지역(Lee JS 2014), 제주지역(Jo AN 2016), 대구․경북(Park SH2014) 등 단일 지역의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전국 단위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급식관리 운영 현황 및 급식관리 질 향상을 위한 니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가 위치한 지역에 따라 급식관리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급식관리 질 향상으로 위하여 요구되는 니즈를 분석하여 지역아동센터의 급식관리 향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아동센터는 무엇인가? 지역아동센터는 아동복지법에 근거하여 설치된 아동복지시설의 하나로 지역사회 아동이 건전하게 육성될 수 있도록 보호, 건전한 놀이와 오락 제공, 교육실시, 급식제공 등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다. 지역아동센터는 빈곤지역을 중심으로 비영리민간으로 운영되다가 아동보호 및 양육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2004년에 아동복지시설로 변경되었다(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7a).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들의 비율은 어떻게 되는가? 2015년 말 기준, 전국적으로 4,102개소의 지역아동센터가 설립되어 운영 중이며, 해당 지역아동센터에서 109,661명의 아동들이 급식서비스 및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Headquarters for Community Child Center 2016).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은 가정에서 부모의 보호나 양육이 적절히 수행되기 어려운 환경에 처한 아동으로 전체 아동 중 일반 아동은 14.4%에 불과하며, 기초수급권 아동(17.0%),차상위 아동(20.6%), 기타 보호와 지원이 필요한 아동(48.0%)이 주를 이룬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Headquarters for Community Child Center 2016).
지역아동센터에서 제공하는 급식은 어떤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는가? 그러나 지역아동센터의 급식관리는 영양적 및 위생적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여름방학 중 지역아동센터를 통해 급식을 제공받은 아동의 에너지 및 단백질, 칼슘 등의 영양소 섭취수준이 해당 연령의 영양섭취기준에 충족하지 못하였으며(Kwon 등 2010), 지역아동센터 급식의 배식량 측정 결과, 메뉴로 제공되는 모든 음식은 배식량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Kwon & Yeoh 2015). 또한, 대구․경북지역 지역아동센터 급식시설의 청결도 연구에 의하면, 사용하고 있는 칼과 도마의 부적합 비율이 각 62.5%,42.9%로 나타났다(Park SH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yun JH, Choe EC, Hong SY, Woo KJ, Kim YA. 1999. A study on food service administration and nutri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Inchon. Korean J Dietary Culture 14:417-429 

  2. Headquarters for Community Child Center. 2012. Healthy foodservice guidelines of community child centers. pp.1-109. Design Wix 

  3. Jo AN. 2016.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 Jeju. Master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4. Kim JJ. 2011.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local child care center's management status of meal systems and satisfaction research-Focused on Gyeonggi province Korea. Master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5. Kim MS, Kim HR, Cho AJ, Lee HW, Hong M, Kim, HJ. 2007. Status on foodservice program for low-income children. Report of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Seoul,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pp. 23-231 

  6. Kim, JE, Do YK. 2016. A study on foodservice experience and health improve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Community Child Centers in Korea. Studies on Korean Youth 27:125-148 

  7. Kookminib. 2017. Seoul city promotes the supply of more than 70% of eco-friendly foodstuffs to public food facilities in all boroughs. 30 September 2016 

  8. Kwon S, Lee K, Yoon J. 2010. Diet of children under the govenment-funded meal support program in Korea. Nutr Res Pract 4:515-521 

  9. Kwon SY. 201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support mode for foodservice management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 Korea.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0. Kwon SY, Yeoh YJ. 2015. Status of meal serving and nutritional quality of foods served for children at community child centers in Ko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5:352-362 

  11. Lee JS. 2014. Food service status 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in Busan. J Korean Diet Assoc 20:50-62 

  12. Lee SE, Shim JE, Kwon SY, Yeoh YJ, Yoon JH. 2014. Recommendation of serving size of the meal service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9:361-371 

  13. Lee YE, Yang IS, Cha JA, Chae IS, Kang HS. 2002. School food service in Korea: Investigation of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7:361-372 

  14. Lim JH. 2012. Nutrition status and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mong elementary students attending community child center in Dong-gu, Ulsan-city. Master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7. The status of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Available from https://ccfsm.foodnara.go.kr [cited 31 March 2017] 

  16.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7a. Child welfare act. Available from http://www.moleg.go.kr. [cited 31 March 2017] 

  17.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7b. Enforcement rule of the food sanitation act. Available from http://www.moleg.go.kr. [cited 31 March 2017] 

  18.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7c. The elderly welfare act. Available from http://www.moleg.go.kr. [cited 31 March 2017]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Comprehensive Survey of Children. p.225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Headquarters for Community Child Center. 2016. 2015 Report of Current Status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 Korea. pp.33-48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2016 Management Manual for Community Child Center. pp.9-147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7. Children Feel Happy when they Receive Integrated Welfare Services at Community Child Center 

  23. Park SH. 2014. Evaluation on sanitation and investigation of management of foodservice facilities in community child centers in Daegu and Gyeong buk area. Master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Korea 

  24. Park SH, Lim YH. 2005. A study on the sanitary management of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Daejeon and Chungnam. Korean J Community Nutr 10:234-242 

  25. Rho JO, Lee EP, Lee JS. 2009. Assessment of food 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child care centers operated by various types of foundations in the Chonbuk area of Ko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5:74-83 

  26. Segyeilbo. 2016. Child care center and welfare facilities in Seoul: Establishment of eco-friendly public food service system. 30 November 2016 

  27. Sohn CY, Park HO. 2011. A survey on the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at child care centers in Gyeonggi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577-586 

  28. Shim JE, Yoon J, Lee K, Kwon S. 2009. Evaluation of dietary intake of Korean school-aged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by comparing with the Korean food guide: Analysis of the data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42:691-701 

  29. Youn JS, Kim OS, Hwang SY, Chung YK, Kang KO. 2009. The status of foodservice operations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management for school dietitians in the Kyunggi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256-2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