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8년간 체중, 허리둘레, 비만 유병률의 변화 및 체중증가와 관련된 식이 요인 :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의 종단연구 자료
Changes in weight, waist circumference, prevalence of obesity, and dietary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 gain over 8 years in Korean adults: Longitudinal data from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0 no.4, 2017년, pp.336 - 349  

손임휘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영희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현태선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에서 수집한 2001~2002년 기반조사 자료와 2009~2010년 4차 추적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건강한 한국 성인 3,506명의 8년 동안의 체중 변화를 파악하고, 체중 증가와 관련된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식이요인을 분석하였다. 신장은 8년 동안 남자의 경우 평균 0.3 cm, 여자의 경우 0.4 cm가 감소하였으며, 체중은 남자 0.35 kg, 여자 0.65 kg 감소하였다. 허리둘레는 남자 1.71 cm, 여자는 1.85 cm 증가하였고, BMI는 남자에게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여자는 $0.2kg/m^2$ 감소하였다. BMI $25kg/m^2$ 이상의 비만율 수치가 남자는 34.5%에서 33.5%, 여자는 38.0%에서 36.7%로 감소하였으며, 복부비만율은 남자가 14.8%에서 22.2%, 여자는 28.8%에서 35.4%로 증가하였다. 기반조사에서 BMI를 기준으로 정상체중군, 과체중군, 비만군으로 분류된 집단 중 정상체중군과 비만군의 약 80%는 8년 후에도 분류 집단이 유지된 반면, 과체중군은 60% 미만이 유지되고, 약 20% 내외가 각각 정상군 또는 비만군으로 바뀌었다. 8년 동안의 체중증가에 영향을 준 일반적 특성은 남녀 모두 연령이었으며, 남자의 경우 흡연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여자의 경우 도시거주자, 40대, 대졸이상, 소득수준이 높은 집단, 음주군의 체중 감소량이 적었다. 허리둘레는 남자의 경우 거주지역,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직업, 흡연 여부에 따라, 여자의 경우 거주지역, 교육수준, 소득수준, 직업, 흡연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BMI 변화에 따라 체중감소군, 체중유지군, 체중증가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8년 동안 BMI가 $1kg/m^2$이 증가한 집단은 전체의 19.5%이었으며, BMI가 $1kg/m^2$이 감소한 집단은 23.0%이었고, 남녀 모두 비슷한 분포이었다. 체중증가군은 체중, 허리둘레, BMI가 모두 증가한 집단으로 이들의 에너지 섭취량을 에너지필요추정량의 비율로 계산하여 비교한 결과 남녀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당이 많이 들어 있는 가공식품 또는 음료의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체중증가군의 커피믹스와 우유의 섭취량이 체중 감소군의 섭취량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국민들이 선호하는 커피믹스와 장기간의 체중증가와의 관련성을 제시하여 앞으로 비만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과 건강증진 전략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changes in weight, waist circumference (WC), and prevalence of obesity over 8 years as well as investigate demographic and dietary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 gain in Korean adults. Methods: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is an ongo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신장을 고려하여 비만을 판정하는 지표로 사용되는 BMI를 기준으로 하여 BMI가 1 kg/m2 이상 증가한 집단을 체중증가군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기반조사에서의 평균 신장은 남자 166.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에서 수집한 2001~2002년 기반조사 자료와 2009~2010년 4차 추적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건강한 한국 성인의 8년 동안의 체중, 허리둘레, 비만율의 변화를 파악하고, 체중증가를 BMI 1 kg/m2 증가로 정의하여 식이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이 초래할 수 있는 문제는? 비만은 지난 수십년동안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가장 심각한 건강문제 중의 하나이다.1 비만은 당뇨, 고지혈증, 고혈압, 심장질환, 암 등 여러 만성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의료비용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 저하, 사회생활의 어려움, 식이장애 등의 심리적인 문제도 야기시킨다.1,2 일단 비만이 된 후에는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비만이 되기 전에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며, 비만예방을 위한 개인적 노력 뿐 아니라 정부의 체계적인 정책도 필요하다.
외국에서 연구한 체중증가와 관련된 식이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체중증가와 관련된 식이 요인에 대한 외국의 종단연구 결과로는 당이 첨가된 음료 섭취,11,12 유제품,13,14 견과류,15 튀긴 음식16 등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체중증가와 관련된 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유제품의 섭취빈도가 높은 집단에서 비만율이 낮았다는 최근의 보고가 있을 뿐이다.
홍콩에 거주하는 중국인 2,941명을 대상으로 2003년과 2006년의 허리둘레, BMI를 비교한 결과는 어떠한가? 연령별로는 35~44세의 집단에서만 BMI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65세 이상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본 연구결과와 비슷하였다. 그러나 홍콩에 거주하는 중국인 2,941명을 대상으로 2003년과 3년 후 신체계 측치를 비교한 결과34 평균 BMI는 22.8에서 23.1로 증가하였고, 허리둘레로 판정한 복부비만은 남자는 23.0%에서 26.1%, 여자의 경우 30.0%에서 38.1%로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World Health Organ Tech Rep Ser 2000; 894: i-xii, 1-253. 

  2. Abdelaal M, le Roux CW, Docherty NG.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obesity. Ann Transl Med 2017; 5(7): 161. 

  3. World Health Organization Western Pacific Regio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Pty Limited; 2000.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Internet]. Sej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cited 2017 May 10].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main.do. 

  5. Bae NK, Kwon IS, Cho YC. Ten year change of body mass index in Korean: 1997-2007. Korean J Obes 2009; 18(1): 24-30. 

  6. Ball K, Crawford D. Socioeconomic status and weight change in adults: a review. Soc Sci Med 2005; 60(9): 1987-2010. 

  7. Paige E, Korda RJ, Banks E, Rodgers B. How weight change is modelled in population studies can affect research findings: empirical results from a large-scale cohort study. BMJ Open 2014; 4(6): e004860. 

  8. Ball K, Crawford D, Ireland P, Hodge A. Patterns and demographic predictors of 5-year weight change in a multi-ethnic cohort of men and women in Australia. Public Health Nutr 2003; 6(3): 269-281. 

  9. Meltzer AA, Everhart JE. Self-reported substantial 1-year weight change among men and women in the United States. Obes Res 1995; 3 Suppl 2: 123s-134s. 

  10. Martikainen PT, Marmot MG.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weight gain and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of coronary risk factors. Am J Clin Nutr 1999; 69(4): 719-726. 

  11. Schulze MB, Manson JE, Ludwig DS, Colditz GA, StampferMJ, WillettWC, Hu FB. Sugar-sweetened beverages, weight gain,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in young and middle-aged women. JAMA 2004; 292(8): 927-934. 

  12. Bes-Rastrollo M, Sanchez-Villegas A, Gomez-Gracia E, Martinez JA, Pajares RM, Martinez-Gonzalez MA. Predictors of weight gain in a Mediterranean cohort: the Seguimiento Universidad de Navarra Study 1. Am J Clin Nutr 2006; 83(2): 362-370. 

  13. Louie JC, Flood VM, Hector DJ, Rangan AM, Gill TP. Dairy consumption and overweight and obesity: a systematic review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Obes Rev2011; 12(7): e582-e592. 

  14. Martinez-Gonzalez MA, Sayon-Orea C, Ruiz-Canela M, de la Fuente C, Gea A, Bes-Rastrollo M. Yogurt consumption, weight change and risk of overweight/obesity: the SUN cohort study. Nutr Metab Cardiovasc Dis 2014; 24(11): 1189-1196. 

  15. Martinez-Gonzalez MA, Bes-Rastrollo M. Nut consumption, weight gain and obesity: epidemiological evidence. Nutr Metab Cardiovasc Dis 2011; 21 Suppl 1: S40-S45. 

  16. Sayon-Orea C, Bes-Rastrollo M, Basterra-Gortari FJ, Beunza JJ, Guallar-Castillon P, de la Fuente-Arrillaga C, Martinez-Gonzalez MA. Consumption of fried foods and weight gain in a Mediterranean cohort: the SUN project. Nutr Metab Cardiovasc Dis 2013; 23(2): 144-150. 

  17. Lee HJ, Cho JI, Lee HS, Kim CI, Cho E. Intakes of dairy products and calcium and obesity in Korean adult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2007-2009. PLoS One 2014; 9(6): e99085. 

  18. Chung S, Ha K, Lee HS, Kim CI, Joung H, Paik HY, Song Y. Soft drink consump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only in Korean women: data from the 2007-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etabolism 2015; 64(11): 1477-1484. 

  19. Song F, Oh JE, Lee KW, Cho MS. The effect of coffee consumption on food group intake, nutrient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of Korean adults-2010 KNHANES (V-1). NFS J 2016; 4: 9-14. 

  20. Lee S, Park HS, Kim SM, Kwon HS, Kim DY, Kim DJ, Cho GJ, Han JH, Kim SR, Park CY, Oh SJ, Lee CB, Kim KS, Oh SW, Kim YS, Choi WH, Yoo HJ. Cut-off points of waist circumference for defining abdominal obesity in the Korean population. Korean J Obes 2006; 15(1): 1-9. 

  21. Ahn Y, Lee JE, Paik HY, Lee HK, Jo I, Kimm K. Development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based on dietary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 Sci 2003; 6(3): 173-184. 

  22.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revision edition.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23. Ahn Y, Kwon E, Shim JE, Park MK, Joo Y, Kimm K, Park C, Kim DH. Validation and reproducibility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 genome epidemiologic study. Eur J Clin Nutr 2007; 61(12): 1435-1441.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25. Lee MS, Kim JH, Lee BS, Lee YN, Son SM, Lee JW. Nutritional assessment. 4th edition. Paju: Kyomoonsa; 2016. 

  26.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KR);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A survey on consumption and consuming behavior of processed foods in 2015 [Internet]. Naju: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2015 [cited 2017 Jun 23]. Available from: http://www.atfis.or.kr/article/M001040000/view.do?articleId2061&page&search-Key&searchString&searchCategory. 

  27. Williamson DF. Descriptive epidemiology of body weight and weight change in U.S. adults. Ann Intern Med 1993; 119(7 Pt 2): 646-649. 

  28. Kuczmarski RJ.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weight gain in the United States. Am J Clin Nutr 1992; 55(2 Suppl): 495S-502S. 

  2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Internet].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cited 2017 May 10].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main.do. 

  30. Ebrahimi-Mameghani M, Scott JA, Der G, Lean ME, Burns CM. Changes in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over 9 years in a Scottish population. Eur J Clin Nutr 2008; 62(10): 1208-1214. 

  31. Tanamas SK, Shaw JE, Backholer K, Magliano DJ, Peeters A. Twelve-year weight change, waist circumference change and incident obesity: the Australian diabetes, obesity and lifestyle study. Obesity (Silver Spring) 2014; 22(6): 1538-1545. 

  32. Matsushita Y, Takahashi Y, MizoueT, Inoue M, Noda M, Tsugane S; JPHC Study Group. Overweight and obesity trends among Japanese adults: a 10-year follow-up of the JPHC Study. Int J Obes (Lond) 2008; 32(12): 1861-1867. 

  33. Hou X, Jia W, Bao Y, Lu H, Jiang S, Zuo Y, Gu H, Xiang K. Risk factors for overweight and obesity, and changes in body mass index of Chinese adults in Shanghai. BMC Public Health 2008;8(1): 389. 

  34. Ho LM, Wang MP, Ho SY, Lam TH. Changes in individual weight status based on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in Hong Kong Chinese. PLoS One 2015; 10(3): e0119827. 

  35. Droyvold WB, Nilsen TI, Kruger O, Holmen TL, Krokstad S, Midthjell K, Holmen J. Change in height, weight and body mass index: longitudinal data from the HUNT Study in Norway. Int J Obes 2006; 30(6): 935-939. 

  36. Proietto J. Obesity and weight management at menopause. Aust Fam Physician 2017; 46(6): 368-370. 

  37.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KR);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A survey on current status of processed food market segmentation in 2012 - coffee mix [Internet]. Seoul: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2012 [cited 2017 Jun 23]. Available from: http://www.atfis.or.kr/article/M001050000/view.do?articleId512. 

  38.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KR);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A survey on current status of processed food market segmentation in 2016 - coffee market [Internet]. Naju: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2016 [cited 2017 Jun 23]. Available from: http://www.atfis.or.kr/article/M001050000/view.do?articleId2511. 

  39. Je Y, Jeong S, Park T. Coffee consumption patterns in Korean adults: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2011). Asia Pac J Clin Nutr 2014; 23(4): 691-702. 

  40. Shin J, Kim SY, Yoon J. Status of coffee intake in South Korea: analysis of 2007?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16; 27(1): 83-93. 

  41. Korea Consumer Agency. A report of quality test result for coffee mix [Internet]. Seoul: Korea Consumer Agency; 2014[cited 2017 Jul 3]. Available from: http://www.kca.go.kr/brd/m_46/view.do?seq1800&itm_seq_12. 

  42. Lee HS, Kwon SO, Yon M, Kim D, Lee JY, Nam J, Park SJ, Yeon JY, Lee SK, Lee HY, Kwon OS, Kim CI. Dietary total sugar intake of Korean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1. J Nutr Health 2014; 47(4): 268-276. 

  43. Kim HJ, Cho S, Jacobs DR Jr, Park K. Instant coffee consumption may be associated with higher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Diabetes Res Clin Pract 2014; 106(1): 145-153. 

  44. Kim JH, Park YS. Light coffee consumption is protective against sarcopenia, but frequent coffee consumption is associated with obesity in Korean adults. Nutr Res 2017; 41: 97-102. 

  45. Kim KY, Yang SJ, Yun JM. Consumption of instant coffee mix and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subjects that visited a health examination center in Gwang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7; 46(5): 630-6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