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휴대형 근적외선/가시광선 분광기를 이용한 의약품 분류기법
Classification of Tablets Using a Handheld NIR/Visible-Light Spectrometer 원문보기

韓國電磁波學會論文誌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28 no.8, 2017년, pp.628 - 635  

김태동 (국민대학교 전자공학과) ,  이승현 (국민대학교 전자공학과) ,  백경진 (국민대학교 전자공학과) ,  장병준 (국민대학교 전자공학과) ,  정경훈 (국민대학교 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의약품은 인간의 건강 및 생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증상에 맞는 의약품을 처방받아 복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더욱이 세계적으로 위조 의약품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정품 의약품들을 정확하게 분류하는 기술은 점점 중요해진다. 그러나 의약품을 제대로 분류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인력이 제한적이라는 측면에서 의약품을 자동적으로 분류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분광기를 이용하여 의약품의 근적외선 및 가시광선 스펙트럼을 추출하고, Support Vector Machine(SVM) 기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스펙트럼 데이터를 학습시켜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근적외선과 가시광선 스펙트럼 데이터를 사용하여 6종의 의약품을 학습시키고 분류하였을 때 평균적으로 99.9 %의 정확도를 얻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위조 의약품 검출을 위한 2단계 SVM 분류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품과 위조 의약품을 구분하는 정확도가 향상되고, 처리속도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important to prescribe and take medicines that are appropriate for symptoms, since medicines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health and life. Moreover, it becomes more important to accurately classify genuine medicines with counterfeit, since the number of counterfeit increases worldwide. Howev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서 보인 그림 2와 그림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VGR1(05)과 VGR2(06) 샘플은 각각 정품과 위조 의약품이기 때문에 나머지 4종의 의약품과는 달리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스펙트럼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정품과 위조 의약품 분류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2단계 SVM 분류 방법을 제안하였다.
  • 통신에 활용한 예로는 LED의 빠른 스위칭을 이용한 가시광통신, 레이저의 직진성을 이용한 레이저 통신 등이 있으며, 센싱에 활용한 예로는 펄스 레이저의 정밀한 거리 센싱 능력을 활용한 Light Detection and Ranging(LIDAR)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근적외선 및 가시광선 대역을 미래전파 응용 분야 중 하나인 전파센싱 분야에 적용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의약품 분류에 적용하고자 한다[1].
  • 위조 의약품의 종류와 개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유사한 색상과 형태의 의약품이 다수 존재하는 상황에서, 정확한 의약품을 올바르게 복용하기 위해서는 자동적으로의약품의 종류를 분류하고,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근적외선/가시광선을 활용한 휴대형 분광기를 이용하여 의약품을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근적외선/가시광선 분광기를 이용하여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데이터를 SVM 기법을 이용하여 학습한 뒤 최종적으로 의약품을 분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근적외선 및 가시광선 대역을 미래전파 응용 분야 중 하나인 전파센싱 분야에 적용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의약품 분류에 적용하고자 한다[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inkSquare 분광기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LinkSquare 분광기는 입사하는 빛을 발생하는 광원과 빛을 분광시키고, 경로를 조정하는 광학계, 그리고 영상 센서로 구성된다. 광원으로는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용으로두 개를 사용하며, 광학계는 파장별에 따라 굴절률이 달라지는 빛의 특성을 이용하여, 렌즈, 거울, 프리즘 등을 결합하여 구성된다.
자동적으로 의약품의 종류를 구분하고, 위조 의약품을 판별하는 방법이 필요한 이유는? 따라서 이를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판별 능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의사, 약사 또는 간호사처럼 숙련된 전문 인력은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문 인력을 대신하여자동적으로 의약품의 종류를 구분하고, 위조 의약품을 판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위조 의약품과 일반적 의약품의 구별이 어려운이유는? 위조 의약품은 일반적으로 진짜 의약품과 형태나 색상이 매우 유사하므로 구별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이를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판별 능력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장병준, 홍인기, 황선한, "전파의 원리와 이동통신 응용", 한국통신학회(정보와 통신), 32(9), pp. 4-12, 2015년 8월. 

  2. Pharmaceutical Security Institute, Counterfeit Situation, PSI Report, 2016. 

  3. WHO, "Growing threat from counterfeit medicines", Bull. World Health Organization, vol. 88, no. 4, pp. 241-320, Apr. 2010. 

  4. K. A. Deisingh, "Pharmaceutical counterfeiting", Analyst, vol. 130, pp. 271-279, 2005. 

  5. F. M. Fernandez, M. D. Green, and P. N. Newton, "Prevalence and detection of counterfeit pharmaceuticals: a mini review", Ind. Eng. Chem. Res., vol. 47, no. 3, pp. 585-590, 2008. 

  6. K. Degardin, Y. Roggo, and P. Margot, "Understanding and fighting the medicine counterfeit market", J. Pharm. Biomed. Anal., vol. 87, pp. 167-175, 2014. 

  7. S. Han, H. J. Bae, J. Kim, S. Shin, S.-E. Choi, S. H. Lee, S. Kwon, and W. Park, "Lithographically encoded polymer microtaggant using high-capacity and error correctable QR code for anti-counterfeiting of drugs", Adv. Mater., vol. 24, pp. 5924-5929, 2012. 

  8. 김정준, 김태훈, 류강수, 이대식, 이종학, 박길흠, "실시간 약통 분류를 위한 계층적 신경회로망",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23(3), pp. 226-231, 2013년 6월. 

  9. P. Y. Sacre, E. Deconinck, T. De Beer, P. Courselle, R. Vancauwenberghe, P. Chiap, J. Crommen, and J. O. De Beer, "Comparison and combination of spectroscopictechniques for the detection of counterfeit medicines", J. Pharm. Biomed. Anal., vol. 53, no. 3, pp. 445-453, 2010. 

  10. 정회일, 김효진, "근적외선 분광법의 원리", 분석과학, 13(1), pp. 138-151, 2000년 2월. 

  11. 윤성운, 김재열, 마상동, 김명윤, "근적외선 분광기술을 이용한 휴대용 감귤 당도 선과기 성능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산제조학회지, 15(5), pp. 1-6, 2006년 10월. 

  12. 이남윤, 배혜리, 노봉수, "근적외선 분광광도법을 이용한 송이버섯의 원산지 판별", 한국식품과학회지, 38(6), pp. 835-837, 2006년 12월. 

  13. F. E. Dowell, E. B. Maghirang, F. M. Fernandez, P. N. Newton, and M. D. Green, "Detecting counterfeit antimalarial tablets by near-infrared spectroscopy", J. Pharma. Biomed. Anal., vol. 48, no. 3, pp. 1011-1014, 2008. 

  14. K. Degardin, A. Guillemain, N. Viegas Guerreiro, and Y. Roggo, "Near infrared spectroscopy for counterfeit detection using a large database of pharmaceutical tablets", J. Pharm. Biomed. Anal., vol. 128, pp. 89-97, 2016. 

  15. A. Guillemain, K. Degardin, and Y. Roggo, "Performance of NIR handheld spectrometers for the detection of counterfeit tablets", Talanta, vol. 165, pp. 632-640, 2017. 

  16. 허아영, 최승원, 이재훈, 김태형, 박동조, "초분광 분해기의 광학계 설계 및 영상 처리",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13(2), pp. 328-335, 2010년 4월. 

  17. http://www.stratiokorea.com/korea/korea.asp 

  18. C. C. Chang, C. J. Lin, "LIBSVM: A library for support vector machines", ACM Trans. Intelligent Systems and Technology, vol. 2, no. 3, pp. 1-39, 2011. 

  19. C. J. C. Burges, "A tutorial on support vector machines for pattern recognition", Data Mining and Knowledge Discovery, vol. 2, pp. 121-167, 1998. 

  20. A. Savitsky, M. Golay, "Smoothing and differentiation of data by simplified least-squares procedures", Anal. Chem., vol. 36, no. 8, pp. 1627-1639, 19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