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 과제 탐구' 과목의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Mathematics Project Inquiry Subjec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6 no.3, 2017년, pp.319 - 340  

천선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이종학 (대구교육대학교) ,  김원경 (한국교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mathematics project inquiry subject. Since this subject is newly opened in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ere are no textbooks and materials. Hence it is required to help teachers plan lessons of the mathem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학 과제 탐구’ 과목의 성격은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에 부합하면서, 이전에 학습한 수학 내용을 더 깊이 탐구하거나 다른 교과와 수학을 융합한 흥미로운 수학 과제를 선정하고 탐구하는 경험을 통해 새로운 내용 지식의 습득과 함께 수학 과제 탐구의 목적과 방법, 절차,연구 윤리 등을 학습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신장된 탐구 능력이 이후에 다양한 학문 분야를 전공하는 데 기초가 되고, 나아가 창의적 역량을 갖춘 융합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교육부, 2015)
  • 본 연구에서는 ‘수학 과제 탐구’ 과목의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학습 목표를 달성하였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평가지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정한 주제에 대하여 학생들이 탐구 활동한 과정을 정리하고 반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탐구 활동지 3개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 또한, 도전적이며 교과와 주제의 핵심을 관통하고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것이어야 한다(Markham, Larmer, & Ravitz,2003). 본 연구에서는 팀 프로젝트 주제를 대 주제와 소주제로 구분하고, 주제 선정 과정에서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아우르면서 학생들이 흥미를 갖고 실제적인 조사와 탐구가 가능한 도전적이고 개방적인 추진 질문을 제시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 과제 탐구’ 과목의 교수·학습 방향과 Thomas(2000)의 주제 탐구형 자료의 준거를 참고하여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방향을 도출하고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수학 과제 탐구’ 과목의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 탐구 활동의 전 과정을 적절하게 평가·반성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탐구 능력을 신장시키는 기회가 되도록 한다.

가설 설정

  • (6) 자기평가의 항목이 너무 많은 것 같아 비슷한 범주는 하나로 묶을 수 있을 것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 과제 탐구 능력은 어떤 학문 분야를 탐구하는 능력인가? 수학 과제 탐구 능력은 자연계열, 이공 계열, 경상 계열 등의 학문 분야를 탐구하는 능력의 기초이며 융합인재로 성장하는데 기반이 되는 능력이다. 이와 같은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개설되는 ‘수학 과제 탐구 과목’에서 다루는 내용은 [표 1] 과 같다(교육부, 2015)
‘수학 과제 탐구’ 과목은 무엇인가? ‘수학 과제 탐구’ 과목은 학생들 스스로 관심과 흥미가 있는 수학 과제를 선정하여 탐구하는 경험을 통해 수학 과제 탐구 능력을 향상시키기를 원하는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과목으로, 타 교과를 학습하는 데 기초가 되며 나아가 창의적 역량을 갖춘 융합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교육부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Curriculum. Sejong : Ministry of Education..) 

  2. 김계수 (2015). 빅데이터 분석과 메타분석, 서울: 한나래.(Kim, K. S. (2015). Big data analysis and meta analysis, Seoul: Hannarae.) 

  3. 남형채, 류성림 (2000). 수학 수업에서 학생의 자기평가 방법, 과학.수학 교육연구 제23집, 55-71.(Nam, H. C. & Ryu, S. L. (2000). Student's self-assessment method in mathematics lesson, Science & Mathematics Educational Research 23, 55-71.) 

  4. 박경미, 임재훈 (1999). 수학과 수행평가 프로젝트법의 의의와 실제. 학교수학 1(2), 723-745.(Park, K. M. & Lim, J. H. (1999). Significance and practice of performance assessment project in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2), 723-745.) 

  5. 박소정, 김방희, 김진수 (2012). 중학교 전자 기계 기술 단원에서 활용할 오토마타 만들기 STEAM 수업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2), 199-220.(Park, S. J., Kim, B. H., & Kim, J. S. (201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utomata STEAM Instruction Material in Electromechanical Technology Unit at Middle School, Journal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12(2), 199-220.) 

  6. 부성미, 박찬정 (2003). 협동학습에서 팀 구성원의 자기 및 동료평가를 위한 평가문항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6(4), 1-10.(Bu, S. M., & Park, C. J. (2003).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for self and peer assessment of team members in coorperative learning,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6(4), 1-10.) 

  7. 송상헌 (2004). 수학 영재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TM 2004-1-2. 87-105, 서울; 한국교육개발원.(Song, S. H. (2004). Practic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program for the gifed, TM 2004-1-2, 87-105,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mt Institute.) 

  8. 이민희, 임해미 (2013). 수학사를 활용한 융합적 프로젝트기반학습(STEAM PBL)의 설계 및 효과 분석, 학교수학 15(1), 159-177.(Lee, M. H. & Lim, H, M. (2013). A Design and Effect of STEAM PBL based on the History of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5(1), 159-177.) 

  9. 이수현, 김민경 (2016). 수학에 대한 태도 및 진로인식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기반 수학수업 설계 및 적용,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4), 329-356.(Lee, S. H. & Kim, M. K. (2016). Design and application of project based mathematics learning on students'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career awareness, Journal of Korean School Mathematics 19(4), 329-356.) 

  10. 임해미 (2007). 프로젝트기반 수학수업에 대한 사례연구 -자료분석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Lim, H. M. (2007). A case study on project based math learning : with focus on data analysis, Doctoral dissertation, Ehwa Women University.) 

  11. 천선빈 (2017). 수학과제탐구 과목에서 활용할 교수.학습 자료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Chon, S. B. (2017).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mathematical inquiry subject,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2. 한선영, 이장주 (2015). 수학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프로젝트 활용의 역사와 그 적용의 분석, 한국수학사학회지 28(6), 333-348.(Han, S. Y. & Lee, J. J. (2015). A study on the history of project approach and its application for improv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skill,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28(6), 333-348.) 

  13. 황선욱, 박혜숙, 이광연, 고호경, 이종규, 한준희, 박문환, 박상의 (2014). 주제 중심의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 모형 개발, 한국과학창의재단 BD15020006.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Hwang, S. W,, Park, H. S., Lee, K, Y., Ko, H. K., Lee, J. K., Han, J. H., Park, M. H., & Park, S. H. (2014). Development of models of theme-based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 BD15020006, Seoul: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14. 황혜정 (2005). 교과서 분석에 기초한 수학과 수행과제의 이해와 활용, 수학교육 44(1), 15-40.(Hwang, H. J. (2005). Understanding and its application of performance task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mathematics textbook, The mathematical education 44(1), 15-40.) 

  15. 황혜정, 박현주 (2016). 수학 교과에서의 수행과제를 활용한 수업 방안 탐색 -백워드 이론을 기반으로-, 수학교육 55(1), 107-127.(Hwang, H. J. & Park, H. J. (2016). An investigation on the mathematical instruction utilizing performance tasks according to the backward design, The mathematical education 55(1), 107-127.) 

  16. 홍성태, 강정수, 김기환 (2013). 빅 데이터와 위험 정보사회,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Hong, S. T, Kang, J. S., & Kim K. H, (2013). Big data and risk informaion society, Seoul: Commucation Books.) 

  17. Collins, A. (1996). Design issues for learning environments, In S. Vosniadou, E. De Corte, R. Glaser, & H. Mandl (Eds.),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the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technology-based learning environments (347-361).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8. Douglas, S. (2000). A Teacher's Guide to Project-Based Learning. ERIC Number: ED469734. 

  19. George Lucas Educational Foundation (2001). Project-Based Learning Research, Edutopia. www.edutopia.org 

  20. Intel Innovation in Education (2004). Designing Effective Project, http://www97.intel.com/education. 

  21. Laffey, J., Tupper, T., Musser, D., & Wedman, J. (1998). A computer-mediated support system for project-based 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6(1), 73-86. 

  22. Markham, T., Larmer, J,. & Ravitz, J. (2003). The Project based learning: A Guide to standards-focused project based learning f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Buck Institute for Education. 

  23. Thomas, J. D. (2000). A Review of research on project based learning, San Rafael. CA: The Autodesk Foundation. http://www.autodesk.com/found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